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나교는 지나(승리자 또는 정복자)의 무리라는 뜻이다. 승리자란 12년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나타붓다를 말한다. 그들이 정복(극복)한 것은 내면의 집착, 탐욕, 오만, 분노 등이다. 마하트마 간디가 자이나교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오늘날 자이나교는 서인도 뭄바이 지방을 중심으로 60~ 70만 정도의 교도가 있다고 한다. 자이나교의 주요 교리들로 비폭력(아힘사, 육식 금지), 비절대주의, 무소유 등을 들 수 있다.
자이나교는 동기와 목적에 중점을 두는 불교와 달리 행동에 중점을 두는 등 문제 있는 교리, 교주의 능력 차이 등의 이유로 불교에 흡수되었다.(미즈노 고겐 지음 ‘불교의 원점‘ 168, 169 페이지) 오늘 시인 김윤선 님의 시를 통해 자이나교도들이 1년에 하루 단식을 해 그간 먹어치운 음식들과 감정의 거품들을 다 털어버린다는 내용을 알게 되었다.
내장에 쌓인 사체의 고통을 지우고 다른 누군가에게 상처를 입힌 적은 없는지, 다른 사람의 말을 왜곡하지는 않았는지, 입과 귀와 손을 씻어 말린다는 것이다. 김윤선 님은 절대 채식주의자(vegan)이다. 고대 이집트의 옥수수의 신을 기리는 오시리스 축제가 있다. ˝슬픔과 비탄에서 시작하여 환희로 끝나는 부활 기원의 의식˝이다.(도정일 지음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31 페이지)
살기 위해 오시리스 신의 화신인 옥수수의 목을 따고 밑동을 자르는 불경(不敬)을 행할 수 밖에 없는 인간 삶을 참회하는 것이다. 나도 2007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30개월간 육식을 하지 않았다. 당시 나는 시기와 이상한 어깃장의 시선을 많이 받았다. 네가 착용하는 벨트, 구두 등은 동물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당시 내 결심은 비참하게 밀집 사육되는 동물들에 대한 연민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붓다 역시 육식을 했다. 대장장이 춘다가 공양한 돼지고기(버섯 요리라는 말도 있다.)를 먹고 식중독에 걸려 열반에 든 것이다. 관건은 절제에 있다. 지금 한창 진행되고 있는 AI 대살육이 많은 연민과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음은 물론이다. 육식은 신화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 득보다 치러야 하는 댓가 또는 전가하는 피해가 크다.
그런데 순간의 쾌락(지금 육식인들로 하여금 고기를 선택하게 한는 동기는 조미료 또는 향신료 맛이다. 날 것 그대로의 고기가 아닌 것이다. 고기는 결국 시신을 먹는 것이다.)을 위해 소화시키기도 어려운 고기를 먹는 것이다. 유당 불내성 또는 유당 분해 효소 결핍증이 있다. 우유에는 탄수화물의 일종인 락토오스(유당)가 들어 있는데 일부 사람에게는 이 물질을 소화시키는 락타아제가 없다.
세계 여러 곳의 문화를 비교 연구하는 인류학자들은 연구해야 할 병증은 유당 분해 효소 결핍증이 아니라 유당 분해효소 지속증이라고 말한다고 한다.(이상희 지음 ‘인류의 기원‘ 87 페이지) 섭취된 고기는 리파아제(지방분해효소)나 프로타아제(단백질분해효소)의 도움을 받아 소화된다. 유당분해효소지속증처럼 리파아제/ 프로타아제 지속증도 연구 대상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