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짊의 핵심은 어버이를 섬기는 것이고 의로움의 핵심은 형을 따르는 것이다.
사람이 어질다는 것의 근본은 어버이를 효도로 섬기는 것에 있고 의롭다는 것의 근본은 형제간의 우애에 있음을 말한 것입니다.-28쪽
성실에 감동 되지 않는 사람은 없고 성실하지 않고서 남을 감동시킨 사람은 없다
모든 일에 성실하면 남들이 신임한다는 뜻-34쪽
남을 사랑하는 사람은 늘 사랑을 받고 남을 공경하는 사람은 늘 공경을 받는다
내가 먼저 남을 사랑하고 공경해야 남도 나에게 그렇게 한다는 뜻-38쪽
널리 배워서 상세하게 풀어 나감은 그것을 바탕으로 요점을 풀려 함이다.
학문을 닦는 것은 그 자체보다 그것을 바탕으로 해낼 수 있기에 더 귀중하다는 뜻입니다.-46쪽
옛날의 어진 이들은 자기의 덕을 밝게 닦아 남을 인도하였는데 지금은 흐려진 덕으로 남을 인도하려고 한다.
남을 인도하려면 나부터 몸과 마음가짐을 바르게 해야 한다는 가르침-62쪽
마음을 수양하는데는 욕망을 적게 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다
인간의 끝없는 욕심을 경계한 말-64 쪽
달아 봐야 무겁고 가벼움을 알고 재어 봐야 길고 짧은 걸 알게 되며 마음은 더욱 그렇다
사물은 겉보기 만으로 판단할 수 없으며 사람의 마음은 더욱 더 알기 힘들다는 뜻-68쪽
사람이 짐승과 다른 점은 극히 적다. 보통 사람은 그 점을 버리고 군자는 그 점을 지니고 있다.
사람이 짐승과 다른 점은 별로 없으나 사람에게 仁과 義가 있다는 것이 다르다는 뜻 인은 착하고 어질다는 뜻 의는 옳은 행동이라는 뜻-72 쪽
받을 만도 하고 받지 않을 만도 한데 받으면 청렴을 해친다. 줄만도 하고 주지 않을만도 한데 주면 은혜를 해친다.
매사에 분별있게 처신하라는 가르침-75쪽
작은 부분을 기르는 사람은 소인이 되고 큰 부분을 기르는 사람은 대인이 된다
몸에 작은 부분을 기른다는 것은 육신의 욕망을 충족시킴이요 큰 부분이라함은 인자함과 의로움을 펴 나감을 말한다.-79쪽
자기의 마음을 다하면 자기의 본성을 안다. 자기의 본성을 알면 하늘을 알게 된다
자신의 마음을 다하여 올바르게 살도록 노력하라는 뜻-85 쪽
아껴주는 데도 가까워지지 않으면 인자함에 대해 반성하고 다스리는 데도 다스려지지 않으면 지혜를 반성한다.
일이 뜻대로 되지 않을 경우 남을 원망하지 않고 스스로 반성하고 바로 잡아 간다는 뜻-88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