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의 공동체 - 신형철 산문 2006~2009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형철을 읽기로 한 것은 순전히 그가 제2의 김현으로 불린다는 말 때문이다. 어디서 읽었는지 기억도 없다. 김현이 누구인가. 지금은 너무 멀리 떠나와 도대체 내가 잠시 그 언저리에서 애면글면 짝사랑을 했던 적이 있기나 했었나 싶지만 돌아보니 내가 거기 있었던 게 맞다. 김현의 글들을 읽으면서 나는 시를 읽고 소설을 읽으면서 평론을 읽었다. 읽으며 감동하고 그의 말들이 좋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좋다좋다 하면서 다녔다. 평론은 확실히 문학이었다. 

신형철의 책 두 권 <몰락의 에티카>, <느낌의 공동체> 두 권을 부리나케 주문을 하고 설레며 기다린다. 느낌의 공동체를 먼저 읽는다. 따끈한 신간이기도 하거니와 좀 가벼운 글들이라니, 우선 느낌의 공동체를 먼저! 

내 글읽기가 이젠 후지고 뒤떨어져 평론이 재미가 없어진 줄 알았다. 신형철에게 감사를 전한다. 여전히 평론은 재미있고 또 시가 여전히 읽을만 한 것이었다. 소낙비처럼 시의 세례를 받으며 결국 또 다른 시집을 주문한다.  

그는 참 깨끗하고 단정하며 착한 사람일 것 같다. 그가 읽고 말해주는 시들은 한결같이 좋은 시들인 것 같고 그 작품을 내는 시인들이 이 세상에 꼭 필요한 사람들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그가 발견해낸 느낌들이 좋다. 물론 깊이가 아득해서 미처 쫓아가지 못할 정도로 공부도 많이 한 것 같다. 깊은 눈을 가진 평론가라는 느낌을 받았다. 물론 그 깊이에서 길어올리는 글들 또한 매력적이다.  

3부의 글들은 짧아서 담아 낼 이야기를 충분히 못한 것 같아서 상대적으로 덜 재미있었지만 시대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모습이 좋다.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거나 신경쓰지 않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마는 그래도 '열씸히' 반응하고, 화내는 모습이 외로 꼬나보는 시선 보다는 좋다.  

물론 내가 좋다, 어떻다 할 만한 그가 아니다. 그의 글들 대부분은 질투가 날 만큼 빼어나다. 사유와 표현 모두.  

그 덕분에 잊고 있던 시를 다시 생각하고 또 읽을 거리가 생겨서 기쁘다.  

이 책은 평론집 이름으로 나온 게 아니다. 산문집으로 나왔다. 이제 그의 평론을 읽으려고 한다. 좀 어려워서 겁이 나지만 (꼭 이런 걸 읽어야 하나? 내가? 그래! 누가 뭐라든!) 나도 가끔은 이런 지적 사치를 부려보고 싶다. 비평이 문학이라는 것을 다시 보는 일이라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