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치미교 1960
문병욱 지음 / 리오북스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우리나라에 실제로 존재했던 사이비 종교 백백교를 모티프로 해서 썼다고 한다. 

실제로 읽어보면 재미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뭔가 모르게 아쉬움이 남는다. 차라리 아예 백백교의 실상을 까발리는 작품이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웬 있지도 않은 치미교란 가상의 종교를 만들어 놓고, 과거를 다루고 있는지 현재를 말하고 있는 건지 시점이 헷갈린다. 

 

이를테면 등장인물은 해방 직후를 살았던 사람인 것 같은데, 지명이나 동네 이름은 현대다. 그 옛날 서초구가 어딨으며, 노원구가 어디 있었겠는가? 그런데 그 시절에도 있었다고 치고 보라는 건지, 아니면 과거의 사람을 현대에 끌어 와 서초구나 노원구 같은 활동 거점을 얘기함인지 잘 모르겠고 일관성이 없어 보인다. 이건 별거 아닌 것 같아도 생각 보다 치명적이라고 생각한다. 사실감은 확 반감시키면서 독자로 하여금 작품을 신뢰하지 못하게 만든다.

 

그러다 보니 실제 백백교의 교주가 곽해용인지 아니면 작품을 위한 가상의 이름인지는 모르겠으나, 곽해용의 행적이나 만행에 대한 묘사는 실제 백백교의 교주가 그대로 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는 한다. 사실 그래서도 차라리 백백교의 실상을 파헤치는 소설이길 바랐던 것이다.

 

곽해용의 면면을 보면 그는 상당히 똑똑한 인물이면서 상상력과 조직력이 탁월한 인물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 자신의 장점을 이용해 종교를 끌어 왔고 그것으로 대중을 사로잡는 카리스마를 보여준다. 이것은 또 이제까지 사이비 종교의 교주들이 보여준 면모이기도 하다. 그랬을 때 그들의 보여준 대범함이란 가히 상상을 초월한다.

 

그런데 문제는 그런 사람에게 끌리는 대중이다. 왜 끌릴까? 보통 사람들에겐 없는 대범함, 카리스마가 그에게 있기 때문인 걸까? 나에게 없는 그러나 있게 되길 바라는 것을 상대가 가지고 있으면 사람은 끌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더 생각을 해 보면, 사람은 영원을 사랑하고 동경하는 마음이 있다. 세상은 살기가 너무 힘들고, 부조리한 것들이 많다. 사람들은 누구나 차별없는 공동체를 원한다. 교주들은 바로 이점을 노리고 파고 드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래서 사람들로 하여금 재산을 다 정리하고 자신들이 제공하는 안식처에서 이상적인 공동체를 이루며 살자고 꼬드기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 이면에 무엇이 존재하고 있는지는 철저하게 숨긴다. 그래서 종교는 아편이라고 하는 것 아니겠는가.

 

책은 그런 인간의 내면을 건드려 주긴 하지만 너무 사건의 전개에만 몰두해 특별한 무엇을 새롭게 보여주지는 못하고 범작에 머문 느낌이다. 이 작품이 실제 영화화될 건지는 모르겠다. 영화화를 위해 치밀하게 썼다고 하는데 어느 만큼의 구색은 갖춘 느낌은 들지만 치밀한 건 잘 모르겠다. 치밀한 것 보다 더 중요한 건 작가의 세계관이나 철학이어야 하는 것 아닌가? 적어도 소설이라면 말이다. 소설이 그렇게 만만한 세계가 아닌데.

 

그런 의미에서도 난 이런 소설이 독자를 기만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마치 소설이 보여줄 수 있는 것이 이런 영화화를 위한 치밀한 스토리 전개방식이 전부인 양 하고 있으니 말이다. 차라리 시나리오를 써라. 여전히 소설로 밥 벌어 먹고 살겠다면서 소설은 영화적이어야 한다고 우기면 그건 좀 변종 아닌가? 영화화를 생각한다면 차라리 시나리오를 써라. 괜히 소설에 기생해 영화 안되면 소설이란 안전한 것만 추구하지 말고. 이래가지고 서야 한국 소설에 미래는 있는가?

(써 놓고 보니 괜히 화가 난다.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02-27 17: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화 시나리오를 써본 경험이 있는 작가가 소설을 쓰게 되면 영화적 기법들이 이야기 속에 스며드는 것 같아요. 영화로 나온 공포소설 《무녀굴》 도 그런 느낌이 들었어요.

stella.K 2016-02-27 18:26   좋아요 0 | URL
그건 잘 모르겠는데, 나는 소설가가 소설을 이렇게 쓰는 게 화가 나더라구.
소설 쓰는 걸 제대로 알고 영화적 기법을 쓰면 또 그것도 이해하겠어.
마치 이것이 다인 양 처음부터 이런 식으로 쓰고 있다는 게 화가 나.
사유는 없고 사건의 나열만 있잖아.
이건 소설이 아니야. 그냥 스토리텔링이지.
그럴 바엔 차라리 시나리오를 쓰란 말이지.
그리고 독자도 시나리오를 소설 읽는 것만큼 친근하게
읽어줬으면 좋겠어. 시나리오는 일반 독자는 안 읽잖아.
그러니까 이런 현상이 나오는 거라고.
만만한 게 소설이라고 소설을 호구로 알 잖아.ㅉ

yamoo 2016-02-27 2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신랄한 리뷰네요. 흠...이런 거 아주 좋아요! 리뷰만 봐도 읽고 싶은 마음이 샥 가십니다. 이런 게 진정한 리뷰가 아니고 뭐겠습니까~

시나리오나 써라~ ㅋㅋㅋㅋ 직격탄 인데요..ㅎ

stella.K 2016-02-28 18:10   좋아요 0 | URL
ㅎㅎㅎ 너무했나요?
꼭 심한 말은 아닌데...
이젠 독자들도 소설만큼이나 시나리오나 희곡을
재밌게 읽을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출판계나 매스컴은 이런 쪽에
너무 무관심하잖아요.
작가가 시나리오로 이글을 풀었다면 차라리 인정을 하겠어요.
개나 소나 소설 쓰겠다고 하는 게 짜증나더라구요.
물론 전 한 권도 못 쓰면서. 나야 뭐 독자니까.ㅋㅋㅋ

전 단지 백백교를 알고 싶은 마음에 읽으려고 했는데
읽을수록 뭔가 미진하고 찜찜하더라구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