동화독법 - 유쾌하고도 섬세하게 삶을 통찰하는 법
김민웅 지음 / 이봄 / 201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동화독법>은 동화를 읽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우리는 분명히 읽었다고 생각했던 동화를 다시 읽는다. 다시 읽는 동안 우리가 읽은 동화는 없어지고 새로운 동화를 만난다. 그게 이 책을 읽는 재미다.

이솝의 동화 속 주인공들이 천 년이 넘는 시간의 문을 열고 나온다. 노동자를 착취하고 즐거움을 탐하다, 한 겨울 ‘낟알 한 알 얻지 못한 채’ 차가운 겨울 바람 속으로 사라진 베짱이는 당대 귀족들의 상징이었다. 개미는 노동자, 노예를 대변한다. 노동의 가치를 개미와 베짱이의 운명을 통해 보여주는 동화다.

저자는 이 동화를 함께 살기로 읽는다. 즉 개미의 노동이 가치를 가지듯이 베짱이의 한여름 연주는 예술행위로 인정 받는다. 노동과 예술이 동등한 가치로 인정받는 사회가 성숙한 사회다. 새롭게 읽는 <개미와 베짱이>는 개미 반장의 생일날, 베짱이가 흥겨운 연주를 하는 것으로 베짱이의 노래가 노동의 가치를 갖는다.

원작에 충실하되 원작을 꼼꼼히 읽는다는 것은 해석을 달리 하는 것이다. 꼼꼼히 읽기를 통해 원래 동화가 말하려는 것을 읽어낸다. 동화가 갖고 있는 특징은 권선징악 그 이상이다. 그 속에는 동화가 지어질 당시의 시대상황이 녹아있다. 시대를 읽어내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다. 오래된 이야기는 현재의 사회적 상황과 맞물려 현재적 의미를 얻고 다시 살아나 생명을 얻는다. 동화는 더 이상 어린 독자를 대상으로 한 이야기가 아니다.

너도 읽고 나도 읽은 <심청전> <별주부전> <인어공주> <헨젤과 그레텔> 등은 ‘그게 그런 뜻이었어?’ ‘뭘 읽은 것인가’라는 의문을 갖게 하기에 충분하다. 풍부한 성서이해(그는 목사다), 사회를 인식하는 깊이, 가늠할 수 없는 지적 깊이로 읽어내는 동화는 우리가 알고 있는 그것이 사실은 그 반도 안되는 이해였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이런 깨달음, 지적, 새로운 이해에 대한 눈뜸이 즐거운 독자라면 두툼한 이 책을 읽는 내내 동화를 읽는 것처럼 재미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독법은 다른 책을 접할 때도 유용하다. 어떻게 읽는가에 따라 독자로서 얻는 것에 차이가 있다면, 나는 저자처럼 좀 더 꼼꼼히 읽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