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6년 4월 21일부터 7월 14일까지의 기초 과정, 10월 6일부터 2017년 1월 5일까지의 심화 과정을 마치고 치른 1월 12일의 필기, 1월 19일의 시연(試演)에 무난히 대처하고 합격했습니다.
필기 시험을 망치다시피 한 뒤 시연을 치를 고궁박물관에 테마를 정하기 위해 갔으나 멘붕 상태로 한동안 앉아 있어야 했습니다.
그런 제게 정조(正租)와 관련이 깊은 동궁(東宮)과 후원(後苑) 전시물들이 눈에 띄었습니다. 정조가 의빈 성씨에게서 얻은 아들 순을 세 살때 세자로 책봉하며 내린 옥인(玉印),
그 책봉 상황을 대나무 쪽에 엮어 만든 문서인 죽책(竹冊), 동궁인 중희당 터 사진, 문효세자(세 살에 세자가 되지만 다섯 살에 홍역을 앓다가 세상을 떠난 순이 사후 얻은 시호) 책봉의례도,
왕권을 상징하는 일월오봉도를 치운 정조와 관련이 있는 책가도(일월오봉도를 치운 정조는 자신의 어좌 뒤를 책가도 병풍으로 둘러쳤지요.),
정조가 쓴 중희당 편액, 창덕궁 후원에서 정조가 신하들과 꽃구경을 하며 주고 받은 시문을 모은 두루마리인 내원상화임자갱재축 등이 보였습니다.
정조 임금을 좋아하는 동기 이** 선생님 앞에서 정조 이야기로 시연을 할 수 있다는 생각에 기꺼이 창덕궁 동궁 및 후원과 관련된 정조를 주제로 택해 멋지게 마무리 할 수 있었습니다.
필기를 망치다시피 한 제게 돌파구를 마련해준 정조 임금을 건릉(健陵)이 있는 화성까지 가서 뵙기에는 거리가 멀기에 내일 창덕궁,
그 중에서도 정조 임금과 관련이 깊은 후원(정조는 왕과 그 가족의 영역이었던 후원을 규장각 신하, 각신들에게 개방했지요.)에 가서 절을 올리고 올 생각입니다. 물론 이 이야기도 이 ** 선생님께 했습니다.
답이 정해진 문제를 외우는 것이 짜증난다고 하자 “그러면 해설사를 하면 안 되죠”라고 해 정신 차리게 해준, 정조를 좋아하는 이**
선생님께 정신 차리게 해주셨고 시연 내용을 피드백 해주셨기에 감사드린다는, 정조 임금을 좋아하시는 분 앞에서 정조를 주제로 멋진 시연 할 수 있어서 감사하고 기쁘다는 인사를 했습니다.
함께 정조를 좋아하고, 이덕일 한가람 역사 문화 연구소 소장의 관점을 수용, 지지해 함께 책을 읽는 이**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김태형 박사님의 ‘심리학자, 정조의 마음을 분석하다’를
읽어야겠다고 하자 그 책은 자신이 오늘 주문해 받은 책 가운데 하나라며 2월 2일 모임때 빌려줄 것이라고 하는군요...
이야기 나눌 동기가 있다는 것이 행복한 밤입니다. 이 사실이 시험 합격보다 어쩌면 더 기쁜지도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