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너는 자유다 - 모든 것을 훌훌 털어 버리고 떠난 낯선 땅에서 나를 다시 채우고 돌아오다, 개정판
손미나 글.사진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보다 한참이나 어린(가령 중학생이나 고등학생) 학생들로부터 자신의 꿈이 공무원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나는 알 수 없는 무력감에 빠지곤 한다.  그 이유는 나로서도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공무원이라는 직업이 나쁘다는 의미는 절대 아니다.  차라리 평생 줌을 추면서 살고 싶다거나 돈을 왕창 벌고 싶다는 얘기를 듣게 된다면 오히려 없던 힘도 불끈 솟았을런지도 모른다.  학문이건, 예술이건, 그도 아니면 운동이건 간에 '욕망'이 없으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한다.  그러나 '욕망'이라는 것도 부질없는 욕망이어서는 안된다.  시대에 따라, 또는 상황에 따라 시시때때로 변하는 욕망을 부질없는 욕망이라고 이름 붙인다면 공무원이라는 꿈은 어쩌면 부질없는 욕망이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는 것은 번지점프를 뛰는 것과 같습니다. 뛰어내리기 전에는 엄청난 공포가 밀려오지만 안전장치를 확인하고 뛰어내리는 순간 자유를 느낄 수 있습니다. 안정된 직장을 뒤로 하고 새 삶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전까지 저도 불안감에 휩싸였지만 결정한 뒤에는 내 의지대로 삶을 디자인수 있게 됐습니다."  손미나 작가가 어느 인터뷰 자리에서 했던 말이다.  우리가 인생의 외나무 다리를 건널 때 떨어지지 않으려 조심하면 할수록 몸은 굳어지고 다리는 더욱 후들거리는 반면 '떨어지면 다시 기어오르면 돼.'라고 편하게 마음먹는 순간, 오히려 몸과 마음은 유연해지고 불가능해 보였던 그 길도 가볍게 건널 수 있듯이 우리의 삶도 그런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곤 한다.

 

KBS의 간판 아나운서였던 작가가 돌연 휴직을 하고 물설고 낯설고, 말도 안 통하는 데서 살아 볼 결심을 하기까지 그녀라고 왜 불안하지 않았겠는가.  그러나 우리가 욕심내는 이런저런 것들을 모두 내 손 안에서 떠나보내고 나면 알지 못하는 어느 순간에 그 모든 것들보다 더 큰,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자유의 품에 포근히 안겨있다는 것을 그녀도 알았으리라.

 

나는 사실, 다른 직업에 종사하면서 책을 내는 사람을 그닥 좋게 보지 않는다.  그런 책에는 진실을 느낄 수도, 어떤 감동을 맛보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유명 가수가 자신을 선전하기 위한 일종의 홍보용으로,  어느 정치인이 자신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또는 지금 종사하는 직업을 기반으로 또 다른 직업을 기웃대는 그런 사람의 글은 주변의 평이 좋다고 하더라도 잘 읽지 않는다.  오히려 그런 글을 읽고 감동을 받았다는 사람을 내 입장에서는 이해할 수 없다.  그러나 손미나 작가는 그 모든 것을 놓고 떠난 듯했다.  1년간의 대학원 과정을 밟으면서 그녀가 누렸던 자유의 행적이 그것을 증명한다.  아나운서라는 또 다른 직업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면 자신의 내밀한 이야기들을 그렇게 풀어놓지 못했으리라.

 

"미스터 디엥과의 짧은 만남을 통해 나는 알게 되었다.  꿈을 향해 가는 길에는 항상 고통이 따르고 고난의 순간들이 있게 마련이지만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노력한다면 반드시 그 꿈을 이룰 수 있다는 소중한 사실을.  그리고 그가 내게 그랬듯, 나도 언젠가 꿈을 가진 젊은이의 수호천사가 돼주고 싶다는 새로운 꿈을 갖게 되었다."  (P.47)

 

아나운서 손미나가 아닌, 작가 손미나의 글을 읽을 수 있었기에 나는 이 책을 끝까지 읽을 수 있었다.  움켜쥐었던 손을 풀고 손사래로 흩어지는 모래를 보기 전에는 바람을 잡을 수 없다.  그녀는 비로소 바람과 같은 자유를 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세이> 파트의 주목 신간을 본 페이퍼에 먼 댓글로 달아주세요.

블로그를 시작하면서부터 지금 초등학교 2학년인 아들이 어른이 되었을 때, 내가 아들에게 꼭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들을 편지 형식으로 남겨왔었다.  어떤 주제를 분류해서 쓴 것은 아니지만 세상을 먼저 산 인생의 선배로서 내가 겪고 깨달은 것들이 아들에게 조금의 보탬이 될까 싶어 기록한 것인데 저자의 바람도 나와 같았나 보다. 

 

 

 

 

 

 

 

 

 

알랭 드 보통의 책을 처음 읽은 것은 <여행의 기술>이었다.  워낙 유명한 책이라 부연할 필요도 없지만 나는 작가의 기발한 생각과 표현에 감탄을 금치 못하며, 그만의 매력에 흠뻑 취했었다.  더불어 저자로 인해 철학자에 대한 이해를 달리 하게 되었다.  그의 글을 반복해서 읽다 보면 일상에서 그동안 깨닫지 못했던 것들이 유리알처럼 쏟아진다.  

 

 

 

 

 

 

 

 

 

 

 

 

 

"서양 문명의 몰락은 죽은 사람을 장식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시작했다."라고 말한 사람이 있다.  따지고 보면 이 말은 비단 문명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살아있는 우리 모두는 언젠가 죽는다는 사실은 알지만 죽음을 가까이 두고 살지는 않는다.  죽음이 우리 곁에서 멀어질수록 우리 자신이 느끼는 삶의 가치는 그에 비례하여 축소된다.  죽음을 생생하게 느끼며 사는 사람들은 작가와 같은 시한부 인생을 살았던 사람들일 것이다. 잊혀질 정도로 죽음이 우리 곁에서 멀어질 즈음이면 작가와 같이 시한부 인생을 살았던 사람들의 말을 들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엄마에게 가는 길- 일곱 살에 나를 버린 엄마의 땅, 스물일곱에 다시 품에 안다
아샤 미로 지음, 손미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2월
11,000원 → 9,900원(10%할인) / 마일리지 550원(5% 적립)
2012년 01월 05일에 저장
절판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피고인 한명숙과 대한민국 검찰 - 한명숙 전 총리의 검찰과의 전쟁, 그 700일간의 기록
황창화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공공기관의 청렴도 평가에서 만년 하위권을 맴도는 기관이 있다.

말을 하지 않아도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누구나 짐작하겠지만, 검찰청과 경찰청이 바로 그곳이다.  엄정한 법의 잣대로 국민의 시시비비를 가려야 하는 그곳이 부패와 편법의 온상이 된 지는 꽤나 오래된 듯하다.  아니 제대로 된 검찰청의 모습을 본 적이 없었는지도 모른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검찰은 많은 권한을 독점하고 있다.  법률 전문가가 아닌 내가 알고 있는 것만으로도 수사권, 경찰 수사에 대한 수사지휘권, 구속영장 등 각종 영장에 대한 영장청구권, 피의자를 재판에 회부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결정하는 기소권, 법원 판결을 통해 확정된 형을 집행하는 형집행권 등으로 이 모든 권한이 검찰에 집중돼 있다. 기소 여부를 법규정이 아니라 검사 재량에 맡기는 `기소편의주의`가 형사소송법에 채택돼 있음도 간과하면 안 된다. 가히 세계 다른 나라에서 유사한 예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우리 검찰 권한은 막강하다.  어떤 권력이든 견제받지 않는 권력은 부패하게 마련이다.  이렇게 비대해진 권력은 자정능력과 자기 통제력도 잃어버릴 수밖에 없다고 하겠다.

 

검사 개개인도 우리와 다를 바 없는 인간이고, 사석에서 만나면 예의 바르고 정중하고 인간적인 면모를 보이는 분들이 많다.  그럼에도 시스템 내에서는 비열하고, 몰염치하며, 악날해지기까지 한다.  한마디로 스티븐슨의 소설 '지킬박사와 하이드'를 현실에서 보는 듯한 느낌이다.  참여정부 초기에 일개 평검사가 대통령 앞에서도 할 말 다하던 그런 모습은 현 정부에 들어서 더이상 찾아볼 수가 없다.  그들을 그렇게 순한 모습으로 잠재우기 위해서는 상응하는 반대급부가 있었겠지만 '정의와 양심'을 다른 무엇보다도 더욱 소중한 가치로 여겨야 하는 검찰이 권력에 기생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취하는 모습은 참으로 개탄스럽다.

 

한명숙 전 총리의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 퇴임 후에도 지근 거리에서 그녀를 보좌하고 있는 저자 황창화 소장은 한명숙 전 총리가 기소에서부터 2번의 무죄판결을 받기까지의 길고 긴 과정을 낱낱이 기록하고 있다.  어쩌면 한 전 총리가 무죄판결을 받은 것이 당연한 귀결이었을지 모르지만, 나는 일반인의 입장에서 그런 판결을 받은 것도 한 전 총리였으니까 가능했겠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온갖 회유와 압박 속에서 돈도, 빽도 없는 사람이었다면 쉽게 포기하였을텐데 그나마 일국의 국무총리를 지내신 분이니 그들과 맞서 이길 수 있던 것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도 어쩌면 당연하다 하겠다.

 

물론 재판에서 이겼다는 사실만으로 완전한 승리라고 말하기도 어려울 것이다.

사람들에게는 처음에 받은 인상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지 않던가.  첫사랑, 첫눈, 첫인상 등 처음이라는 느낌은 일반의 그것과는 사뭇 다르다.  하여, 한 전 총리가 뇌물수수 혐의로 기소되었을 때 국민들의 뇌리에 각인된 부정적인 이미지는 무죄판결을 받은 지금까지 사라지지 않고 남아 있을 것이다.  일부는 한 전 총리가 무죄판결을 받았다는 사실조차 모를 것이다.  검찰은 그런 면에서 잃은 것이 없다.  비록 재판에서는 졌지만 그들이 원하던 소기의 목적을 이루었으니까.

 

민주주의는 결국 법 앞에서는 누구나 평등하다는 너무도 당연한 말이 우리 앞에서 사실로 인식되기 전까지는 진정한 민주주의라고 말하기 어렵다.  언제까지 우리는 '지킬박사와 하이드'의 모습을 한 검찰을 지켜보아야 하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임진년 새해가 밝았다.

아침부터 간간이 내리는 눈.  새해 첫날의 서설이다.

작년 이맘 때쯤, '한 해를 살아내기 보다는 살아가게 하소서'하고 바랬다.

지나고 나면 성긴 추억이 한 줌 서릿발처럼 밟힌다.  실제로 지나온 시간 같지가 않다.

 

새벽부터 이어지던 휴대폰 문자음에 잠을 설쳤다.

어제와 오늘이 그닥 달라진 것도 없는데 이런 날이면 왠지 습관처럼 의미를 부여한다.

아이처럼 유치해지지 않으면 삶은 그저 밋밋할 뿐이다.

무뎌진 마음결에 새로이 무늬를 되새기는 날.  오늘은 그런 날이어야 한다.

닭살이 돋고 손발이 오글거려도.

 

아들과 함께 도서관을 찾았다.

평소의 주말이라면 도서관이라는 이름이 무색할 정도로 시끌벅적할 시간.  한산하다.

빈 자리가 오히려 자연스러운, '정숙'이라는 시간이 얼어붙은, 휑한 공간에 책장 넘기는 소리만 가끔 메아리처럼 들린다.

 

새로 장만한 2012년 다이어리에 없는 스케쥴도 몇 가지 적어 놓아야 할 듯한 압박감.

대체로 차분할 것.  서두르지 말 것.

그리고...

 

눈발이 굵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