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온한 인문학 - 인문학과 싸우는 인문학
최진석 외 지음 / 휴머니스트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부의 모자람을 자책하며 책을 읽는다. 저자의 생각에 닿지 못해 같은 줄을 서너번 되돌아 읽기도 한다. 더러는 내게 오기도 하고 더러는 읽는 속도로 잊혀진다. 행간을 읽지 못한채 '대체 내가 이걸 왜 읽고 있는가' 후회만 가득한 때가 많다. 대체 어디에 써먹자고 이책을 읽고 있는가.  

<불온한 인문학>을 읽으면서도 마찬가지다. 특히 이진경의 '횡단의 정치 혹은 불온한 정치학'에서는 읽기를 그만둘까 생각을 하기도 했다. 그러는 사이 슬그머니 짜증도 약간(?) 났다. 소외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까지 했다.   

 횡단은 하나의 지식을 다른 지식과 통합하여 단일한 체계를 부여하려는 발상을 가로지르는 것이고, 이런 저런 지식들을 근거짓는 것과 근거지워지는 것, 근본적인 것과 부차적인 것, 일차적인 것과 이차적인 것의 위계적 지위를 부여하려는 발상 전체를 전복하는 것이며, 주어진 자리를 지키는 것과 반대로 거기서 이탈하여 엉뚱한 만남의 장소를 창안하는 것이다.  ... 횡단은 이러한 분할의 경계를 횡단하며 그것은 부수고 전복하는 것이고 그럼으로써 보이지 않던 것을 보이게 하고 말할 수 없던 것을 말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것은 경계를 만들고 유지하는 권력에 대한 저항이고 

하나의 단어, 담론이라고 해야하나, 횡단이라는 말 속에 담겨있는 뜻을 알지 못했을 때 나는 이 글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되고 만다. 그들만이 경험하고 체득한 주름들이 켜켜이 녹아 있어서 순수 독자인 내가 그 속을 들여다 보기에는 벅차다. 이 책의 저자 대부분은 수유+너머 에서 함께 공부하고 실험하며 그 결과를 체험한 사람들이다. 나는 이 책의 독자가 될 수 없는건가 하는 생각마저 들었다면 똑똑하지 못한 독자의 징징거림이 되는 것인가.  

그렇다고 해도 <불온한인문학>의 모든 내용이 내게 무용해 보이는 것은 아니다. 백화점 문화센터 인문학 강좌를 대표로 정말 인문학의 위기가 맞는가 싶을 만큼 여기 저기 널린 인문학 강좌에 대한 의문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소위 교양있는 시민을 만드는 것이 사실은 다루기 쉬운 시민을 육성하려는 모종의 계책이 숨어 있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동의하면서 어쩌면 이런 상황이야말로 인문학의 위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노숙인들에게 인문학이 치유나 위로가 아니라 자신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하는 인문학이어야 한다는 말도 불온하지만 나는 동의한다.  

그렇다면 나는 현재 어디에 있는가. 머리로 가슴으로 읽히지 않는 책들을 읽으면서 깨닫지도 못하고 자신을 변화시키지도 못하면서 꾸역꾸역 책을 읽는 것은 대체 내게 어떤 도움이 되는 것일까. 책을 읽고 소통하는 일이 막힌 상태에서 나는 어쩌면 혼자하는 공부를 하고 있는 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읽고 내가 거둔 가장 큰 소득은 혹은 깨달음은 그것이다. 책을 읽는 이유는 그것이 나를 변화시키리라는 확신 때문이다. 전혀 느껴지지도 않고 눈치 채지도 못하지만 나는 변해갈 것이라고 믿는다. 내가 그들이 공부하는 현장에 함께 있지 못한다고 해서 소외받았다고 억울해 하거나 부러워할 필요도 없다. 왜 일인 공부는 안된다고 생각하는가. 내가 알고 있는 선생님은 오랫동안 일인 공부를 해오고 있다. 다만 읽고 생각하기를 게을리하는 것이 문제다. 

나는 과거에도 현재에도 어쩌면 앞으로도 사회적으로 아무것도 아닌 한 개인으로 살아갈 것이다. 하지만 나는 나를 들여다보는 일을 멈추지는 않을 것이다. 남의 작업실을 둘러보고 부러워하는 일도 여전히 하겠지만 그 때도 나는 그들의 작업 결과를 부지런히 내 생활로 옮겨올 것이다. 그렇게 하고 싶어졌다. 어쨌든 내가 왜, 뭐하러 책을 읽고 있는가 의심하지 않고 읽고, 생각하고, 쓰고 할 것이다. 뭐 어떤가. 내가 누구의 삶을 사는 것도 아니고 중요한 건 내가 사는 것은 나 아닌가. 꺾이지말고 오랫동안 이 생각을 유지해 가길 바란다.  

<불온한 인문학>은 그렇게 나에게 영향을 주었다. 고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