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산 - 김훈 장편소설
김훈 지음 / 학고재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흑산>을 읽었다. 책장을 덮은 건 한 며칠 되었는데 글로 정리하려고 하니 어려워서 엄두를 못내고 있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그 책에 대한 감상을 적어나가고 있었다. 그래도 이건 나 자신과의 약속이니까 단 몇 글자로라도 글론 남겨야 하기에 맥주 한 잔 하면서 그야말로 술김에 횡설수설한다.  

김훈 소설이 새로이 나온다길래 미리 주문을 했어도 받은 건 한참 기다린 뒤였다. 만만치 않은 부피에, 가고가리라는 새는 또 얼마나 낯설었는지. 솔직히 그런 외적인 것에 마음을 쓸 수 없을만큼 나는 그 속이 궁금했다. 김훈의 소설은 천천히 읽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일단 마음의 준비를 하고.  

나는 김훈 소설을 읽으면서 기대하는 것이 이 작가가 그려내는 당대 현실의 사실성이다. 역사책에서는 한 두줄 기록되는 것에 생명을 불어넣어 비로소 살아움직이는 사람의 역사로 만드는 능력은 김훈 만한 작가가 없다고 생각한다.  

천주교가 조선 땅에 들어오던 시기, 문명은 늘 충돌하고 충돌은 사람의 목숨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받아들이려는 자와 그걸 막으려는 자 사이의 갈등은 잔인하고 무섭지만 어느 한 곳 양보없이 팽팽하다. 나는 이런 충돌을 옳고 그름의 문제로 생각하지 않는다. 가치관이 다른 것이지 시비의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김훈이 들여다보는 것은 권력을 누리고 행사하는 윗것들이 아니라 조선 팔도에 엎드려 사는 백성들이다. 사학이 소나무 보다도 못한 대접을 받았던 사람들에게 이미 그 마음속에 있는 '야소'의 마음을 알게 하는데 그건 선택이 아니라 확인이다. 비로소 깨달은 것이다. 나는 <흑산>이 감동적인 이유를 바로 원래 그러하였음을 비로소 깨닫는 과정을 드러냄에서 찾는다.  흑산도에 유배된 정약전이 유배지 생활을 받아들이는 것 또한 그리해야함을 받아들이는 과정으로 보인다.

문장은 여전히 매력적이고 곤장을 치는 장면이나 망나니의 칼끝을 그린 장면은 영화를 보는 듯하고, 인물을 그려내는 데는 가감이 없어 생명을 얻는다.  한강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뱃길도 흥미롭다.  

역사에 '만약에'라는 것이 없다고 하니 만약에 황사영이 살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은 혼자 삭이고, 아무튼 <흑산>에는 죽음이 넘치고 그 죽음은 가차없고 냉정하며  담담하고 그 죽음의 가치는 알 길이 없으되  독자는 그 무수한 죽음 앞에 조문을 하게 된다. 생과 사는 그렇듯 일상이다. 종교라 다르지 않다. 나는 <흑산>을 읽으면서 순교나, 박해 그런 생각을 한번도 하지 않았다. 정약용이 조카사위를 사학으로 지목하고 살아남는 과정은 등골이 서늘해 지지만 정약용을 비난할 일은 아니었다.  

<흑산>을 읽는것은 상상할 수 없고 다다를 수 없는 삶의 한 장면 속으로 들어갔다 나오는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