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과 두보
프랑수아즈 케리젤 지음, 김민정 옮김, 마르틴 부르 그림 / 아이들판 / 2005년 11월
평점 :
절판


이백과 두보는 옛날 옛적 중국에 살았던 위대한 시인들이다. 이백은 원래 신선인데 이 세상에 쫓겨왔다 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시를 아주 잘 짓는 시인이었다. 또 두보는 전쟁과 가난과 배고픔 등 사람들의 불행에 관한 시를 주로 썼다. 이백과 두보는 서로 같이 자연에서 떠돌아 다니며 시를 쓰고 그림을 그렸다. 그리고 둘 다 아주 웃기를 잘했다고 한다.

이 책은 그림이 꼭 우리나라 옛날 사람들이 그린 듯한 나무와 사람들 그리고 대나무 등 모두 모두 서예를 이용한 그림이었다. 진짜 쓴 사람은 중국인도 아니고 우리 나라 사람도 아닌데 오히려 더 우리나라 사람이 그리고 쓴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오늘 밤 우리는 셋이네 / 달과 내 그림자와 나까지/ 마시자! 달에게 건배하네

이 시를 보니 이백은 달밤에 술을 마시기 좋아하는 사람 인 것 같다.

소리 없이 책상 위에 꽃잎 하나 떨어지네

이건 두보의 시다.  이게 두보에게는 처음 지은 시라고 한다. 그런데 시인처럼 너무너무 잘 썼다.

시가 조금씩 섞여 있어서 더 잘 읽어지고 그림책으로 보니 이백과 두보는 정말 대단한 시인이었나 보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존경하는 마음이 들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ony 2006-09-17 00: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 시가 다 좋네. 역시 위대한 시인들인가 보다. 셩이가 존경하는 마음이 들도록 좋은 시들이 많이 실려있었나 보다.
 
피오리몬드 공주의 목걸이 동화는 내 친구 14
매리 드 모건 지음, 햇살과나무꾼 옮김 / 논장 / 1999년 7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욕심과 자만심을 가지면 벌을 받게 된다는 교훈을 준다. 피오리몬드 공주는 원래 아름다운 얼굴이 아니었는데 마녀의 도움을 받아 아름다운 얼굴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결혼할 나이가 되자 신랑감을 아버지가 정해주셨는데 피오리몬드 공주는 그 신랑감들을 모두 목걸이에 알알이 꿰어 버렸다. 왜냐하면 결혼을 하고 나서 남편이 자신의 비밀을 알게 될까 걱정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두 편의 동화가 있는데 모두 힘들고 괴로운 상황을 이겨내고 결국엔 행복하게 살게 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영엄마 2006-09-06 2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왓, 사람을 목걸이 꿰어버리다니... 무서운(?) 내용이네요..^^;;

miony 2006-09-06 23: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셩이네에서 보고 읽으려다 못 읽은 책인데 좀 독특한가 보다. 그래도 읽고 싶당~.

hsh2886 2006-09-07 18: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하 그래도 재밌어요~
 
과학의 배꼽 아이세움 배움터 6
과학아이 지음, 이샛별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3년 3월
평점 :
품절


과학이 배꼽은 공부가 처음 생겨난 이야기다. 이 책의 주인공인 그리스인들은 웃기고 활달하고 현명하고 지혜롭고 재치있고 똑똑한 사람들이었다. 덕분에 세상은 훨씬 더 재밌고 살만한 곳이 된 것이다.

탈레스나 아낙시만도로스 피타고라스, 소크라테스 등 여러 현인들이 나오는데 그 사람들이 처음으로 자기가 살고 있는 세계와 우주의 대해서 생각해보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과학의 시작 (과학의 배꼽)이 되었다.

과학이 시작 되기 전에 세상은 신들이 세계를 다스린다고 믿고 해, 달, 땅 들이 모두 신들이라고 믿었으며 신들이 모든 것을 정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 과학자들은 아예 반대로 나아가서 해나 달이 돌덩이라든가, 지구는 그냥 우주에 둥둥 떠있다던가 등의 새로운 상상을 하였다.

이 책에 나오는 고대 그리스 과학자들은  '수를 믿으시오'나 세계는 무엇으로 되어 있을까? 등 사람들에게 새로운 질문과 지혜를 던져 준 고마운 사람들이다. 고대 그리스 과학자들에게는 공통점이 한 가지 있었다. 모두 상상력이 아주 풍부하다는 것이다.

나는 이 책에 나온 고대 그리스 과학자들 중에 아낙사고라스가 제일 좋았다. 왜냐하면 죽들 때 마지막 유언으로 자신이 죽은 날을 어린이들을 위한 공휴일로 정해 달라고 했기 때문이다. 나는 아낙사고라스처럼 다른 사람을 생각해주는 사람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구리와 뱀 보리 어린이 첫 도감 1
도토리 지음, 이주용 그림, 심재한 감수 / 보리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구리와 뱀"에는 세밀화로 그린 양서류와 파충류가 있다.

개구리, 두꺼비, 도롱뇽 같은 동물을 양서류라고 한다. 뱀과 도마뱀과 거북을 파충류라고 한다.

나는 이 책을 직접 그리고 쓴 이주용아저씨 이야기를 듣는 곳에 갔다.

그 곳은(인사동) 자기가 그림을 그릴 수도 있었다. 당연히 나도 하나 그렸다. 또 도장 찍는 것도 있었는데

지우개로 만든 것이었다. 너무너무 예쁘고 멋있어서 다 찍어 보았다.

거북이 개구리 뱀 도마뱀 도롱뇽이 세밀화가 아닌 간단하고 예쁜 도장으로 새겨져 있었다


이 책의 그림은 너무너무 잘 그려서 사진을 찍은 줄 알았다.

그래서 눈이 휘둥그레졌다. 

눈을 아주 똑바로 뜨고 이 책을 열심히 볼 수 밖에 없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9-05 20: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miony 2006-09-06 2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난 저 도장 셩이나 셩이 언니가 직접 판 건 줄 알고 감탄했었는데 아니었구나!!!
 
한국사 탐험대 3 - 테마로 보는 우리 역사_ 교통 통신
홍영의 지음, 박원홍 그림 / 웅진주니어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사 탐험대의 좋은 점 ---

1. 옛날 교통, 통신의 역사를 자세히 알 수 있다.

 2. 주인공과 친구들을 이용해 대화식으로 얘기하면서 재밌게 알려준다

  3. 주제에 관해 있었던 일, 관련 된 이야기등 특별한 사건들도 함께 알려준다.

  4. 그냥 한국사 책보다 다 이야기하는 거니까 이게 더 재밌다.

  5. 3학년 이상이 읽으면 훨씬 더 재밌을 것이다.  3학년 사회 교과서에 나오니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9-03 22: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6-09-03 23:3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