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철학사 2 한길그레이트북스 4
라다크리슈난 지음, 이거룡 옮김 / 한길사 / 199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적으로 인도대륙은 전세계 모든 문명 특히 몇몇 주요한 문명들에게 심대한 영향을 미쳐왔다는 것을 우리는 곧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우리나라의 경우도 결코 예외가 될 수 없으며, 비록 조선시대를 거치며 그 기억이 많이 퇴색되어 희미해졌지만 신라시대에는 불교라는 종교를 매개로 많은 지성인들이 인도문화와의 직간접의 교류를 시도하고 그들의 앞선 사상체계를 받아들여 스스로의 상황에 맞춰 재창조하는데 심혈을 기울였음을 알 것이다.

인도철학사를 읽게 되면 이러한 인도문명의 수준이 이와 같이 일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정도보다 훨씸 심원한 경지에 있었음을 더 절실히 이해하게 될 것이다. 개인적으로 인도철학을 공부하면서 놀라게 된 사실은 산스크리트어의 문자들이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게된 "가장 완전한 문자"인 한글의 한 모형이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우리의 미음에 해당하는 글자를 보면 이를 여실히 느낄 수 있다. 조선시대에 한글창제를 위해 신숙주가 인도에 갔었다는 것이 단순히 놀러 갔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인도 철학의 내용을 살펴보더라도 그들의 사유구조가 당대의 서구라파의 철학이나 중국의 철학에 비해 오히려 더 아방가드르적이었으며 결코 뒤지지 않는 사상체계를 건립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단순히 여러가지 자유적인 비정통 사상에 의한 인식론 뿐 아니라 자아 성찰 및 도덕적인 삶과 그것에 이르는 수단을 강구하는 데 있어서도 현대인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책이라고 확신한다.

이 책은 불교와 자이나교와 같은 이단 즉 "외도"에 대해 매우 심도 있게 다루고 있으며 그를 통해 한국불교와 인도불교와의 차이를 가늠해 볼 수 있다. 또한 인도의 소위 정통 육파사상의 사상에 대해 체계적인 접근을 하고 있으면서 상카라나 라나누사 등의 근래의 천재 우파니샤드 주석가 들에 전재되온 불이론적 인도 철학의 정수를 무난하게 설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값이 비싼 것은 흠이지만 그럭저럭 읽어 줄 만하나.

한가지 마음에 걸리는 것이 있다면 지은이 라나크리슈난이란 인물의 태도이다. 별로 마음에 안 드는 사람인 것 같다. 대개의 비유럽권 국가에서 철학사를 쓰는 사람들의 고심이란 이루 말할 수 없는 것이다. 근대에 이르러 물질적영역에서의 서구에 대한 패배는 사상적인면에서 조차 쉽게 씻을 수 없는 열등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비단 인도철학사를 기술하는 문제 뿐아니라 중국철학사의 문제역시 이러한 압박감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은 이해하고도 남음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중국철학사에 관한 저자들이 어느 정도는 서구유럽의 사상에 대한 우위성이나 자신들의 철학체계의 미흡함을 인정하는 보다 인류사적 보편성에 의거하여 자신들의 철학사를 서술하는데 반해 이 책의 저자는 어쭙지 않은 베딴따 사상이 마치 인류적 최종 가치거나 그에 가장 근접한 사상이라도 되는 것처럼 그것에 의거해 타 학설이나 서양학설을 가차없이 비판하고 있다. (잠깐 딴소리를 하자면 중국의 철학기술자들은 대체로 서양에 대한 패배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있다. 오히려 그것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소위 한국의 자칭 "동양학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마치 전노 군사정권의 정부가 미국에 미국인들보다 더 충성을 표시하듯 중국학에 더 강한 충성을 보인다.) 그래서 그런지 작가의 이런 모순된 심리상태를 나타내기나 하는 것처럼 많은 표현들이 일관성을 상실했다. 예를 들어 원시불교에 대하여 세계에서 가장 독창적인 사상이라고 서두에 칭찬하더니 느닷없이 그 장에 석가모니에 대한 평에서 애써 그의 사상이 우파니샤드에 내재된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라는 황당한 말을 한다. 이것은 명백히 모순이다. 물론 이 책은 이렇듯 많은 시각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분명한 것은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문화적 대립과 이질감을 넘어 그것을 이해하여 자신의 살에 보탤 수 있는 창조적인 원동력을 얻기를 바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818 2013-02-24 17: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꼭 물질적으로 정복했다고해서, 우월한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환원주의적 접근이 엄청난 힘을 가진건 사실이지만, 결국 환원주의적으로 과학적 관찰값을 토대로 우주를 구성해보니, 기타에 나온 온 세상이 마야라더라 라는 결론이 나온 것을 보면, 서양식 환원주의적 철학이 인도 철학보다 우위라고 생각은 안합니다. 서로 강점을 절충해야지, 환원주의적 사고 방식이 파워풀한 툴이어도, 어느 순간부터는 그것이 덫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겁니다. 상황의 통합주의적인 인식의 부재로 인한 구성의 합의 오류가 그것이고, 단순히 우리가 생각하는 정복, 피지배의 논리로 철학계의 우위를 정하는 것도 사실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몽고인은 중국인을 지배했습니다. 그러나 중국 문화에 지배당했습니다. 지배한 것은 중국인인가요? 몽고인인가요? 논리적 추론을 얘기할떄, 단순한 인과논리로 세상사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추론의 근거가 되는 귀인이 결국 또다른 귀인의 결과이며, 변수이니까요. 오히려 단순 인과논리로 세상을 이해하는 것은 오류만 낳을 뿐이며, 그 무수한 오류 덩어리가 우리의 삶을 해치는 칼과 창이되어 돌아오고 있음을 우리는 목격하고 있습니다. -환원주의, 물질주의적 세계관의 정글 속에서 생존투쟁하는 1인이....

꼴깝을떨어라 2021-08-10 01: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머래는거야 이 병신새끼는 먼 얼토당토않은 개소리를 하고 있어 책 제대로 다시 읽어 병신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