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맞아 죽을 각오를 하고 쓴 한국 한국인 비판
이케하라 마모루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1999년 1월
평점 :
품절
지은이 이케하라 상의 혼네가 무척 궁금해 지는 책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국인에 대해 비판적인 것은 혼네(본심)와 다테마에(겉치레)가 같음은 의심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하지만 이케하라 상은 비판하면서 은근히 한국에 대한 애정있음을 내비치고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것을 강조하고 마지막에는 그래도 한국의 미래가 밝다면서 그 이유로 한국인은 머리가 좋고 인정이 많으며 빨리빨리 해낼 수 있기 때문이라는 칭찬으로 끝내는데 자꾸 이것 조차 의구심이 든다. 그 얼마전에 미즈노 교수란 양반의 일도 있고 하니 아무래도 좀 그렇다. 그만큼 비판의 강도가 강하다.
온갖 무질서와 무법천지 속에 살아가는 후한무치한 사람들이 20년 가까이 관찰해 온 일본인 이케하라 상이 이 책에서 그리는 한국인이다. 말끝 마다 일본인들은 이런데 하고 비교하는 것이 책을 쓰레기통에 쳐박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할 때가 많지만 저자의 지적을 굳이 부인하고 싶지 않다. 저자가 말하지 않아도 너무도 잘아는 대한민국의 실상이자 나의 일상이기 때문이다. 일본에게 혼네와 다테마에가 있다면 한국에는 저자 말마따나 국민소득 1만달러를 넘어서고 민주주의를 정착시킨 유일한 아시아국가라는 한국 매스컴의 자화자찬 뒤 일백달러 수준에도 못 미치는 시민 의식의 배리가 있는 것이다. 이케하라 상의 말을 듣고 다시 한국을 돌아보니 서글프지만 도무지 질서란 찾아 볼 수가 없다란 생각이 든다. 사실 다 아는 얘기이지만 생활 습관 속에 너무 깊숙히 만성화해서 이제는 나쁜지도 모르게 되버린 그런 일들을 한 일본인이 일깨원 준 것이다. 저자 지적대로 민주주의도 가장 먼저 정착시킨 경제도 가장 압축적으로 성장시킨 한국인이기에 이렇게 일단 알게 되었을 때는 어느 다른 민족보다도 빨리 고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불치하문(不恥下問)이라 한다. 하물며 우리보다 몇 배 잘사는 일본 국민의 충고인데 말이다. 저자인 이께하라 상에게 할 말이 있다면 아쉽게도 충고는 받아들이지만 그럼에도 일본인은 왠지 별로 닮고 싶지는 않다는 것이다. 이께하라 상은 전쟁이전 태생이라 연세가 있으셔서 그런지 매우 보수적인 것 같다. "(일본에서) 친구가 장관이라는 지위에 오르면 나머지 친구들은 그날로 모두 사직서를 낸다" "동생하고 싸움을 하면 아버지는 칼 두 자루를 우리 앞에 꺼내 놓았다. 이왕 싸우려면 '확실하게' 칼을 들고 싸우라는 뜻이다" 아마 이께하라 상이 가끔 커피 한 잔 하면서 향수에 젖어 그려보는 가장 완전한 국가의 모습이 대동아 전쟁전의 대일본 제국이 아닐까하는 심한 장면이 내 머리 속에 오버랩되었다. 그렇더라도 개인의 취향이나 기호를 탓하고 싶은 마음은 없지만 아무래도 찜찜함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