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프 마이어의 ‘서울 속 건축‘이란 책에서 흥미로운 개념을 만났다. 건축물이라는 나무, 도시라는 숲이란 개념이다.
지난 번 정동 해설에서 풍수지리를 이야기하며 나는 서울시립미술관, 정동 제일교회, 주한 캐나다 대사관, 정동극장, 이화여고, 프란치스코 회관 등 정동의 주요 건축물들이 정동이 명당이어서 그 자리에 모인 것도 아니고 정동을 명당으로 만들기 위해 모인 것도 아니지만 시기와 사연을 달리해 들어선 그 건축물들이 결과적으로 정동을 명당이 되게 했다는 말을 했다.
나는 명당을 만드는 풍수에 관심이 많다. 이를 비보 풍수라 한다. 지세가 약한 곳에 나무를 심고 절을 짓고 제방을 쌓는 것 등이 비보 풍수의 개념이다.
100페센트 길지(吉地)도 없고 100퍼센트 흉지(凶地)도 없다. 그러니 만든다는 표현은 사실 덜 좋은 땅을 더 좋게 한다는 의미이다.
나무가 아닌 숲을 보아야 한다는 말이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숲 밖으로 나가거나 외부인에게 물어야 한다.
독일인 건축가인 울프 마이어는 우리의 숲인 서울에 대해 이야기를 들려주는 외부인으로 선정된 사람이다.
울프 마이어가 쓴 책의 특징은 서울 전 구의 주요 건축물들을 소개했다는 데 있다.
한편 서울 외곽의 파주, 안양, 인천, 과천, 성남, 수원, 양주 등의 건축물들도 소개되었는데 내가 사는 연천과 접경한 파주를 보며 나는 연천의 상대적 낙후에 마음이 불편해지는 것을 느낀다.
중구는 몇 차례의 해설을 통해 많이 친근해진 곳이다. 그런가 하면 자주 찾아 많이 안다고 할 수 있는 가나아트센터, 서울역사박물관, 교보빌딩, 세종문화회관 등 종로의 건축물들은 체계적으로 알고 싶다.
서울 건축물들도 중구, 종로구, 강남구, 마포구, 서초구 등의 것이 많고 상대적으로 다른 구들의 건축물들은 적게 다루어졌다.
감정을 배제하고 객관적 사실을 담은 ‘서울 속 건축‘은 공부한다기보다 놀이하듯 읽을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