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리산 세트 - 전7권 ㅣ 이병주 전집
이병주 지음 / 한길사 / 2006년 4월
평점 :
품절
그 동안 남한의 반역자들인 빨치산에 대해서는 이미 아주 많은 소설이 써졌다. 그 중에 하나가 조정래의 <태백산맥>이다. <태백산맥>이 나오기 까지는 가장 유명한 빨치산 소설이 바로 이 소설이었다. 그러나, <태백산맥>이 진보적인 시각에서 빨치산의 형성과 발전 전개 과정을 다룬데 비해, 우익 성향 작가의 이문열의 이 글에대한 추천사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이 글은 다소 보수적인 관점에서 빨치산과 남한내 좌익진영의 활약을 비판적으로 다룬다는 점이 대비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두 소설 모두 기본적으로 빨치산 개개인에 대해서는 항일의식과 투쟁 경험을 가진 열정적 애국자들이라는 면에서는 공통적인 인식을 갖고 있지만, 그들의 투쟁 방향을 사실상 지도했던 남로당 등의 배후 정치세력들에 대해서는 다른 입장인 듯하다. 이 부분에 관해서 조정래는 철저히 침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저자 이병주의 경우 그들에 대한 책임을 엄중하게 묻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어떤 면에서는 다큐멘터리라고 할 수 있지만 소설로서 예술성 면에서는 <태백산맥>과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표현 기교에서도 마치 하나의 우화나 동화를 보는 느낌으로서 사건전개가 평이하고 나오는 인물들도 매우 순진하고 평면적인 인물들이다. 그런가 하면 후기에서 "작중에 등장하는 인물은 대부분 실존인물이다"라고 하였지만 대부분 그렇지 않아 보인다는 점이다. 박태영과 같은 인물 이규같은 인물들이 과연 실존인물이란 것은 도저히 믿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현상과 같이 실명을 쓴 사람의 경우도 상당히 소박하고 단순한 인물로 처리되고 있다. 그는 남로당의 입장을 대변하는 인물이지 실제의 이현상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대표하는하준규의 경우 하준수로 짐작은 되지만 주요 사건은 맞지만 성격과 같은 것들은 저자가 임의로 단순화 시켜놓은 말하자면 작가가 만들어낸 작중인물에 불과한 듯 하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즉 이 소설의 상당부분이 저자의 주관에 의해 인위적으로 재구성되었다는 의심의 소지가 있지만, 그 대신 소설 <태백산맥>이 짚어내지 못하는 문제들과 함께 현대한국사에 대한 저자의 고뇌와 문제의식을 여러가지 사상과 문예사조 등과 결합시키고 있다. 그런 면에서 이 긴 다큐멘터리야 말로 저자의 투철한 역사의식의 산물임을 의심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편집자 이문열 말대로 "균형 있는 시대정신의 회복"이란 면에서 까지 이 소설의 의미를 폄하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저자가 오랜 경험을 통해 쌓아온 고민의 성과들을 공유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아쉬운 점은 이것이 사상적으로 상당히 제약받은 7-80년대의 작품이라 <태백산맥>과 같은 시대에 씌어졌다면 좀더 직설적일 수 있을 지 않았을까하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