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저드 베이커리 - 제2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구병모 지음 / 창비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열여섯 주인공은 도대체 그 고통을 어떻게 감당하고 있는 것일까 ? 그게 가능하기는 한 것일까? 정면승부에만 집착하는 나같은 사람에게 이 소설은 읽기가 퍽 힘들다. 결국 현재, 내가 지금 있는 여기가 중요하다는 메세지를 남기는 것일터인데 마법사의 등장, 혹은 파랑새 소녀는 상상력이 부족해지기 시작하는 40대에게는 낯설기만 하다. 환타지라거나, 미스터리, 호러는 상상 이상의 상처를 이해불가로 보기 때문에 설정한 것일텐데 그래도 현재가 중요하다면 좀더 직접적으로 부딪혀보는 것이 낫지 않았을까. 갖가지 빵도 집중을 방해하는 요소들이고 여기저기 자살 사이트가 흥행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볼때 위저드베이커리 닷컴이 존재하지 말라는 법은 없지만 다루고 있는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 이기에 이렇게 풀어가는 것이 나는 못마땅하다. 결국은 사람의 일로 돌아왔지만 거기에 사람이 아니라 마법적 요소가 끼어드는 것이 비겁해보이고 결과론적인 것만 보여주는 것같아 불편하다. 사는게 과정의 연속이고  결과는 또다른 과정의 시작이기도 할 텐데 쉽게 결과에 닿기 위해 마법을 썼을 뿐이다. 이것을 청소년 특히 중학생들에게 읽히고자 할 때 과연 그들의 문제를 다루는 이 소설을 그들은 얼마만큼 소화할 수 있을까. 공연한 걱정일까. 나는 왜 계속 이 소설이 불편하고 상을 받은 것이 온당치 않다고 생각하는 것일까. 그만큼 이 소설에 등장하는 사건이 진지하게 맞부딪혀야할만큼 중요하기 때문일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이 주는 울림은 바로 고통을 바라보는 열 여섯 주인공의 힘이 전해지기 때문이다. 감당할 수 없는 고통으로 말문이 막히고 저항조차 할 수 없는 지경이지만 끝내 지키는 인간의 자존심이 그 고통을 온 몸으로 받아들이는 주인공이 힘이라고 느껴진다.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 같은 믿음. 위저드베이커리에서 빵을 주문해 나를 괴롭히는 누군가에게 치명적인 상처를 주거나 목숨을 빼앗는 비 인간적인 행위를 하지 않을거라는 믿음. 죽음도, 이별도, 상처도 우주 원리를 지탱해가는 의미있는 행위임을 받아들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제 그것을 받아들이려는 주인공. 나 아닌 누가 대신할 수 없는 삶에 대한 예의가 상처받은 주인공에게서 느껴진다. 그것은 어쩌면 이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빵냄새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