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서문
버크.베카리아.니체 외 27인 지음, 장정일 엮음 / 열림원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비교적 어릴 때부터 독서를 시작했지만 책을 읽을 때마다 항상 서문은 읽지 않았다. 그도 그럴 것이, 워낙에 정독 스타일인데다 책을 오래 읽다보니 본문을 읽는 것만으로도 벅찼다. 그러니 안 읽어도 되는 부분은 과감하게 생략해야 할 것 같은데 그럴 때 가장 손쉬운 방법이 서문을 뛰어넘는 것이다.

 

게다가 이미 책에 관한 정보를 어디선가 얻고 이미 읽기로 마음먹었는데 굳이 서문을 읽어야 할까 싶었다. 즉 서문은 그 책이 어떤 책인지 모를 때, 내가 읽어도 되는 책인지 아닌지 판단이 서지 않을 때 읽는 거라고 생각했다. 지금도 그 생각엔 변함이 없는데 그래도 예전에 비하면 서문은 대충이라도 읽는 편이다. 왜냐하면 저자의 생각을 정확히 알려면 안 읽는 것 보단 읽는 편이 낫기 때문이다. 왜 저자가 이 책을 써야만 했는지 알고 싶은 것이다. 마침 이 책을 엮은 저자도 이런 말을 하고 있다.

...... 수영장에서 아무 준비 없이 곧바로 물속으로 뛰어 들어가는 사람이 있듯이, 서문을 생략하고 곧장 본문을 읽는 독자도 있다. 그러나 그런 독법은 비유하자면, 아무런 목표도 정하지 않고 떠나는 여행과 같다. 어쩌면 그러한 여행이 더 극적일 수도 있으나, 그러한 독서는 독자를 오독으로 인도할 수 있다(11p)

 

물론 독자들은 자신이 선택해서 읽은 책에 관해 각자의 느낌과 생각을 자유로이 가질 필요가 있다. 하다못해 오독 조차도 온전히 독자의 것이라며 이미 저자의 손을 떠난 저자의 책에 더 이상 왈가왈부 못하도록 한다. 더구나 요즘 비판적 책읽기는 얼마나 그 효용가치를 극대화 시키고 있는가? 마치 독자가 최고인 양 하는 시대에 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면 저자는 어디까지 독자의 비위나 맞추라는 것인가? 회의가 들 수도 있을 것 같기도 하다. 중요한 건 저자의 눈높이와 독자의 눈높이를 같이 하므로 저자가 하고자 하는 말을 일단 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처녀가 애를 낳아도 할 말은 있다는데, 일명 저술의 변은 들어봐야 하지 않겠는가? 그럴 때 유용한 게 바로 이 서문인 것이다.

 

물론 실제로 대부분의 독자는 저자 위에 군림하려하지 않는다. 저자의 책이 무엇이든 간에 한 번 읽기로 했다면 뭐 하나라도 건지려들지 처음부터 책을 왜 이따위로 썼느냐, 이것도 책이냐 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비판적 독자가 있기 전에 성실한 독자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나 같은 서문 불성실 일독자는 거의 없을 거라고 본다.

 

그런데 어떤 책은 굳이 저자 서문을 읽거나 안 읽거나 크게 차이를 못 느끼는 책도 있다. 그걸 경우는 독자가 서문을 이해 못한 다기 보다 저자기 서문의 중요성을 못 느껴서는 아닐까? 그러므로 서문의 1차 책임은 저자에게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 다른 이유가 있다면, 그건 서문은 일종의 본문의 맛보기? 그런 거라고 생각한다. 영화로 치면 예고편 같은 거. 똑똑한 저자라면 서문에서 있는 거 없는 거 다 보여주고 독자의 혼을 쏙 빼놓는 건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의 세 번째로 실린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로테로다뤼스, 일명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중세의 성직자겸 철학자 에라스무스의 <격언집>은 독자의 혼을 쑥 빼놓기에 충분하다. 얼마나 긴 서문으로 되어있느냐면 이 책에 실린 쪽수로만도 거의 50쪽에 달한다. 그 정도라면 서문만으로도 얇은 소책자나 팸플릿을 만들어도 좋을 듯하다. 무엇보다 그것을 읽는 동안 여간 중세의 작품을 사랑하거나 저자를 존경하지 않으면 아, 읽지 말아야겠구나로 마음을 굳힐 것만 같다. 물론 어디까지나 저자 재량이지만 말이다.

 

서문을 쓸 뻔한 적이 있다. 결국 서문을 못 쓰고 저자후기로 썼지만. 지금 생각하면 그것도 쓸데없는 오지랖은 아니었나 싶다. 그냥 쑥스러웠다. 그렇다고 독자들이 나의 쑥스러움을 알아줄 것도 아닌데 왜 그리 당당하지 못했을까. 물론 그렇다고 저자후기가 그 책의 격을 떨어지게 하거나 반대로 꼭 겸손함의 미덕을 보이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것 역시 저자의 재량이라고 생각한다.

 

단지 저자의 입장에서 저자후기가 서문 보다는 좀 더 편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서문은, 내 책은 이런 책이야 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고 바로 본문으로 들어가야 한다. 서문에서 길어져 버리면 앞서 말한 에라스무스의 <격언집>과 같은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런데 비해 저자후기는 일마치고 수다 떠는 기분으로 쓸 수 있으니 훨씬 편하다. 하지만 일장일단은 있을 것이다. 서문을 피했으니 뭔 얘기를 하는지 모르겠다고 내지는 지루하다고 하는 독자도 없지는 않았으니까. 하지만 냉정히 생각해 보면 그런 독자는 서문을 썼다고 한 들 더 나은 느낌을 가졌을 거라는 보장은 못할 것 같다. 결국 어쩔 수 없는 일이지.

 

그런데 문득 저자들은 서문을 정작 언제 쓸까 궁금해졌다. 그렇게 순서대로 서문을 먼저 쓰고 본문을 쓰고 그럴까? 그렇게 쓰다보면 서문에서 밝힌 책의 의도와 조금은 빗나갈 수도 있지 않을까? 일단 서문을 빈칸으로 남겨두고 본문부터 들어가 차츰 정리된 생각들을 서문으로 쓸 수도 있지 않을까? 어찌됐던 서문은 글을 쓰는 저자에게 꼭 필요한 것임엔 틀림없다. 영화 시나리오를 쓸 때 먼저 시놉시스를 쓰고 쓰는 것처럼. 안 그러면 배가 산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

 

이 책을 엮은 장정일은 말한다. 서문의 역사는 곧 책의 역사라고. 부실한 서문치고 뛰어난 명저는 없다고. 그래서 저자들의 고민은 더 깊어지는지도 모르겠다. 독자로 하여금 질리지 않고, 건너뛰게도 만들지 않으며, 책에 대한 호기심을 끌어 무사히 본문으로 들어가도록 만드는 것. 이것이 서문을 써야하는 작가의 숙명이기도 하다.

 

사실 엮자 장정일도 그런 얘기를 하지만 이런 시도는 그가 처음은 아니다. 이미 많은 작가나 또는 작가지망생들이 글쓰기 연습으로 또는 취미삼아 모아두기도 한다. 그러므로 난 독자의 입장에서 굳이 이 책을 사 보라고 권하고 싶지는 않다. 장정일 작가가 자신의 책에 들이는 공력에 비하면 이건 좀 거져 먹기 식이란 생각이 든다. 물론 이만큼 엮는 것도 쉽지 않다고 하면 할 말은 없지만. 난 적어도 그가 왜 이것을 위대한 서문으로 뽑았는지 그 특유의 리뷰가 있을 줄 알았다. 그런데 각 책에 대한 저자와 책에 대한 간략한 설명만 있고 서문만 쓰여 있다. 서문은 영화로 치면 조연 같은 것인데 덕분에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니 호강한다 싶기도 하지만 독자가 볼 땐 너무 성의가 없다는 느낌도 든다. 책 읽기 좋아하는 우리의 장 선생님 이런 책도 읽으셨겠군. 확인하는 정도는 아니었을까?

 

그래도 이 책에 별 세 개를 주는 건 그야말로 위대한 서문에 대한 예일 뿐이다. 그리고 앞으로 무슨 책을 읽든 서문을 반드시 챙겨 읽으시라.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12-19 09: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문이 너무 길면 독서 몰입도가 떨어져요. 10~15쪽이 읽기 편한 적당한 분량이라고 생각해요. ^^

stella.K 2017-12-19 13:15   좋아요 0 | URL
그러게 말야.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에라스무스 옹 너무 심했어. 그지?ㅋ

서니데이 2017-12-19 15: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전에는 서문과 후기, 그리고 목차를 안 읽을 때도 많았는데, 그래도 요즘은 한 번은 읽어보게 되네요. 어쩐지 서문과 후기는 본문을 다 쓰고 나서 쓰고 싶은 말이 있었을 것 같아서요.^^
stella.K님, 오늘 날씨가 추워서 길이 얼었어요. 따뜻한 하루 보내세요.^^

stella.K 2017-12-19 15:10   좋아요 1 | URL
그래서 제 책 후기에 주저리주저리 썼잖않요.
서니님 안 읽으셨구나! ㅎㅎ
나름 심혈을 기울여 쓴 거랍니다.
나중에 꼭 읽어주세요.^^

서니님도 미 투!!

서니데이 2017-12-19 15:15   좋아요 1 | URL
읽었답니다. 그 책의 후기.^^
그치만 갑자기 생각하려니 기억이 안 나요.;;;

stella.K 2017-12-19 15:19   좋아요 1 | URL
기억 안하셔도 되요.ㅋㅋㅋ

페크pek0501 2017-12-20 15: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서문과 후기, 목차 모두 꼼꼼히 봅니다. 뭔가 중요한 걸 내가 놓칠까 봐서요.
다 읽었다고 할 수 있어야 독서 노트에 기입하는 습관이 있어요.ㅋ

장그르니에, <섬>에 쓴 알베르 카뮈의 서문이 빼어난 문장이라고 해서 여러 번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아직도 기억나는 문장이, 아직도 이 책을 읽지 않은 독자가 부럽다는 문장입니다.
너무 좋은 책을 읽고 나면 아직 안 읽은 독자가 부러워지는 경험, 저도 있습니다.

stella.K 2017-12-20 15:34   좋아요 0 | URL
와, 카뮈가 그런 서문을 썼단 말입니까?
저 그르니에 아직 안 읽었어요.ㅠㅋㅋ

역시 언니는...!!!

프레이야 2017-12-25 1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문과 후기에 저자의 의도와 진심이 담겨 있는 경우가 많아 읽는 편이에요 저는. 서재의 달인 추카해요. 저는 몇 년 째 빠지고 있어요. 예전에 한창 몰두해서 소통하던 날들 생각나요. 그때의 그분들은 다 어디에.

stella.K 2017-12-25 11:29   좋아요 1 | URL
그러게요. 그분들은 다 어디로 가셨을까요...?
모든 건 다 흘러가는 거죠.
어느 때가 되면 프레이야님도 저도 흘러갈지 몰라요.
그래도 또 다시 만날 분은 다시 만나죠. 우리처럼.ㅎ
자주 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