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콘 - 진중권의 철학 매뉴얼
진중권 지음 / 씨네21북스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극히 개인적으로, 나는 진중권을 좋아한다. 비행기를 배운다고 떠날때도 좋았고, 트위터에 비행기 조종하는 사진 중, 의외로 튼튼한 팔 근육에 놀랐다. 약간의 사심이 있는^^ 그리고 이건 아주 멀리서 그 책의 저자를 바라보는 독자로서의 관심이기도 하다. 발랄하고, 유머 넘치고, 자유롭고, 그리고 팔방미인인데다가 결정적으로 진지할 땐 진지해지는 학자적 모습까지. 질투를 하기에는 그가 너무 높은 곳에 있다. 세상 천지가 질투의 대상으로 꽉찬 느낌이다. 특히 이 책을 읽으면서 일종의 소외감을 느꼈다면 내 질투가 내가 느끼는 것보다 좀 심한것 같다.  

저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철학적 개념들을 해석하는 이 책을 읽는 동안 나는 여러번 멈춰야 했다. '현실의 구체적인 맥락' 속에서 분명히 사용되고 있을 이 개념들이 내게는 낯설고 알아듣지도 못할 만큼 어려워서다. 대부분이 철학적 개념이고 또 미술이나 영화, 즉 예술에 깊이 닿아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예술적 소양이나 경험, 체험이 많이 부족한 나로서는 좀 버겁기도 했다. 그런데 사람들은 이 글을 읽고 공감하고 알아먹는다는 말이지.   

기본적으로 철학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배경이 풍부하다면 훨씬 재미있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는 해도 다루고 있는 개념들은 인식의 힘을 키워주는 것들이다. 개념을 아는 것은 세상 속으로 그만큼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훨씬 주체적으로 살 수 있다는 것이다.  

책과는 상관없이 진중권과 김규항의 불편한 관계에 대해 늘 궁금했는데, 조금은 알게 되었다는 것이 의외의 소득이라는 불편한 진실. 

분명 세상을 보는 인식의 힘이 한뼘쯤 생긴다. 책을 읽는 동안. 문제는 현실에 적용하는 것인데, 나는 언제쯤 현실에 발들 디딜 수있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yesleep 2011-10-04 16: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 책이 씨네21 칼럼의 글을 모아놓은거라, 거기는 계속 업데이트되고 있더라구요. 저도 책 사서 읽고나서 알아습니다.ㅠㅠ

수수꽃다리 2011-10-04 19:23   좋아요 0 | URL
그래서 저는 좋아하는 필자의 연재 글은 되도록 읽지 않으려고 합니다. 책으로 묶여나오면 봐야지 하는... 그래야 집중하고 연결되는 흐름을 잡을 수 있기도 하지요. 님께서는 조금 아깝다 생각하셨나봐요?^^ 참고로 제 남편은 연재되는 글을 읽지 절대 그 책을 사지는 않는답니다. 그런 독서법이 부러울 때가 있지요. 정보처리 능력이 제가 모자라나봐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