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세대의 유대인들에게(카프카와 모리츠 골트슈타인은 벤야민보다 겨우 열 살 연상이었다), 가능했던 반역 형태가 시온주의와 공산주의였다. 그들의 아버지들이 종종 공산주의 반역보다 시온주의 반역을 더신랄하게 비난했다는 것은 참작할 만하다. 양쪽 모두 가상에서 현실로의, 허위와 자기기만에서 정직한실존으로의 탈출로였다. 하지만 되돌이켜 보니 그렇게 보이는 것뿐이다. 벤야민이 처음에는 미온적으로시온주의를 시도하고 그다음에는 마찬가지로 미온적으로 공산주의를 시도했을 당시에, 두 이데올로기의 추종자들은 최고조의 적대감으로 서로 마주하고있었다. 공산주의자는 시온주의자를 유대인 파시스트라고 헐뜯고, 시온주의자는 젊은 유대인 공산주의자를 "붉은 동화주의자"라고 부르고 있었다. - P100

벤야민은 여러 해 동안 자신에게 두 경로 모두 일어놓고 있었다. 그는 마르크스주의자가 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팔레스타인으로 가는 길을 고집하고 있었고, 마르크스주의에경도된 친구들, 특히 그들 중 유대인 친구들의 의견에 조금도 흔들리지 않았다. 여기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둘 중 어느 쪽 이데올로기의 "긍정적 측면도그의 관심을 거의 끌지 못했으며, 두 경우 모두 그에게 중요한 것은 기존 상황의 비판이라는 "부정적" 요소, 부르주아적 가상과 허위로부터의 출구, 문학적이거나 학문적인 기득권층 바깥에 있는 위치였다.
이처럼 근본적으로 비판적인 태도를 - 그것이 결국그를 어떤 고립과 외로움으로 이끌고 갈지 십중팔구생각해보지 않은 채 - 채택했을 때 그는 꽤 젊었다.
- P101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8-08 00:16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한나 아렌트가 쓴 발터 벤야민이군요. 뭔가 좀 정리가 잘 되어 있을 것 같아 저도 관심이 가네요. 조만간 찾아봐야겠어요. 철학자가 제대로 철학을 하려면 기존의 모든 권위로부터 외부인이 되어야 한다는 명제에 어쩌면 벤야민은 적합한 사람이 아니었던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드네요. ^^

그레이스 2021-08-08 00:20   좋아요 4 | URL
예 맞아요
벤야민은 자신의 위치를 비평가로 놓았고 삶의 순간마다 위태한 위치에 놓음으로 해서 어려움을 겪게 되고 결국 비극적 결말을 맞게 되었다는 ...
아렌트의 입장에서는 벤야민의 선택들이 안타까웠나봐요.

그레이스 2021-08-08 00:22   좋아요 4 | URL
책은 얇은데 인용이 많아서 시간이 걸려요
그래도 이전 번역보다는 좋고 잘 읽혀요.^^

바람돌이 2021-08-08 01:08   좋아요 2 | URL
철학책은 정말 번역이 중요한데 번역까지 괜찮다고요? 보관함으로 쑥 하고 보냅니다. ^^

그레이스 2021-08-08 07:16   좋아요 1 | URL
철학책까지는 아니고 아렌트가 본 벤야민의 삶과 주의, 저술.등 이예요
벤야민이 스스로를 철학자라고 규정하지 않았고 아렌트 역시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