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아가씨 페이지터너스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남기철 옮김 / 빛소굴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믿고 읽는 츠바이크다. <어제의 세계>로 처음 만났는데, 첫 만남 이후로 그의 팬이 되어버렸다. 전기 작가로 유명하지만, 소설들에서 보여주는 심리묘사는 정말 탁월하다.  츠바이크는 소설의 제목을 '우체국 아가씨 이야기'로 정했는데 1982년 독일에서 원제는 '변신의 도취'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고 한다. 2011년 <크리스티네,변신에 도취하다>로 출간된 책의 판권이 만료되어 빛소굴에서 재출간되었다는데, 빛소굴에서는 츠바이크의 뜻을 존중하는 제목을 붙인건가싶다. 

오스트리아의 시골 마을 우체국에서 일하는 28살 크리스티네가 주인공이다. 시간적 배경은 1926년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다. 전쟁으로 아버지와 오빠도 잃고, 병든 어머니를 모시고 가난으로 찌든 초라한 삶을 살고 있다. 청춘은 모두 빼앗겨버렸다. 미래에 대한 희망도 가지지 않은 채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던 그녀에게 이모의 초대장이 날아오면서 변화가 일어났다. 알프스 최고급 휴양지에서의 며칠은 그녀에게 새로운 세상을 보여주었고, 호화롭고 풍요로운 생활에 젖어들게했다.  하지만, 그녀를 시기질투했던 한 여자로 인해 그녀에 대한 평판은 달라졌고, 자신의 어두운 과거가 들통날까 두려웠던 이모는 크리스티네를 고향으로 돌려보냈다. 일장춘몽이라고 해야할까? 고향으로 돌아오니 엄마는 돌아가셨고, 가난하고 희망도 없는 원래의 삶만이 기다리고 있었다. 부유한 생활을 경험했기에 눈 앞에 있는 현실에 화가 났고, 타인에게 그 분노를 발산했다.  그녀는 형부의 전우였던 페르디난트를 알게 되었다. 그도 전쟁으로 인해 모든 것을 빼앗기고, 하루 하루 연명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이었다. 서로의 아픔을 이해하며 가까워지는데, 그들에게 희망은 보이지 않았다. 그들은 자살을 결심하는데, 그 순간 새로운 희망(?)이 그들 앞에 나타났다. 그들은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기기로 하는데......여기서 소설은 끝이 났다. 역자 후기를 읽어보니, 이 소설은 츠바이크가 1942년 자살한 이후에 유고 더미에서 발견된 것으로, 츠바이크 전문가들은 미완성이라는 의견에 모두 동의하고 있다고 했다. 마지막 장을 읽었을 때 뭔가 아쉽다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런 이유였나보다. 하지만, 열린 결말로 이후 어떻게 될까 상상해보는 재미가 있었다. 계획대로 이루어져 행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인가? 진정한 행복이라고는 할 수 없겠지만.

너무나 현실적이라고 느껴졌다.  부잣집 남자를 만나 신분상승(?) 을 하는 걸까싶었는데 동화와는 달랐다. 남자들은 자신에게 불이익이 오겠다고 싶을 때는 과감히 물러났다. 뭔가 극적인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하는 기대를 하는 순간 기대는 무너졌다. 그렇지. 그렇게 단순하게 끝날 이야기가 아니지.  이모도 결국 자신의 안위를 챙기기에 바빠서 조카를 버린거나 다름없었다. 사탕을 줘서 단맛을 알게 한 다음 과감히 뺏어버리는. 차마 주지 않은 것보다는 못한 처사였다. 페르디난트와의 만남에서도 뭔가 해피엔딩을 가져오려는 장치인가 했는데, 자신이 처한 위치를 더 적나라하게 알려주는 사람일 뿐이었다. 츠바이크는 그런 쓸데없는 희망을 주지 않았다. 그러고보니 다른 소설에서도 그랬던 것같다. 주인공 입장에서 카타르시스적인 해피 엔딩을 쉽사리 안겨주지 않았다. 



두 사람은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돈의 위력을 실감했다. 돈은 있을 때 강력한 힘을 발휘하지만, 없을 때는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법이다. 따라서 ,돈은 '자유'라는 거룩한 선물을 주기도 하지만, 돈이 없어 어쩔 수 없이 단념해야 할 일이 생기면 분노가 솟구치게 된다.-p356



그 분노는 누구를 향하게 되는 것일까? 결국, 자신을 죽이거나 타인에 대한 위해로 다가올 수 밖에 없다. 총성없는 전쟁 속에 살고 있다고도 할 수 있는 현 사회에서 가장 두려운 것이 개개인의 분노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소설 속 크리스티네가 그랬고, 그들이 하려고 하는 일도 타인을 고통 속에 빠트리는 일일뿐이니까.  소설의 전반부에서는 크리스티네의 감정 변화가 너무나도 리얼하게 전해져왔다. 마치, 내가 크리스티네가 된듯한 기분이 들정도로. 후반부에서는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페르디난트의 등장으로 사회문제를 꼬집었다. 페르디난트가 내뱉는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전쟁 후 오스트리아 사회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지만,현 사회를 꼬집는듯한 느낌이었다.  권력, 부를 가진 집단과 아무리 발버둥쳐도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는 사람들의 대비. 그렇게 만드는 사회구조. 가난한 여인의 인생 역전기 정도로 생각했는데 , 츠바이크를 잠시 잊고 있었나보다.  언제나 그랬듯 그의 글은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