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 아직도 부자를 꿈꾸는가 - 우리 시대 부모들을 위한 교양 강좌
심상정 엮음 / 양철북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한 지역의 <마을학교>에서 이런 사람들을 초청해서 강의를 들을 수 있다면 그건 마을학교 교장 격인 심상정의 힘 때문일 것이다. 우리 지역구의 어떤 당 소속 의원은 임대아파트 건축을 결사반대하고 있다.

어쨌든 서울 서쪽 끝 동네에 사는 나는 책을 통해 이런 학교 소식을 접하면 일단 배가 아프다. 전에 없던 욕심이다. 나라는 사람은 이런 것을 부러워 할 만큼 사회화가 된 사람이 아니다. 도무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이 동네가 그래서 나한테 딱 맞는 동네다.

그러던 사람인데 어쩌자고 요새는 괜한 트집을 잡고 입꼬리가 치어 올라가는 지 모를 일이다. 아무튼 언제부턴가 늘 뭔가에 화가 나있는 나를 발견한다.

겉보기에는 작은 키에 앳된 얼굴을 한 그녀가 있다. 그녀는 세상 돌아가는 일에 굉장히 열을 받는 사람이다. 아픈 손가락 같은 아들 때문에, 그보다 더 많이 아픈 평범한 둘째와 그 친구들이 겪고 있는 고통 때문에 기운 없어 하다가 마치 박카스를 찾는 사람처럼 <나꼼수> 언제 업 되냐며 ‘졸라’ 씩씩댄다.

사십을 훌쩍 넘겨 살면서 그녀는 욕 한 번 써보지 못했다. ‘완벽하게 도덕적인 사람’인 그녀가 아이가 학교에서 하도 이것 저것 뺏기길래 부부가 욕을 한번 가르쳐보려다가 실패했던 일도 알고 있다. 그러던 그녀가 <나꼼수>를 들으면서 욕과 도덕의 경계에서 자유로워졌다고 한다. 대단한 <나꼼수>다.

말이 길어졌다. 단지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그녀를 생각했고, 내가 열받아 하는 이유가 아마도 그녀에게 바짝 붙어 있기 때문인가 보다 생각했다. 나쁘지 않다.

 

박경철의 말을 읽은 날, 마침 아들과 피자에 꽂혔고 동네 59쌀피자를 꼭 먹어야 한다며 큰 거 두 판을 쏘았다. 아들 녀석 친구들도 마침 들이닥쳐서 예산이 더 들었지만 특별히 더 맛있었다. 그리고 다짐했다. 지역경제, 서민 경제, 동네 경제 그런 것 잘 모른다고 이마트 피자 사먹는 짓 하지 않겠다고.

정태인의 죄수의 딜레마 이야기를 읽으면서 그야말로 컴퓨터를 싹 지우고 재부팅 하듯이 그렇게 한번 해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지금부터 준비 땅해서 우리 모두 사교육 같은 거 동시에 손 딱 놓는 걸로!

이범의 얘기는 언제 들어도 목소리가 분명하고 커서 듣기 좋다. 딱 써먹기 좋은 구체적인 방법들이라서 더 잘 들린다. 너무 분명해서 오히려 거부감이 들거나 의심을 하는 사람도 있을 것 같다. 결국은 선택인데, 선택하지 말고 제도로 정해져 버렸으면 좋겠다. “이제부터 학교에서는 어떤 경쟁도 허락하지 않는다.”

이 책을 통해 나임윤경이라는 여성학자를 알게 된 것이 가장 큰 기쁨이고 소득이다. 이러니 책을 손에서 놓을 수 있겠나. 세상에는 이토록 멋지고 훌륭하게 자기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고 그들을 직접 만날 수 없으니 책으로 만나는 것이다.

사교육을 외도와 연관지어 현 상황을 들여다 보니 정말 요즘 우리 부모들은 다 집단 최면에 걸린 게 맞구나 싶다. 증세는 좀 더 심한 것 같다. 부부가 부부의 삶을 못살고 부모로서만 사니, 부는 돈을 벌고 모는 자식을 가르치고 결국에는 부부는 없고 의무만 이행하더라는 말.

그래서 외도를 하는데 또 이혼으로 가정이 깨지면 외도 또한 깨진다는 말은 너무 슬퍼서 속상했다. 부부의 삶을 되찾아야 한다는 말을 남편에게 해주었더니 그도 크게 고개를 끄덕였다. 적어도 아이 교육 때문에 부부가 돈버는 기계, 돈쓰는 기계가 되지는 않아야겠다. 아이도 그것을 바라는 게 아니라니 우리 부부 정신 바짝 차려야겠다.

윤구병과 이이화 선생의 말은 죄송하지만 귀에 잘 들어오지 않았다. 두 분 다 한평생 흙과 역사에 뜻한 바 대로 삶을 집중해오신 분들인데 왜 나는 이 두 분의 말이 잘 들리지 않았을까.

대안학교의 귀족화에 상처를 받았다고 윤구병 선생에게 나쁜 감정을 가질 이유가 없다. 아마 아직도 내가 수양이 덜 되어 편협한 생각을 하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 두 분이 하시는 얘기가 더 근본적이고 지당한 말씀이긴 한데 “저는 지금 그것보다 더 급한 일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하며 일어나 가버리는 나쁜 청중이 되어버렸다. 언젠가 무릎 꿇고 두 분의 말씀을 들을 날이 오리라 생각한다.

신영복 선생이 나는 늘 어렵고 무섭다. 부드러움과 단호함이 섞이면 그것은 양면이 아니라 더 큰 하나의 덩어리(힘)가 되는 것 같다는 것을 선생을 보면서 느낀다. 그래서 감히 우러르기는 해도 그 뜻을 헤아리지 못하는 어리석은 중생이 되는 것 같아 부끄럽다.

한 마디 한 마디 새겨들을 말씀들이다.

특히 감동적이었던 말.

 

“인디언들은 초원을 달려 작은 언덕에 올라가면 말머리를 돌려서 자기가 달려온 초원을 한동안 바라보고 서 있습니다. 영혼이 미처 따라오지 못했을까 봐 영혼이 돌아올 때까지 기다리는 거죠. 먼 길은 영혼과 함께 가야 됩니다”

 

이 먼 길은 “자신의 논리, 자신의 이유로 가야하는 길”이다. 그리고 ‘더불어’ 가야하는 길이다.

 

조국은 늘 그렇듯이 말보다 글이 쎈 사람 같다. 말로 한 것을 글로 옮겼을 때 조차 그렇게 느껴진다. 학자일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을 한다. 일 년 열두 달 책상에 앉아서 연구만 하는 선생이 아니라서 좋다. <진보집권플랜>에서 동네 커피전문점에 가서 그곳에서 모은 쿠폰을 쓰더라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렇듯 생활인으로서 법학자인 그가 멋지다고 생각한다.

사심이 아니라 뭐라 할 말이 없는 먼 그대(나는 잘생긴, 엄친아들, 강남좌파를 감당할 만한 자신이 없다, 뼛속깊은 이 촌스러움!)인 그가 열심히 자기 몫을 하되, 현실에 발딛고 있는 것이 좋다.

심상정은 알면서도 모르는 사람이다. 부끄럽지만 그녀에 대해 알려고 해 본적이 별로 없다. 그래도 이 책이 그녀의 손에서 나오게 된 책이라는 것으로 나는 그녀가 국회로 돌아가기를 바란다. 끝내 그곳에서 굳건히 뿌리 내리기를 바란다.

 

이 책을 손에 들기 전부터, 다 읽고 몇 날이 지난 지금도 뉴스만 틀면 학교 폭력 기사가 뜬다. 이젠 거의 기겁의 수준으로 그 뉴스만 나오면 채널을 돌린다. 역시 앞서거니 뒤서거니 다른 방송사 뉴스도 학교 폭력 소식을 전하고 있다. 집과 학교 밖에 모르고 사는 나같은 엄마는 좀 과장하면 패닉 상태다. 그래도 세상이 좀 더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진화한다고 믿어야 하는가. 책에서 얻은 위안과 위로, 희망의 힘이 책을 덮고 현실로 돌아오는 순간 툭하고 맥이 빠져버린다.

신영복 선생의 “자신의 논리, 자신의 이유로 가라는 말”을 꼭 붙들고 있어야 할 모양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3-21 14:0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