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조선미술 순례』


디아스포라 서경식이 만난

조국의 미술과 미술가들



나의 서양미술 순례』 이후 20년,

디아스포라 서경식의 또 다른 미술 순례기



한국의 많은 독자들이 서경식이라는 이름을 저자로서 기억하게 된 것은 1993년 번역 출간된 『나의 서양미술 순례』 덕분일 것이다. 이 책은 이제는 너무 많이 쏟아져 나와 거의 하나의 분야로 자리 잡은 ‘미술 기행’의 거의 첫 출발에 해당하는 책이었고, 지금까지도 꾸준히 판매되는 몇 안 되는 미술 기행기이기도 하다.

많은 독자들이 『나의 서양미술 순례』를 통해 그림 읽기의 새롭고도 친근한 방법을 배웠다고 고백한다. 조국에서 옥살이를 하는 형들(서승, 서준식)의 옥바라지를 하는 30대의 재일조선인 청년에게 유럽의 다양한 미술관에서 만난 작품들은 지하실에 난 창문으로 겨우 들어오는 희박한 공기였다고, 저자는 그 책에서 기록한 바 있다. 예술이 역사와 현실과 삶과 독특하게 뒤섞이며 서로를 해석하거나 확장하는 놀라운 장면들이 그 책에 가득 담겨 있었다.

이번에 출간되는 『나의 조선미술 순례』에서 저자는 이제 60대가 되어 유럽의 미술관이 아닌 한국의 미술관들을 순례한다. 30대의 재일조선인 청년이 집착했던 주제들, 죽음, 섹슈얼리티, 가족, 민족…… 같은 것들이 여전히 60대 재일조선인 노교수의 눈과 귀와 온갖 감각들을 사로잡고 날카로운 통찰들을 이끌어낸다. 하지만 시간과 공간과 삶의 변화를 따라 미묘하게 달라진 지점들 역시 드러난다.

가령 저자는 이제 홀로 유럽의 미술관을 돌아다니며 작품과 고독하게 마주하는 것이 아니라, 아내 F와 함께 때로는 제자들과 함께 ‘조국’의 미술관을 찾는다. 그리고 정말로 원한다면 그 작품을 만든 작가들과 직접 한국어로 대화를 할 수도 있다. 조국은 더 이상 그가 70년대에 보았던 군사독재 치하의 가난한 나라가 아니다. 또 이제 형들의 옥바라지를 위해 조국을 찾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연구와 활동을 위해 찾게 되었다. 이렇듯 달라진 상황에서 저자는 20년 전, 30년 전 그림들 앞에서 던졌던 것과 똑같은 물음을 던진다. ‘나는 누구인가?’ ‘우리는 누구인가?’

이번에는 이 물음들에 답할 수 있을 것인가? 저자는 이전에는 단순히 목격자에 머물 수 있었던 독자들을 이번 순례에는 더 깊이 동참시킨다. 위의 답을 혼자서는 도저히 찾을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20~30년 전의 그 순례와 지금의 이 순례의 미묘한 차이들을 읽어내는 것은 작가 자신의 변화를 읽어내는 일일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나 자신의 변화를 읽어내는 일이 된다.

한편 『나의 서양미술 순례』와 『나의 조선미술 순례』를 나란히 놓고 보는 일은 마치 런던 내셔널 갤러리에 나란히 걸린, 렘브란트의 34세 때와 63세 때의 자화상을 보는 일 같기도 하다. 많은 것이 달라졌지만 삶의 질문, 궁극의 질문에 대한 답을 갈구하는 그 빛나는 눈은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침에 집에서 나올 때 어찌나 미끄럽던지...

그동안 내렸던 눈이 채 녹지도 않았는데 그 위로 비가 내려 얼어 붙자 인도의 보도블럭은 한순간에 온통 빙판으로 변해버렸다.  사람들은 다들 엉금엉금 조심스레 걷는데도 미끄러지는 사람들이 여기 저기서 보였다.

 

김소연의 <마음사전>을 읽다가 맘에 드는 구절이 있어 옮겨 적는다.

 

감격이란, 세상 모든 것들은 저만치에 있고, 오직 자기 자신과 대상과의 관계에만 몰입할 때에 더 강하게 찾아오는 감정이다.  스포츠는 신기록과 우승이라는 대상이 눈앞에 있으며, 종교는 신이라는 궁극적인 존재가 머리맡에 있다.  그토록 가깝지만 손에 쉽게 닿지 않는다는 것에 우리는 이토록 감격스러워한다.  이처럼 대상과 나 이외의 것들은 안중에 없는 상태가 바로 청춘이다.  언제나 젊고 패기만만하며 자신이 젊다는 것에 한하여는 믿음이 굳건하고, 젊은 혈기와 젊음의 순수함은 매순간을 신기록을 세우듯 살아간다.  또한 매순간을 신의 뜨거운 입김 아래에서 살아간다.  그러니 감격스러울 일도 많고 눈물을 흘릴 일도 많다.  늘 무언가를 궁리하고 노력하여 그 결실을 거두고 싶은 사람이라면, 나이가 어찌 됐든 청춘으로 살고 있는 사람이다.  그런 사람을 관전하는 일로도 감동을 만끽할 수 있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우리의 깜냥에 대한 마지노선을 정해놓고 그 안에서만 바둥댄다.  겸손한 사람은 자신의 마지노선을 더 낮게 정해놓고 물이 아래로 흐르듯 한없이 아래를 돌보며 헌신하며 살아가고, 진취적인 사람은 자신의 마지노선을 더 높게 설정해놓고 그것을 뛰어넘어 더 높은 곳의 열매를 딴다.  마지노선을 한없이 낮추거나 한없이 높이는 사람을 관전하는 일은, 내가 어느 쪽으로도 나의 마지노선을 옮기지 못하는 째째함과 근근함에 환기를 준다.  그 환기가 크면 클수록 감동적이며 눈물겹다.  한데 우리는 일상의 자잘한 감동을 알아채고 손에 꼭 쥘 줄 안다.  그럴 때의 따뜻함도 눈물겹다.  그때만큼은 우리도 대상에 몰입했고 생 앞에서 겸허했다.     <김소연의  『마음사전』중에서> 

 

밖에는 여전히 겨울비가 내리고 마음마저 비에 젖는다.

http://youtu.be/ttfH_5R9Tlw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 다시 태어난다면 

사랑을 담아내는 편지처럼 살리라 

 

폭포수 같은 서린 그리움에 

쉬이 얼룩져 버리는 백색의 편지지가 아니라 

오염될수록 싱그런 연두빛이었으면 좋겠다 

 

나 다시 태어난다면 

사랑을 담아내는 편지처럼 살리라 

 

가슴에 커져버린 암울한 상처에 

마침표를 찍어버리는 이별의 편지가 아니라 

상흔속에서도 뿜어내는 

시작의 편지였으면 좋겠다 

 

미움은 온유함으로 지워버리고 

집착은 넉넉함으로 포용하면서, 

한장에는 사랑이란  순결한 이름을 새기고 

 

또 한장에는 

삶이란 소중한 이름을 써 넣으면서 

풀향보다 은은한 내음으로 

내 삶을 채웠으면 좋겠다. 

 

-----좋은생각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요즘 '스콧 니어링 자서전'을 읽고있다.

500페이지가 넘는 분량이니 조금 버거운 것도 있지만. 내용을 음미하며 읽고자 하는 욕심 때문인지 속도는 아주 느리다.

다 읽지 못하였으니 리뷰는 쓸 수 없겠고, 1911년에 그가 써놓은 좌우명을 올린다.

 

"....간소하고 질서있는 생활을 할 것.  미리 계획을 세울 것.  꼭 필요하지 않은 일은 멀리할 것.  되도록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할 것.  그날그날 자연과 사람 사이의 가치있는 만남을 이루어가고, 노동으로 생계를 세울 것.  자료를 모으고 체계를 세울 것.  연구에 온 힘을 쏟고 방향성을 지킬 것.  쓰고 강연하며 가르칠 것.  원초적이고 우주적인 힘에 대한 이해를 넓힐 것.  계속해서 배우고 익혀 점차 통일되고 원만하며, 균형잡힌 인격체를 완성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의 소중한 친구에게

 

 

손잡는다고 넘어지지 않는 건 아니지만

손 내미는 당신이 고맙습니다.

당신은 오늘 내 친구였습니다.

 

응원한다고 힘든 삶이 쉬워지는 건 아니지만

힘 내라는 말 잘 한다는 말 고맙습니다.

당신은 오늘 내 친구였습니다.

 

일으켜준다고 상처가 아무는 건 아니지만

흙 털어주는 당신이 고맙습니다.

당신은 오늘 내 친구였습니다.

 

물 모자란다고 당장 숨 넘어가는 건 아니지만

생명수를 건네주는 당신이 고맙습니다.

당신은 오늘 내 친구였습니다.

 

혼자 간다고 다 길 잃는 건 아니지만

기다려준 당신이 고맙습니다.

당신은 오늘 내 친구였습니다.

 

말 한마디 안 한다고 우울해지는 건 아니지만

말 건네준 당신이 고맙습니다.

당신은 오늘 내 친구였습니다.

 

이름도 모르는 당신이 나이도 모르는 당신이

친구 하나 없는 내게

 

오늘 가장 소중한 친구였습니다.

고맙습니다.

 

 

----출처 : 좋은 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