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생애
이승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승우 작가의 작품이 읽기가 쉽지 않다는 건 오래 전부터 알고는 있었다. 그래도 작가의 작품을 읽은지가 꽤 되고 그동안 나름 독서 내공을 키워왔으니 이쯤해서 다시 한 번 도전해 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더구나 사랑에 관한 소설이 아닌가? 그런 마음에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연애를 잘하는 방법한 책엔 애저녁에 관심이 없다. 그나마 남자와 여자가 어떻게 다른가 또는 같은가에 관한 책엔 관심이 가지만 그것도 내 주된 관심사는 아니다. 사랑을 심리학이나 인문학적으로 정의하려는 시도도 뭐 나름 나쁘지는 않겠지만 사랑이 과연 그렇게 정의될 수 있는 것일까? 솔직히 인간은, 사랑은 인간의 영역이 아니어서 그 무엇으로도 증명될 수 없고, 손끝에 닿지 않는 그런 신비스러운 것이길 바라오지는 않았을까? 그래서 사랑은 답이 없는 것. 오직 현상으로만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그리고 인간의 이런 다양한 현상을 가장 잘 표현하고 그 과업을 성실하게 이행해 온 건 소설과 영화는 아닐까? 그것들은 해답을 내놓을지는 몰라도 정답을 말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이 작품 역시 그것에 아주 성실해 보인다. 이승우 작가의 작품의 특징은 대개는 육화되기 보단 관념적이고 사변적이란 느낌을 갖는데  이 작품도 그 예견을 빗나가지는 않는다. 그래서 무슨 사랑에 대한 철학 소설을 읽는 것 같기도 하고 아니면 소설을 가장한 묵직한 에세이로도 읽힐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난 이 말을 칭찬의 의미로만 쓰지는 않는다. 물론 이것이 작가에겐 이룩하고자 하는 문학적 성과에 어느 정도 도달했겠지만 독자와의 소통엔 어느만치 근접해 갔는지 그건 좀 의문이다. 물론 소설가가 꼭 독자와의 소통을 늘 의식해야 하는 것이냐라는 것에 꼭 어떤 책임 의식 같은 건 가질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내가 이 작품에서 오히려 지켜보게 되는 건 사랑이 뭐냐라는 질문 보단 작가의 성찰적 언어가 돋보인다고나 해야할까? 작가는 '작가의 말'에서 이 작품을 위해 그때 그때 떠오르는 단상을 메모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이 소설을 썼다고 말하고 있다(어떤 작가가 그러지 않겠는가). 그래서일까? 정말 읽다보면 그랬을 거란 흔적이 느껴진다. 또 그래서 일까? 언어의 질깃질깃한 힘줄이 느껴지기도 한다. 어떤 단어나 문장도 그냥 헛투로 쓴 건건 없어 보인다. 언어의 미묘하지만 어떻게 알고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천 길 낭떠러지로 떨어질 수도 있는 곡예를 하고 있다는 느낌을 군데군데 받는다. 또 어쩌면 단어의 라임을 이용해 언어의 유희를 모색하는 것도 같고. 하지만 전체적으로 봤을 때 이 작품은 쉽게 읽혀지는 건 아니라는 것이다.  
       
사랑은 어디서 와서 누구의 가슴에 머물며 어디로 가는지 인간은 도무지 알 길이 없다. 그런데도 그것을 말하려고 하고, 증명하려고 하는 건 인간의 미련 때문일까 아니면 지혜를 갈구하기 때문일까? 이 세상 모든 이야기에 사랑이 안 들어가는 것도 있을까? 이야기는 곧 사랑이라고 해도 틀리지 않는다. 아니 더 정확히는 애증은 아닐까? 이 세상 모든 이야기는 애증에 관한 이야기란 말이다.  

누구는 사랑을 끝내려고 하고, 누구는 그 끝에서 사랑을 다시 시작하려고 하며, 누구는 자기 집착을 사랑이라고 우기고, 누구는 자유연애를 사랑하는 사람의 대표로 여기기도 하며, 신 앞에 맺어진 사랑만이 진실하고 거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어떻게 생각해도 사랑에 정답은 없다. 하지만 사랑에 대한 태도만큼은 분명해야 하지 않을까?

분명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건 생각만큼 그렇게 간단하고 낭만적인 것마는 아니다. 하지만 그것 때문에 사랑하기를 거부하거나 미성숙을 보이지는 말자. 물론 사랑 끝에 남는 것이 이별의 아픔이 될지 더 성숙한 사랑으로 나가는 것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그것은 자아의 완성을 위한 것임엔 틀림없다고 생각한다. 사랑은 정복의 대상 또는 작업의 완수여서 더 이상 이룰 게 없다고 보는 건 상대를 더 이상 인격으로 보지않는 실수를 범하는 것이 될 것이다. 인간으로 아니 생명으로 태어난 이상 사랑에 대한 모험과 수고를 아끼지 말았으면 좋겠다. 다른 동물이나 식물도 그럴진데 사랑을 지능적으로 이용하는 종은 인간밖엔 없는 것 같다. 아니면 아예 너무 어렵고 두렵다고 시작조차 못하는 인간은 또 얼마나 불쌍한 존재랴.

이 책은 단 한 번의 독서로 끝낼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훗날 다시 한 번 정독해 봐야할 것 같다고 숙제를 남긴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피북 2017-03-16 23: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관념적이고 사변적에서 숙제로 남긴다 까지 읽으며 내겐 좀 어렵겠네 싶다가도 이 궁금증 참을 수 없는 호기심도 슬금슬금 올라옵니다 ㅎㅎ 저는 아직 이 작가님의 작품을 만나보지 못했는데 혹시 ‘식물들의 사생활‘이란 작품의 작가님은 아니실런지요. 아직 이 작품도 읽어보지 못했지만 <유럽의 그림책 작가들에게 묻다>라는 책에서 프랑스 작가님이 이 소설을 감명 깊게 읽었다는 부분이 매우 인상적이라 한번쯤 읽어보고 싶은 책이었어요~^^

stella.K 2017-03-17 13:49   좋아요 0 | URL
이전에 제가 읽은 건 ‘생의 이면‘ 딱 한 작품이었던 것 같아요.
이것도 억지로 읽어서 거의 기억엔 없구요.
그래도 이승우 작가가 꾸준히 책을 낸 덕에 지금은 꽤 팬층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분이 좀 무섭기도 해요.
오래 전에 이분에게서 잠깐 배운 적이 있었는데
제 워크샵 작품을 보고 어찌나 뭐라고 하시던지 무안해서 혼났습니다.
유머 감각 거의 제로고 오직 외골수로 소설만 바라보고 사신 분인데
그런 거 생각하면 존경할만 하죠.
독자와 소통하는 글을 쓰면 좋을 텐데 한마디로 소설에 순정을 바치신 분
같습니다. 한 번 슬슬 읽어 보시죠. 쉽지 않을 것 같지만 그래서
얻는 것이 있을 수도 있잫아요.^^

2017-03-16 23: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stella.K 2017-03-17 13:56   좋아요 1 | URL
맞아요. 왜들 작가나 철학자들은 사랑을 어려운 것으로
표현하려고 하는지 모르겠어요.
배풂, 포용, 아량만하는 것도 평생 다 못할 텐데 말입니다.
백날 천날 말로 글로 치대는 사랑 밀가루는 열정이란 행위가
들어가지 않으면 빵이 안 된다...!
과연 지당하시고 훌륭한 말씀입니다.^^

페크pek0501 2017-03-21 12:0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한때 제가 열광하던 작가였어요. <생의 이면>을 읽고 반해 버려서 몇 번이고 반복해 읽었었어요.
여행을 가서도 아이를 유모차에 태워 재우면서 재독했던 기억이 나네요. 그래서 낡은 책이 되어 버렸어요.
그래서 그의 작품 <지상의 노래>를 구입해 읽을 책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것보다 <사랑의 생애>를 더 읽고 싶군요. 아마도... 사랑에 관해 새로운 경지를 보여 줄 듯 기대되네요.

님이 쓴 이 리뷰는 청소되어 반짝이는 마루를 보는 듯 깔끔한 글솜씨가 느껴집니다.ㅋ

stella.K 2017-03-21 13:01   좋아요 0 | URL
ㅎㅎ 저는 브리핑으로 언니 글을 읽는데
한때 언니가 작가라고 하시는 줄 알았어요.
요즘 눈이 안 좋다보니 이렇게 착각하는 게 많아요.ㅠㅋ

이승우 작가 좋아하는 사람은 정말 좋아하는가 본데
저는 아직 뭐가 좋은지 모르겠더라구요. 그냥 어렵기만 하던데...

사실 리뷰도 어떻게 써야하나 좀 막막했는데
좋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