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님의 침묵 ㅣ 미래사 한국대표시인 100인선 4
한용운 지음 / 미래사 / 2002년 5월
평점 :
절판
시중에 나와 있는 많은 시전집 시리즈 중에 디자인 면에서 볼 때 가장 낫다. 하지만 의외로 오타가 많음은 아마 저가의 책을 만드느라 미쳐 교정작업에 많은 신경을 쓰지 않은 듯 하다. 그러나 이러한 태만이 내용은 대충 읽고 겉모양만 따지는 요즘 독서세태를 잘 겨냥한 마케팅이라 생각하니 슬픈 현실이라 생각한다. 오늘 날 출판계에 양서가 없음은 좋은 독자가 없음에 기인하는 탓이 많다.
님의 침묵... 좋은 시이다. 어떻게 보면 아주 복고 취향의 옛 노래이며 내용도 판에 박힌 봉건적 도덕률의 질곡에서 벗어날 줄을 모르는 한 여인의 궁상인데 어찌 그리 나의 마음을 이토록 사로잡을 수 있는가? 운율이나 내용 모두 새로운 시대와는 거리가 멀다. 그런데도 그런 청승맞은 여인네의 잠꼬대 같은 이런 노래에 이토록 감동하고 공감하는 이유는 뭘까.
생각해 보면 여기 나오는 여인은 참으로 행복한 것인지 고통스러워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어떤 문학평론가는 여기 나오는 여인의 상태를 메저키즘적인 것으로 단언하지만 내가 생각하기에는 꼭 그런 것만은 아닌 것 같다. 왜냐 하면 그 여인의 심리상태에 많은 사람이 공감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이것을 변태라고 까지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사실 내가 보기에 이 여인은 단지 사랑의 기쁨과 이별의 고통 사이에 끊임없이 갈등하는 것일 뿐인 것을. 여기에서 말하는 사랑은 물론 통속의 사랑이 아닌 진정한 사랑이며 그것으로 얻는 부차적인 것 세속적 명예나 일신의 안락을 꾀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한 것을 바라고 이러한 사랑의 노래를 함부로 비판하는 것은 잘못이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고차적인 최후의 사랑. 그 자체로 사랑할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랑인 것이다. 그런데 이별이후 그러한 사랑은 더이상 현실적인 것이 되지 못한 비현실이 된 상황 바로 이것이 밤마다 시인을 괴롭히고 가위눌리게 하는 눈물의 원천인 것이다. 그리고 이 것은 모든 인간에 보편적인 진정한 사랑의 현실이며 결국 사랑의 환상적 즐거움과 이별의 현실이 토해내는 한숨 간에 갈등은 불가피하다. 그래서 궁극에 시인은 깊이 없는 사랑에 빠지는 인스턴트 세태를 조소한다.
-그러나 나는 시대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도 아닙니다. 인생과 정조의 심각한 비탄을 하여 보기도 한두 번이 아닙니다.<자유정조>
-만족은 愚者난 聖者의 주관적 소유가 아니면 약자의 기대 뿐이다. <만족>
-남들은 자유를 사랑한다 하지마는, 나는 복종을 좋아하여요. <복종>
그리고 그는 모든 고통스러워 하면서도 그러한 현실을 인정하는 것을 거부한다. 아마 다음과 같은 태도는 시 전편에 흐르는 그의 단호한 비장감을 분명히 드러낸다.
-당신의 소리는 침묵"인가요. 당신이 노래를 부르지 아니하는 때에 당신의 노랫가락은 역력히 들립니다그려. 당신의 소리는 침묵이어요.<반비례>
아마 이 구절이 시인의 현실인식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귀절이라고 본다. 현실의 객관적 인식을 거부하는 반비례의 논리이다. 나는 이러한 시적 자아의 태도가 올바른 것인지 잘 판단할 수 있지는 않다.아마 좋은 점도 있을 것이고 나쁜 점도 다소 있을 것이다. 마지막에서야 간절히도 님을 부른다.
-오셔요. 당신은 오실 때가 되었어요.어서 오셔요. 당신은 당신의 오실 때가 언제인지 아십니까. 당신의 오실 때는 나의 기다리는 때입니다. <오셔요>
그리고 마침내는 오랜 방황 끝에 이런 고백을 한다.
-우주와 인생의 근본문제를 해결하는 대철학은 눈물의 삼매에 입정되었습니다. 나의 기다림은 나를 찾다고 못 찾고, 저의 자신까지 잃어버렸습니다. <고대>
그래서 마지막 시적 자아는 드디어 님을 찾아 행동에 나선다는 것이 바로 이 시의 테마인 듯 하다. 다시 읽어봐도 인생과 사랑의 참다운 의미를 느끼게 하고 진정한 행복의 길을 깨우치게 하는 한국문학사에 보기 드문수작이라고 생각한다. 시인이 느끼는 과도한 감상적 비애는 당시의 시대상황이 나은 어쩔 수 없는 시대성의 차이일 뿐, 언제나 이 책을 읽으면 그러한 상황속에서도 역시 사랑은 언제나 가장 높은 곳에 지고지선한 태양처럼 환히 빛난다는 존재임을 되새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