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청춘, 시속 370㎞ - 제9회 사계절문학상 대상 수상작 사계절 1318 문고 72
이송현 지음 / 사계절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이 마지막으로 치달으면서 나는 끝내 콧물이 흐르고 눈이 아파오고 가슴이 저리고 몸이 뻐근해지는 증상에 빠져들고 말았다. 처음 시작은 대충 마무리가 머리에 그려질 정도로 담담했다. 아버지를 이해하지 못하던 아들이 아버지와 함께 매를 길들이는 일을 하면서 조금씩 아버지를 이해하게 되는 과정, 문제는 그 과정의 설득력일 것이다. 매잡이라는 소재가 신선했다. 대개의 청소년 소설을 읽으면서 내가 느끼는 감정은 가슴 졸이다가 웃는 것으로 끝나는데, 가을 단풍이 내가 사는 아파트까지 찾아와 주어서 온통 감동 무드여서 그랬나? 

돈 안되는 것을 하려는 아빠와 이혼까지 하려고 마음 먹으면서 말리는 엄마, 그 사이에서 엄마를 힘들게 하는 아빠를 이해하지 못하는 동준, 이 세 식구는 서로를 이해하지 못한다. 남편으로서, 아버지로서의 몫을 하지 못하는 사내를 엄마는 이해하지 못한다. 오로지 전통을 이어야한다는 신념으로 아내와 아들을 마음 아프게 해야하는 현실을 아들 또한 이해 못한다. 아버지는 이해를 받으려는 노력 조차 하지 않는 외골수다. 그러니 갈등은 심해지고 마음의 상처는 커져간다.  

이런 뻔한 과정을 거치면서 동준은 마음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느낀다. 닭대가리 보라매를 길들이면서 매잡이라는 일 자체를 즐기게 되는데, 흡사 미운정과 같다. 이혼 통보를 하고 떠나는 엄마를 잡으려다 사고를 당하면서 동준은 아버지의 고운정을 알게 된다.  미운정과 고운정이 뒤섞여 자신들조차 그 마음이 무엇인지 모르는 동준의 어머니 아버지는 비로소 조금씩 양보하게 되는데, 동준이 엄마에게 가고, 아버지는 아들에게 매잡이를 강요하지 않는다.  

다시, 그렇다면 나는 이 소설의 어느 대목에서 흔들렸을까?  사실 사람살이든 소설 속 사람이든 꺼내보이지 못하는 마음이라고 없는 마음이 아니리라. 몰랐든, 알았든 다만 그 마음이 속엣것으로만 있을 때 우리는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런 뜨뜻하고 진한 마음들이 서로를 알아볼 때, 그리고 그 마음의 주인에게 전달 될 때 그걸 지켜보는 독자는 감동한다. 이미 알고 있으면서도 독자가 소설 속 사람들에게 그 마음을 전해 줄 수는 없지 않은가. 독자가 짐작한 마음, 혹은 예상하지 못한 마음이 소설 속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장면을 보면서 나는 감동한다. 그리고 사랑과 이해, 혹은 용서의 마음에 감동한다. 그런 감동을 주는 게 예술, 문학의 힘이다.  

아내와 자식한테조차 이해 받지 못하던 한 고독한 응사가 그의 아들에게 인정받기 시작하는 과정은 충분히 감동적이다. 차마 대를 이어 응사의 삶을 살아달라고 못하는 아버지에게 아들은 "아버지보다 더 멋진 아들이 되겠다"고 말하면서 적어도 아버지의 삶을 인정하기 시작한다. 그렇게 성장하는 동준이의 모습도 충분히 멋지다.   

결혼을 하고 한 십 년쯤 살아본 사람은 안다. 죽을 만큼 힘든 결혼의 삶을 그만두고 싶을 때도 있지만 정말 그만두는 일은 말처럼 쉽지 않다는 것을. 삶은 또 그렇게 하루를 뒤척이면서 살아가는 것이다. 동준의 엄마가 여태 이혼서류에 도장을 찍지않은 것, 우리는 모두 끝을 보고싶지는 않을지 모르겠다. 늘 그 삶이 지속되기를 바라고, 혹은 나아지기를 바라는 것이다. 엄마는 혹은 여자는 남자보다 힘이 쎌 때가 많다.  

응사의 삶을 사는 아버지와 그를 힘들게 지켜보는 가족의 얘기이기도 하지만 이 소설에는 똠양꿍이라는 소년이 산다. 나는 그 소년이 이 땅에서 얼마나 힘들게 살아갈 지 알것같으면서도 '똥준'이 있어서 둘 다 안심이 된다.  

이해한다는 것은 어렵다. 그리고 서로를 이해하게 되었을 때, 이해할 수있는 사람이 생겼을 때 아마 생각보다 훨씬 더 많이 사는 일이 수월해질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