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순수한 이론적 관심이 아닌 실제적 관심으로 태극권에 대해 검색하다가 공자, 맹자를 모르고서 무술 논할 수 없다는 글(세종의 소리 20151021)을 만났다. ()와 문()은 같이 수련해야 효과가 좋다는 글이다.

 

필자(김장수)에 의하면 태극권에서는 심(:마음)과 신(:육체)의 균형이 맞지 않는데서 간신배가 나온다고 본다는 것이다. 간신이라...그렇다. 간신(奸臣)은 나라에 해를 끼치는 여섯 종류의 나쁜 신하 즉 육사신(六邪臣) 가운데 하나이다.

 

구신(具臣), 유신(諛臣), 간신(奸臣), 참신(讒臣), 적신(賊臣), 망국신(亡國臣)이 육사신이다. 구신(具臣)은 아무 구실도 하지 못하고 머리수만 채우는 신하, 참신(讒臣)은 참소를 일삼는 신하, 유신(諛臣)은 아첨하는 신하, 간신(奸臣)은 간사한 신하, 적신(賊臣)은 반역하는 신하, 망국신(亡國臣)은 나라를 망하게 하는 신하이다.

 

어떻든 이 흥미로운 조합을 지렛대 삼아 신들의 정원 조선 왕릉의 저자 이정근 님의 간신의 민낯’(20174월 출간)까지 들춰보게 되었다. 그런데 간신이 문제가 아니었다.

 

저자가 조말생, 한명회, 유자광, 임사홍, 윤원형, 이이첨, 김자점, 홍국영 등과 함께 거론된 안동 김씨편에서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를 정조(正租)가 뿌린 씨앗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사실 이런 해석은 낯설지 않다.

 

낯설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최근에 나온 또 다른 역사 책으로 인해서이다. 역사비평 편집위원회가 쓴 정조와 정조 이후란 책(20175월 출간)에서도 이런 논리가 제시된 것이다.

 

오수창이란 필자의 오늘날의 역사학, 정조 연간 탕평정치, 그리고 19세기 세도정치의 삼각 대화란 글이 그 글인데 그는 19세기 세도정치의 등장에는 정조가 집권 중반기부터 척신의 육성을 암시하면서 명문세도가의 딸(김조순의 딸이자 순조비 순원황후)을 간택하는 등 세도를 위임했던 점이 영향을 주었다는 말을 했다.

 

덧붙여 정조가 공론의 그늘에서 신료 심환지와 비밀편지를 나누면서 배후에서 정치적 조율을 함으로써 공론 정치를 무력하게 했으며, 지나치게 의리를 강조함으로써 순조 이후의 정파들이 정적들을 숙청하고 천주교를 박해하는 데 빌미를 제공했다는 어두운 평가를 피하기 어려운 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는 말도 했다.(어조가 사뭇 조심스럽다.)

 

같은 책의 다른 필자인 이경구는 세도정치는 정조의 제반 개혁을 무산시킨 대표적 사례로 인식된다. 그러나 세도정치의 최대 설계자는 정조였다.”는 지적을 했다.(한국일보 62일 기사 참고)

 

군주가 절대적인 권위와 권력을 가지고 국정을 치밀하게 이끌었던 정조의 정치는 자신과 같거나 자신보다 더 큰 역량을 지닌 군주에 의해서만 지속할 수 있었기에 정조 정치의 역사적 성격은 최고의 역량을 발휘한 군주마저도 통치체제와 사회구조에서 후대로 계승될 새로운 틀을 수립할 수 없었다는 데 있다는 오수창 교수의 글을 다시 읽는다.

 

효명세자 이야기를 하고 싶다. 존경하는 할아버지 정조의 뜻을 받들어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를 견제한 인물로 평가받는, 요절한 비운의 세자이다. 만일 정조가 세도정치를 초래했다는 말이 근거 있는 말이라면 정조와 효명세자는 묘한 인연의 줄로 이어진 사이가 아닐 수 없다.

 

가장 아픈 부분은 정조가 관념적인 학문인 주자학에 의거해 강국(强國)의 꿈을 가졌었다는 내용이다. 개혁군주 정조가 주자학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려 했다는 글을 접하게 되어 혼란스럽다. 물론 정조는 뛰어난 학(성리학)자 군주이다. 정조의 학자 군주적 성격과 관계 있겠지만 정조는 답정너(답은 정해졌으니 너는 답하기만 하라)의 대가이기도 했다.

 

위에서 언급한 주장들은 이주한 님이 문제제기한 서울대 국문과 및 국사학과의 식민사학적 특성(’노론 300년 권력의 비밀참고)과 관계 있는 것일까? 서울대 식민사학 진영이 가장 물고 늘어지는 부분이 정조와 사도세자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런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내가 직접 읽어 확인하는 것이 우선이리라.

 

나만이 최고라는 유아론(唯我論)을 펴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오류를 범할 수 있기에 내가 직접 읽고 헤아려야 진면모를 파악할 수 있다는 말이 가능하다. 정조의 과()에 무게를 두는 큰 테두리 안에서 세밀하게 직접 읽는 공부를 해야 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 이메일 아이디는 anuloma이다. 옛 엠파스 블로그 시절 한 피아니스트는 이 단어가 울지 않겠다는 뜻으로 지은 이름인 줄 알았다는 말을 했었다. anuloma는 고유 문자는 없고 발음만 있는 빨리어의 한 단어이다. 적응, 순응 등을 의미한다. 빨리어는 석가모니 부처님이 사용하신 언어라고 한다.

 

지난 2002년 강남의 초기불교 수행 센터에 다닐 때 영향을 받아 지은 것이다. 초기불전연구원의 각묵 스님이 해설한 아비담마 길라잡이에는 anuloma가 수순(隨順)으로 소개되어 있다.(2002년 발행 아비담마 길라잡이’ 779 페이지) 당시 열 차례 일정으로 스님의 아비담마 길라잡이 강의를 들었었다. 스님은 수학을 전공한 수행자여서인지 합리적이고 군더더기 없다는 느낌을 갖게 하셨다.

 

잘못이라 생각되는 것은 초기 불교의 수행인 위빠사나를 통해 얻는 10 가지 지혜의 마지막 항목인 수순의 지혜를 겁도 없이 내 것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명상의 지혜, 생멸(生滅)을 아는 지혜... 숙고하는 지혜, ()에 대한 평온의 지혜 다음에 오는 수순의 지혜...

 

현재 아비담마 길라잡이는 최신 판으로 업그레이드 된 상태이다. 지면도 892페이지에서 1024페이지로 132 페이지나 늘었다. 초기불전연구원이 홍제동에서 울산으로(2004) 이주한 이래 한 번도 찾지 못한 것이 아쉽고 미안하다.

 

초기불전연구원은 현재 울산에서 김해로(2010) 이주한 상태이다. 스님(각묵 스님)의 모습을 한 번 뵙고 싶은데 초기 불교 경전과 주석서 번역 및 저술 등을 해오시다가 지난 2010년 뇌종양 수술을 받으셨다는 소식을 들었다. 카페에도 잘 가지 않다가 수술 소식을 7년이 지난 시점에서야 알게 되다니... 부지런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정끝별 시인. 평론가이고 교수이고...봄 여윔이란 뜻의 춘수(春瘦)라는 시어를 만들어낸 분.(瘦; 여윌 수), 오룩이란 인물을 알게 해준 분.(오룩은 내가 감명 깊게 읽은 클라리사 에스테스의 ‘늑대와 함께 달리는 여인들’에 나오는 훌륭한 고수鼓手이자 이야기꾼이다.) 시심전심(詩心傳心)이란 말을 알게 해준 분. ‘파이(π)의 시학’에서 비체(鼻涕) 즉 아브젝시옹이란 개념으로 미당의 시들을 분석한 시론을 펼친 분.

그가 이번에 ‘패러디’란 시론집을 냈다. ‘파이의 시학’에 이미(?) 패러디론이 있으니 출간 해인 2010년부터 패러디에 대해 준비한 것이라 하겠다. 물론 1997년에 ‘패러디 시학’이 나왔음을 지적해야겠다.)

저자는 “김지하의 ‘타는 목마름으로’, 김종삼의 ‘정원’ 등 너무나 좋아했던 우리 시들이 ‘외국 시의 베끼기’ 였다는 걸 알고 난 후 배신감”으로 패러디를 공부했다고 말한다.(나는 김지하 시인의 시 ‘타는 목마름으로’가 프랑스 시인 폴 엘뤼아르의 시 ‘자유’를 표절한 시이니 패러디한 시니 하는 말들이 있었을 때 그런가 보다 했다.

요즘 작품 활동이 거의 없는 양귀자 작가가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이란 소설을 썼는데 이 제목이 폴 엘뤼아르의 시 ‘커브’에서 가져온 것(전문全文)이다. 찾아 보니 벌써 16년 전의 일이다. 세월이 참 빨리 갔음을 느낀다.) 각설(却說)하고 ‘패러디’는 공부가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경복궁과 소금... 이렇게 말하면 이상하게 생각할 분들이 많을 것이다. 얼핏 연관성이 없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한양 풍수와 경복궁의 모든 것’이란 책과 ‘물과 소금 어떻게 섭취하면 좋을까’의 저자가 같은 분이라는 사실에서 나온 조합이다.

내가 이 분의 소금과 물 이야기를 듣고 생각한 것은 박상륭 님의 장편 소설 ‘죽음의 한 연구’이다.

우리 소설의 한 진경(眞境: 난해의 진경, 형이상학의 진경...)을 형성한 박상륭 님의 이 소설은 마른 늪에서 물고기를 낚아올리려는 수도승을 주인공으로 한 장편 소설이다.

현대의 많은 질병들(두통, 어지러움 등)을 부르는 주인(主因)은 수분과 염분(죽은 음식인 정제염이 아닌 미네랄이 풍부한 소금) 부족이다. 정제염은 짠 맛을 내는 화공약품이라고 한다..

특히 소금이 부족하면 뇌도 위축되고 위도 위축된다고 한다. 정확하게 말하면 물과 좋은 소금의 균형이 관건이다. 우리 몸에는 물과 좋은 소금 사이의 균형도 이루어져야 하고 양(量)도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저자가 수분과 좋은 소금 부족으로 생기는 병으로 지목한 것들은 난치성의 현대의 주요 성인병들을 포함, 다양하기만 하다.

하지만 이에 대해 내가 이렇다 저렇다 말할 수는 없다. 다만 두통과 현기증에 대해서는 말할 수 있다. 작년 이즈음 작심하고 9회 죽염 한 티스푼씩을 물 500ml에 넣어 하루 세 병씩 몇 달 먹었을 때 머리도 별로 안 아팠고 크게 어지럽지도 않았다. 피로도 잘 느끼지 않았다.

그런데 소금값이 워낙 비싸(500g: 11만 2천원) 몇 달 하다 그만 둔 결과 생긴 문제가 지금의 내 두통이고 현기증이고 피로이다.

이런 내 모습이 마치 마른 늪에서 낚시를 하려 한 ‘죽음의 한 연구‘의 수도승 같다는 생각이 든다.

지난 2014년 강남의 유명 신경외과에서 fMRI, MRI, PET 등 할 수 있는 검사는 다 했는데 결과는 이상 없음이었다.

죽염 만큼 환원력(還元力)이 큰 것은 없다고 한다. 죽염과 관련된 모든 분들(극한 직업 중의 극한 직업이라는 죽염 제조일을 하는 분들 포함)께 큰 절이라도 드려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I will give you a ring tonight. 바그너의 ‘니벨룽겐의 반지‘도 아니고 이게 뭘까? 청혼 반지를 준다는 뜻일까?

답은 전화를 할 것이라는 소리. 박산호의 ‘단어의 배신‘에서 알게 된 사실인데 이 책에는 우리가 배신으로만 알고 있는 betray에 대한 반전도 소개되어 있다.

배신하다 외에 정보나 감정을 무심코 노출시킨다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가령 betray ignorance는 부지불식간에 무지를 드러내다는 뜻이다.

비약이겠지만 스튜어트 파이어스타인의 신간 ‘이그노런스 - 무지는 어떻게 과학을 이끄는가‘(원서 출간 2012년)에 대해 말하지 않을 수 없다.

과학 없이도 행복하게 사는 문화들이 많지만 우리처럼 과학이 정교하게 발달한 문화에서 과학을 외면하고 사는 것은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과학에 관한 한 우리는 무엇을 모르는지 제대로 알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책...

저자는 과학의 추진력은 알지 못하는 것, 까다롭거나 설명되지 않은 자료를 두고 고민하는 것이라 설명한다.

시나리오 작성을 앞에 두고 과학은 캄캄한 방에서 검은 고양이를 찾는 것과 비슷할 수도 있다는 저자의 말을 되새기게 된다.

과학(의 과정)이란 말을 글(작성)이란 말로 바꾸어도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