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칠십대 중반에 암에 걸린후에 다행히 수술과 항암 치료로 완치된 그는 매번 의사을 만날때마다  푸념을 늘어 놓는다. 이 나이에 암이 치료되었어서도, 돈도 없고, 마누라도없고 (십여전전 부인과는 사별), 친구도 없어 외롭고 쓸쓸 할 뿐 사는 재미가 전혀 없다. 하루 하루 공원이나 거리를 배회하면서 지낼뿐으로 , 행복하고 즐겁게 사는 다른 사람들을 보면, 자신은 아무런 희망도 없으며,  오로지  편안히 죽는 것이 유일한 희망이니 좀 도와달라며, 자신의 목을 손으로 베는 듯한 포즈를 취하는 것이다.  이렇게 올때 마다 죽고싶다고 하소연이니  난감하다. 한번은 환자 대신 40 대 아들이 찾아왔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는마음이 덜컹하였으나, 사실은 구청에 제출할 아버님의 진단서가 필요하여 온 것이라 한다.아들에게 당신 아버지가 매번 안락사를 원하시니, 잘 살펴보고 , 즐거운 일을 좀 만들어 보라고 하니, 이 소리를 들은 아들은  큰 소리로 웃으면서, 아버님은 자신이 어렸을 때 부터 지금까지 계속 수십년간 죽고싶다는 이야기를  계속 해오셨다고 말하며, 별로 걱정이 되는 상황이  아니며, 사실은 아버님이  그런대로 이런저런 활동을  하시면서 잘 지내고 계시니,  크게 염려스러운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2. 80대 후반인 전직 교장 선생님은  폐암으로 진단 받고  항암 치료를 받고 병세가 일부  호전되어서 정기적인 진찰만 받고있다. 그는 무엇보다 자식에게도 폐가되고, 자신도 이미 쇄약해져서 평생 즐기던 자전거 타기도 할 수없는 상태이며, 더살아도 특별한 의미가 없다고 하면서, 이제는 의사가 자신을 편안히 죽을 수 있도록  안락사 시켜주면 좋겠다고 말한다.  역시교장선생님으로 최근 정년 퇴직한 그의 아들은 매번 아버님을 병원에 모셔오지만, 그때마다  안락사를 요구하는 아버지를 보면서 난감한 표정을 짓는다. 법적으로도 그렇고, 실제로도 안락사를 시켜드릴 수없다고 여러번 말하지만, 환자는  자신의 생은 이미 실질적으로는 끝난 것이니, 더 오래 사는 것이 전혀 의미가없다고 말한다. 한동안의 강력한 안락사의 요구를 듣다가   환자가 살아잇는 것이 다른 의미가 있을 수 있다고 말한다.  즉 아버지가 죽으면 아들은  다음 차례가 자신이라는 것을 알게되어, 죽음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갖고  남은 생을 살게된다. 따라서 아버님이 오래 살아계셔야  자식들도 자신의 차례가 아직은 아님을 알고 편안히 살 수있다.  결국 아버님이 오래 사시는 것 자체가  자손에게도 적지않은 위안이 되는 것이니 아들을 위해서 죽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말씀드린다.   이에 환자는 이후 더 이상은  안락사를 요구하지 않게되었다.

 

 

 

 

3.   미국의 유명한 종양내과 전문의 에제키엘 앰마누엘은 자신은 75세 까지만 살고싶다고 공개적으로 천명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의지를 The Atlantic  잡지에 실었다.  그의 주장은,   극 히 드문 예외를 제외하고, 인간은 75세가  넘으면 대부분의 정ㅅ니적 신체적 기능이 급격히 악화되어, 자신도 물론이거니와 자신을 기억해주는 사람에게도 좋지 않다. 즉 너무 오래 살게되면 자신의 가족이나 손자 등도 , 자신의 추하고 늙은 모습만을 기억할 뿐이다. 따라서 75세 이후에도 굳이  수명을 연장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75세에 안락사를 택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안락사 반대론자이다.. 다만, 75세 이후의 수명연장을 위한 모든 의학적 처치를거부한다는 것이다. 건강 검징이 나 수술은 물론이거니와, 예를 들면 폐렴에 걸렸을때에도 항생제 주사를 맞지 않겠다는 것도 포함된다.  에제킬 엠마누엘이 워넉 유명한 의사이기도 하여, 75세에 죽고싶다는 그의 글은 이후에 상당한 논란을 일으켰다.

 

 

4. 암을 치료하는 어떤 의사는 자신은 너무 오래 살고 싶지 않으므로, , 수명을 적당히 단축하고, 너무 오래까지 사는 것은  막기 위하여, 60 세가 되는 시점부터  담배를 피울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한다.

 

5. 오래 사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어떻게 살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없이는 무의미한 삶이 될 수있다. 

 

6. 언제까지  살것인가를 생각해보는 것은 유용한  일이고 의미 있으나, 살아가면서 생각이 바뀌리라는 것도 명확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락사는 고통스러운 삶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있는 가?

 

낭포성 섬유증을 앓고있는 "발렌티나 마우레이"라는  14세 칠레 소녀가 대통령에게 자신의 고통스러운 삶을 존엄하게 마감하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안락사를 요청했다는 내용이 메스컴에 보되고있다.  낭포성 섬유증은 선천성 질환으로 치료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심각한 호흡장애를 일으킨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녀의 삶이 얼마나 고통스러울 것인지는 어느 정도 짐작이 간다.  한창 즐겁기만 해야할 14세 소녀가 자신의 안락사를 청원하기 까지 얼마나 많은 고통을 감내해야 했을까?

 

그녀가 의사들의 전문적인 도움으로 편안하게죽을 수만 있다면,  고통스러운 삶을 이어가야 하는  그녀뿐 아니라, 이를지켜보아야 하는 모든 사람들의 고통도 해결되는 것일까 ? 모든 것이 해피엔딩으로 마무리되는 것일까? 그녀가 편안히 죽은 것으로 남은 사람들은 다시 아무일도 없었던 것처럼 행복하게 살게되는 것일까 ? 또 고통스러운 삶을 호소하는 사람이 다시 나타나면, 다시 편안한 죽음을 맞도록 안락사를 시켜주고, 나머지 사람들은 다시 행복하게 살 수있는 것일까?

 

모든 것이 이토록 간단히 해결된다면, 세계 각국에서 일어나는 온갖 불행, 각 지역의 분쟁이니나, 기아, 갈등도 쉽게 해결 할 수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부모와 자식간의 간단한 갈등도 쉽게 해결하기 어려운것이 현실이고, 인생이다.  가끔 찾아오는 두통과 소화불량도 쉽게 해결할 수 없다. 총과 약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잇는 문제는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Michelle Bachelet, right, poses for a selfie with Valentina Maureira on Saturday.

Michelle Bachelet, right, poses for a selfie with Valentina Maureira on Saturday. Photograph: uncredit/AP

 

안락사는 절대로 고통스러운 삶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없다.

 

굳이 부처나 성인의 말씀을 인용치 않더라도, 인간은 태어나면서 여러가지 극심한 고통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물론 그 고통은 이 소녀의 경우처럼 선천적인 질병일 수도 있고, 우울증으로 인한 고통일 수도 있고, 스티븐 호킹 처럼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고통일 수도 있다.  사업에 실패하여 받는  경제적  고통, 친한 사람들과의 갈등으로 인한 고통 , 인간과의 갈등에서오는  감정적인 고통,  .. 인간이 겪어야 하는 고통은 해아릴 수없다. 어쩌면 누구나 어떤 시기에는 어느 정도의 고통을 겪는다고 해야 할 것이다.

 

누구에게든 고통을 겪는 사람에게는 주위의 도움이 필요하다. 질병으로 인한 고통에는 치료가 필요하고, 치료약이 없으며, 고통을 줄여주는 보살핌과 위로가  필요하다. 경제적 고통을 겪는 사람에게는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다. 배고픈 사람에게는 음식물이 필요하고, 목마른 사람에게는 물을 주어야 한다.  감정적인 고통이라면, 음악이나 예술, 친구가 필요하다. 모든 인간은 고통을 받고있으면, 그에 따른 주위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래서 인간은 서로 돕고 서로 도움을 받으면서 살아가야  할 수밖에 없다. 

 

발렌티나 마우레이에게 필요한 것은 안락사가 아니다. 당연히 경제적인 도움이 필요할 것이고, 더불어  감정적인 도움이 더욱 필요하다. 필요하다면, 때때로는 의학적으로 고통을 느끼지 못하도록 반 수면 상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인간이라는것  자체가 이미 치명적인 죽음을 피할 수없는 불치병이고, 고통스러운 존재이다. 불치의 병이고 삶이 고통스럽다고해서 안락사를 시켜야 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현대 사회에서 안락사가 논의되는 이유는, 이들 고통에 처한 사람을을 돕지 않기 위한 방편이 될뿐이다. 고통을 받는 사람들에게는 안락사가 아니라, 우리 자신의 돈과 시간과 재산을  동원하여 도우려는 의지와 행동이  필요할 뿐이다. 

 

안락사는 이모든 노력을 하지 않겠다는 발상일 뿐 어떤 해결책도 될 수없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탈자 2021-02-22 1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락사가 아무런 해결책이 될 구 없다고 하는군요. 마치 신처럼 오만 하시군요. 만약 당신이 그들과 동일한 입장이 되었을 때도 그렇게 말할 수 있을까요? 가까운 노인 병원, 요양원에 한번 가보세요. 아무것도 못하고 삽관에 의한 식사 연명등등...... 그래도 그렇게 생각하신다면 당신에게 그런 경험의 은사가 꼭 선사가 될 것 입니다.
 
아게망
이타미 주조 감독, 츠가와 마사히코 외 출연 / 나무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1990년대 거픔 경제의 최고점에서 돈에 휘둘리는일본을 마음껏 조롱한 정치 코메디 풍자극이자..  그대로 한편의 19금 사회  일본 풍속화를 보는 듯하다. 

 

버려진 아이로 시작하여.. 게이샤가되고, 스님의 첩으로 사회에 들어와서.. 여러 남자를 거쳐서 자신의 사랑을 쟁취하는 당돌하고, 사랑스러운, 남자에게 복을 주는 여성 (아게망), 나요코를 통해서본.. 버블 정점의 일본의 적나라한 누드화라고 해야 할지..  

 

일본이 넘치는  돈과 여자와 술에 잔뜩 취해있던 바로 그시점에.. 이 모든 것이 한낱 일장 춘몽임을 직시하는 냉정하면서도, 유쾌한 시선이 있었다는 점이 놀랍다.  일본 수상직을 돈으로 사고 팔뿐 아니라.. 트렁크 가득 현찰을 담아서 어두운 밤에 길위에 놓고 거래하는 국회의원들..... 공개적으로 대놓고 축첩하는 스님과 그것을 당연시하는  가족과 사회,  정치인과 수시로로 밀통하고 결합하는 은행의 회장님들.. 모두가 한창 성장의 과실과 돈에 잔뜩  취해있었을  때에도 ..그것도 코메디로 .. 수상이건, 정치인이건.. 아니면.. 종교인이건 마음껏 조롱한  이타미 쥬조 감독의  패기와 그것을 가능케 한 당시의 일본 사회가 ...엄청난 흥행성적.. 너무나 부럽다.  누군가 이영화를 그대로 베껴서 2015년 한국에서 만들어주면 정말  좋겠는데..

 

물론 이런 영화를 만들고도.. 이타미 주조라도 무사할 수 있었을까?  그렇다면 결국 타살이 의심되는 자살? 로 1997년 생을 마감한 " 총으로 위협당하는 가운데 삶을 마감한 "  그의 삶이 아쉽고도 애통하다.  그래도 일본은 990년 대 초가 아뭍튼 정점이었다고 생각된다.  이후의 일본은 이정도의 인물도 갖을 수도 없는 이류 국가로 전락한듯 하다. 우리야 뭐..

 

그나저나, 주연을 맡은 미야모토 노부코는 촬영 당시 45세이었어야 하는 데.. 너무나 사랑스럽다.

자신의 부인인 노부코를 . 아무리 배우라고는하지만..  홀딱 벗겨서 필름에 담는 배짱..    과연 구로자와 이키라 이후 최대의 감독으로 칭송 받는 이타미 쥬조 감독 답다.

미야모토 노부코  미야모투 노부코의 최근 사진인듯.. 70세에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년 의학의 화두는 콜레스테롤이 될 듯하다.

 

연초 부터 각종 신문과 방송에서 콜레스테롤에 대한 기사를 쏟아내고있다. 제목부터 자극적이다. " 건강의적  콜레스테롤, 40년만에 누명을 벗다. YTN, 콜레스테롤 수치 높아도 건강에 이상없다. 조선일보,  미국 콜레스테롤 경고 40년만에 사라진다. 등등  

 

이러한 사태의 가장 큰 진원지는 미국 정부이다.  미국정부는 하버드 대학의 식사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더이상 계란과 베이컨등 콜레스테롤이 높은 동물성 음식에 대한 경고를 철회한다는 것이다. 지난 수십년동안, 거의 50 여년간,  동물성 지방, 특히 콜레스테롤은 고혈압 심장병 당뇨병의 주범으로 지목받아서, 가급적 먹지 말라고 협박 해왔는데.. 이제 미국의 (DGAC·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에서 그것을 철회하겠다는 것이다.  (You don’t need to worry about cholesterol in your food. Harvard Helath Publication 2015)

 

Never underestimate the power of human stupidity.  - Robert A. Heinlein

 

계란이나 베이컨, 스테이크는 일주일에 몆번 이내로 먹으라는 둥.. 온갖 협박을 지난 50년동안 해댔으나,  오히려 고혈압, 심장병, 암, 당뇨병은 늘어만 가고있었는데.. 이제와서는.. 콜레스테롤을 걱정하지 말고 마음껏 먹으라고 한다.  거기다가 소금 섭취에 대한 제한도 약하게 할 예정이라고 한다.  소금도 걱정말고 콜레스테롤도 걱정말고 먹어도 된다니, 그럼 그동안의 말들은 모두 거짓이었다는 것인가?

 

사실1970년대에 고혈압, 심장병의 주범으로 동물성 지방을 지목한 것 부터가.. 즉 처음부터.. 특별히 과학적인 근거가 조금이라도 있었던게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당시 기세등등한 채식주의 생리학자   Angel Keys와 영양 위원위원회를 주관한 McGovern’s Senate committee의 정치적인 타협의 산물일 뿐.. 거기에 일부 채식주의  편향의 연방 공무원의 합작으로 .. 동물성 지방을 희생양으로 삼아서 일어난 일이라는 것이밝혀지고있다. 

 

그렇다면, 콜레스텔로롤 이 높다고 약을 먹는 것은 어떻게 해야 하나? ..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니 계속 먹어야 한단다.  물론이다. 우리나라만 해도 한해 수천억원이 콜레스테롤 약에 쓰이고 있다. 전세계적으로는 그양말로 천문학 적인 금액이다. 사실상 현대의학 자체가 콜레스테롤에 의지하고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제 그 현대의학의 기본이 뿌리부터 흔들이고 있다. 아무리 이세상에 믿을 것이 없다고 해도.. 지난 50년동안  잘못 먹어왔다?  인간이 이토록 멍청한 것인지는 .. 도저히 알 수가 없다.  

이미 작년에 "타임"지는 속죄의 표시로  " 버터를 먹으라" 는 도발적인 표지을 선보였다.

 

현대의학의 거대한 기둥이 무너지고 있고, 이제 무었을 어떻게 먹을 것인지를.. 너무나 어처구니없게도 ..  다시  진진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 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15-02-15 15: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기사를 읽었습니다만 솔직히 별로 놀라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책으로 기사로 여러번 다루어졌던 것인데 이번엔 다만 미국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무슨 법령 발표 하듯이 함으로써 특별히 더 주목을 끈 것 뿐이라고 생각해서요.
현대의학의 문제점이기도 하겠고, 의학을 비의학 분야와 결탁하여 권력과 이익에 연결시키는 일종의 음모 이론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는 현실이 문제이기도 한 것 같아요.
무엇을 어떻게 먹어야할지, 진지하게 고민해야할 시점이라는 말씀에 동의하지만, 고민해서 답을 얻을 수 있을까, 답을 얻는다 한들 얼마나 자신할 수 있을까 생각하니 가슴이 더 답답해집니다. 이런 고민들 하다가 더 병을 만드는건 아닌지...^^

Ralph 2015-02-15 17:18   좋아요 0 | URL
Gery Taubes의 말대로 타임스퀘어 한복판에서 의학자와 영양학자들이 발가벗고 조롱을 당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소위 융합의 시대이니, 의학이 정치와 결탁했다고 해서 특별히 탓할것도 없을 듯하군요.. 정치, 돈, 권력과 결합하지 않은분야가 하나라도 있을 지도 의문입니다.

그래도, 양을 잃지 않으려면, 두번씩이나 늑대가 나타났다고 거짓말한 양치기라도 무시하면 안되겠죠.. 이번에 나타난 늑대는 .. 설탕입니다. 말하자면 탄수화물이죠.
 
중국인 이야기 1 김명호 중국인 이야기 1
김명호 지음 / 한길사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치 장제스와 마오쩌뚱이 비밀스럽게 만나는 자리에 저자가 같이 동석했을 뿐 아니라 두 사람의 머리속, 마음속을 이미 훤하게 알고있는 듯 이야기 한다. 사실이라도 놀랍고, 사실이 아니라도 놀랍다. 어차피 절대적 진리야 어디에도 없다는 것을 이해한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