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문학의 자리 - 경계의 문학, 소통의 문학, 청소년문학을 말하다!
박상률 지음 / 나라말 / 201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는 청소년은 경계의 존재라고 했다. 아동과 성인의 중간 위치, 이도저도 아닌 것이 아니라 분명한 실체로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우리 나라에서 청소년 문학 혹은 청소년 소설, 성장 소설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되는 문학 등이 과연 제대로 청소년의 현실을 다루고 있는가는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고 한다.  

그러고 보니 그동안 읽었던 청소년 성장 소설이 저자의 걱정대로 몇 가지 주제로 장르화 되었다는 생각에 동의한다. 학업, 외모, 장래, 성 등 청소년들이 안고 있는 문제이기는 하지만 성장이라는 핵심에 치중하다 보니 모두들 그 과정을 극복하는 결과가 비슷했다. 서로 대립하고 갈등하는 인물들이 단순하다는 느낌도 받았다. 대부분의 갈등이 해소되는 것도 생각해 보니 성장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빚어진 현상 같기도 하다. 현실의 청소년들은 과연 소설속 아이들처럼 문제를 해결해가고 있는가 궁금하다. 그들의 삶을 잘 모르는 채 책만 읽는 독자의 한계다.  

문학(성장소설, 청소년 소설)이 위로가 되고 인식의 힘을 키워주는 일을 지금 우리 청소년 문학은 잘 하고 있는 것인지도 궁금하다. 저자는 출판 시장이 청소년 문학으로 상업적 이득을 보고자 덜 된 작품들을 쏟아내고 있는 것도 걱정하는데 공감한다.  

본격적인 청소년 문학 비평을 기대하고 책을 골랐다. 하지만 본격적이리라는 기대에는 못미친다. 비슷한 주제로 다양한 매체에 기고했던 글들이 묶여져 동어 반복의 인상이 짙다.  

하지만 청소년 문학에 조금이나마 관심을 갖고 있는 나같은 독자에게는 책읽는 자세와 책 고르는 일의 중요성, 특히 청소년의 현실에 대해 우리는, 기성세대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반성하게 하는 책이다. 문학은 여전히 현실의 반영이다. 청소년의 현실을 담아야 하는 것이 청소년 문학이다. 앞으로는 좀 더 예민하게 청소년 문학, 혹은 소설에 집중하게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