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읽은 책들을 정리해보니 단편집을 읽기는 많이 읽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읽었던 책들에는 대부분 중복되는 단편들이 많았다.

<사랑에 대하여>에도 읽었던 단편들이 보이긴 했지만 새로운 작품들이 많아서 

아들에게 생일 선물로 사달라고 했었다.

그 중 표제작 '사랑에 대하여'를 먼저 읽었다.


"사랑은 어떻게 생겨날까요?" 알료힌이 말했다. "왜 펠라게야는 기질이나 외모가 자기한테 잘 어울리는 다른 누군가를 사랑하지 않고 하필 나카노르 같은 화상- 우리 집에서는 모두들 그를 화상이라고 부르죠.-을 사랑하게 됐을까요? 사랑에 있어선 개인의 행복이 중요한 문제인 만큼 그 모든 걸 알 수 없겠지만, 누구든 자기 마음대로 해석할 순 있겠죠. 지금까지 논쟁의 여지가 없는 단 하나의 진실이 있다면, 바로 '사랑의 신비는 아주 크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사랑에 대해 쓰고 이야기했던 다른 모든 것들은 해명이 아니라 오히려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을 제기한 데에 불과하죠. 어느 한 경우에 적합해 보이는 설명도 다른 열 가지 경우엔 적합하지 않아요. 내 생각에 가장 좋은 방법은 일반화하려 애쓰지 말고 각각의 경우를 따로따로 설명하는 겁니다. 의사들이 말하듯 각각의 경우를 개별화해야만 해요." - p 210


알료힌은 이 말을 끝낸 후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했다. 사랑을 느낀 안나가 있었지만 그녀에게는 남편과 아이가 있었다. 안나도 같은 마음이었지만 각자의 이유로 고백하지 못한다. 안나가 요양차 떠나야하는 날 그들은 사랑을 고백하고 맘을 확인했지만 그로써 끝. 영원히 헤어졌다. 


그리고 쓰라린 고통을 느끼며,우리의 사랑을 방해한 모든 것들이 얼마나 쓸데없고 하찮고 거짓되었는지를 비로소 알게 되었지요. 사랑을 할 때 그 사랑을 논하려면 일반적인 의미의 죄와 선, 행복이나 불행보다 더 중요하고 높은 곳에서 출발해야만 하고, 그러지 않으면 절대 사랑을 논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p222


하지만 우리의 인생을 결정하는 것은 쓸데없고 하찮게 여겨지는 그것들 때문에 또 지켜나가지는 것도 있지 않을까?

서로의 열정을 어찌할 수 없어 불륜이라는 이름으로 낙인 찍혀버리는 사랑이 되어버리지 않을까 했는데, 체호프는 이 작품에서는 주인공들이 다른 선택을 하게 했다. 난 왜 이런 결말이 맘에 드는걸까? 


바로 다음 작품인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에서는 불륜을 저지르게 해버리지만. 사랑은 일반화해서는 안되는 것이 정답인 것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