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그림이다 - 동서양 미술의 완전한 만남
손철주.이주은 지음 / 이봄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 그림이다>는 남편이 먼저 읽고 내게 선물로 준 책이다. 말로는 나를 위해 샀다고 하면서 읽기는 본인이 먼저 읽었다. 속도가 무진장 빠른 사람이라 금새 읽었지만 나는 설거지 하고 나서 잠깐, 빨래하고 나서 잠깐, 화장실 가서 잠깐(이런, 실례! 하지만 가끔은 망설이기도 했다는 변명)이러다 보니 며칠 걸렸다. 쉽게 잠못들면서 그때나 좀 읽지, 한번 불끄고 누우면 꼴딱 밤을 샐 지언정 일어나지 못하는 내가 싫다. 흐~억! 

동서양의 그림을 두 사람이 주제에 맞게 골라 매개로 삼되 주거니 받거니 편지처럼 이야기가 이어진다. 정말이지, 글들을 잘 쓴다. 손철주의 글은 한 세상을 알고난 사람들한테 느껴지는 앎의 자유로움이 느껴진다. 동양화를 담당하여 그림을 통해 인간사의 다양한 감정을 읽어내는데, 특히 이 책이 좋은 것은 편지 형식이 갖는 내밀함이다. 지극히 개인적인 감상과 감정을 곧잘 나타내기 때문에 두 사람 사이에 괜히 끼었나 싶다가도 그걸 훔쳐보는 것이 또한 재미나다.  

연배가 아래인 이주은은 서양의 그림을 담당했는데, 곧잘 영화이야기를 들여와 예술과 인간사의 넘나듦의 폭을 넓혀준다.  

나는 그림이 낯설다. 어쩌다 사람들한테 묻어서 미술관에 가면 나는 내 눈앞에 펼쳐진 그림을 어떻게 감당해야 할 지 몰라 늘 당혹스럽다. 뭘 느껴야 하는지, 뭘 보아야 하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어서 낑낑대다 보면 허리만 아프고 한 작품 앞에서 오래 머무는 사람들을 훔쳐보며 몰래 그 그림을 다시 보는 일을 반복한다. 그래도 여전히 그림은 내게 너무 먼 당신이다. 급이 달라 사랑할 수조차 없는 그런 사람 같은. 그래서 슬프다. 한때는 내 문화적 토양이 척박해서 그건 고급이야, 난 순대국에 소주체질이거든 위로도 해보았지만 그때 뿐이다.  

그래서 그림 이야기를 사실 나는 좀 좋아한다. 느끼는 것을 모른다면 누가 가르쳐주는 대로 받아들여보기라도 하리라. 그러다 보니 글쓰는 이가 일러주는 대로 어떨때는 그 그림이 내게 살짝 미소를 건네기도 한다. 물론 책을 덮으면 그걸로 싹 끝나는 인연이다.  

무엇보다 이 그림 이야기가 좋은 것은 그림에서 삶, 즉 그리움, 유혹, 성공과 좌절, 나이, 행복, 일탈, 취미와 취향, 노는 남자와 여자, 어머니, 엄마까지 다루고 있어서 특별한 감식안을 가져야하는 것에서 조금 자유롭다. 그럼에도 서양의 그림에는 기본적을 알고 있어야 하는 상징 혹은 관습 같은 것이 있어서 설명이 없다면 그저 보는 것으로 그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는다.  

그림을 볼 줄 아는 사람이 부러운 것보다, 혹은 이토록 글을 잘 쓰는 사람이 부러운 것보다 이 책을 읽으면서 화가 날 정도로 부러운 것은 두 사람의 관계였다.  후배의 눈웃음을 사랑하는 선배의 마음, 그 선배를 한없는 존경으로 따르는 후배의 모습이 또 한장의 그림이었다.  

내가 바라고 기다리는 것은 책도, 그림도, 시도 아니었다. 나는 책같은 사람, 그림같은 사람, 시같은 사람을 기다렸던 것이다. 지금도 앞으로도 누군가에게 그런 사람이 되지는 못할 것을 알기에 늘 기다리고 그리워하는 일 밖에 할 줄 모르는 사람이 되어버렸다.  

그림을 눈여겨 보듯 사람을 눈여겨 보는 일, 나는 그게 어렵다. 나를 눈여겨 보는 일 조차 어렵다. 그래서 나는 늘 한자쯤 땅위에 떠다니듯 헛헛하고 휘청거렸다고 생각한다.  

그림처럼 좀 그럴듯한 이야기가 아니더라도 김장 이야기를 주고 받든, 아이들이 어제 끝낸 야생화 이름 맞추기를 두고 뒷담화를 하든 마음으로 소통할 수 있는 사람, 내게 그런 사람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한지 오래되었다.  

<다 그림이다>는 재밌기도 하지만 부럽기도 한 몇 안되는 책이다. 그림을 볼 줄 알아서 부럽고 그림을  얘기할 수 있는 사람들이라서 부럽다,  

내 인생은 언제까지 부러워하고 질투만 할 것인가. 멈춘 것은 그들이 아니라 나인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