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모윤숙

 

    

 - 나는 廣州 山谷을 헤매다가 문득 혼자 죽어 넘어진 國軍을 만났다 -
    
 

산 옆의 외따른 골짜기에

혼자 누워 있는 국군을 본다

아무 말 아무 움직임 없이

하늘을 향해 눈을 감은 국군을 본다

 

누런 유니포옴 햇빛에 반짝이는 어깨의 표지

그대는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소위였구나

가슴에선 아직도 더운 피가 뿜어 나온다

장미 냄새보다 더 짙은 피의 향기여!

엎드려 그 젊은 죽음을 통곡하며

듣노라! 그대가 주고 간 마지막 말을…….

 

나는 죽었노라 스물다섯 젊은 나이에

대한민국의 아들로 숨을 마치었노라

질식하는 구름과 원수가 밀려오는 조국의 산맥을 지키다가

드디어 드디어 숨지었노라

 

내 손에는 범치 못할 총대 내 머리엔 깨지지 않을 철모가 씌워져

원수와 싸우기에 한 번도 비겁하지 않았노라

그보다도 내 피 속엔 더 강한 혼이 소리쳐

달리었노라 산과 골짜기 무덤과 가시 숲을

이순신(李舜臣) 같이 나폴레옹 같이 시이저 같이

조국의 위험을 막기 위해 밤낮으로 앞으로 앞으로 진격! 진격!

원수를 밀어 가며 싸웠노라

나는 더 가고 싶었노라 저 머나먼 하늘까지

밀어서 밀어서 폭풍우같이

뻗어 가고 싶었노라

 

내게는 어머니 아버지 귀여운 동생들도 있노라

어여삐 사랑하는 소녀도 있었노라

내 청춘은 봉오리지어 가까운 내 사람들과

이 땅에 피어 살고 싶었었나니

내 나라의 새들과 함께

자라고 노래하고 싶었노라

그래서 더 용감히 싸웠노라 그러다가 죽었노라

아무도 나의 죽음을 아는 이는 없으리라

그러나 나의 조국 나의 사랑이여!

숨지어 넘어진 이 얼굴의 땀방울을

지나가는 미풍이 이처럼 다정하게 씻어 주고

저 푸른 별들이 밤새 내 외롬을 위안해 주지 않는가!

 

나는 조국의 군복을 입은 채

골짜기 풀숲에 유쾌히 쉬노라

이제 나는 잠시 피곤한 몸을 쉬이고

저 하늘에 날으는 바람을 마시게 되었노라

나는 자랑스런 내 어머니 조국을 위해 싸웠고

내 조국을 위해 또한 영광스레 숨지었노니

여기 내 몸 누운 곳 이름 모를 골짜기에

밤 이슬 내리는 풀숲에 아무도 모르게 우는

나이팅게일의 영원한 짝이 되었노라

 

바람이여! 저 이름 모를 새들이여!

그대들이 지나는 어느 길 위에서나

고생하는 내 나라의 동포를 만나거든

부디 일러 다오, 나를 위해 울지 말고 조국을 위해 울어 달라고

저 가볍게 날으는 봄나라 새여

혹시 네가 날으는 어느 창가에서

내 사랑하는 소녀를 만나거든

나를 그리워 울지 말고, 거룩한 조국을 위해

울어 달라 일러 다오

조국이여! 동포여! 내 사랑하는 소녀여!

나는 그대들의 행복을 위해 간다

내가 못 이룬 소원 물리치지 못한 원수

나를 위해 내 청춘을 위해 물리쳐 다오

 

물러감은 비겁하다 항복보다 노예보다 비겁하다

둘러 싼 군사가 다 물러가도 대한민국 국군아! 너만은

이 땅에서 싸워야 이긴다, 이 땅에서 죽어야 산다

한 번 버린 조국은 다시 오지 않으리라, 다시 오지 않으리라

보라, 폭풍이 온다 대한민국이여!

이리와 사자떼가 강(江)과 산(山)을 넘는다

운명이라 이 슬픔을 모른 체하려는가

아니다, 운명이 아니다 아니 운명이라도 좋다

우리는 운명보다 강하다! 강하다!

 

이 원수의 운명을 파괴하라 내 친구여!

그 억센 팔다리 그 붉은 단군의 피와 혼

싸울 곳에 주저 말고 죽을 곳에 죽어서

숨지려는 조국의 생명을 불러 일으켜라

`조국을 위해선 이 몸이 숨길 무덤도 내 시체를 담을

작은 관도 사양하노라

오래지 않아 거친 바람이 내 몸을 쓸어 가고

젖은 땅의 벌레들이 내 몸을 즐겨 뜯어 가도

나는 유쾌히 이들과 함께 벗이 되어

행복해질 조국을 기다리며

이 골짜기 내 나라 땅에 한 줌 흙이 되기 소원이노라'

 

산 옆 외따른 골짜기에

혼자 누운 국군을 본다

아무 말 아무 움직임 없이

하늘을 향해 눈을 감은 국군을 본다

 

누런 유니포옴 햇빛에 반짝이는 어깨의 표지

그대는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소위였구나

가슴에선 아직 더운 피가 뿜어 나온다

장미 냄새보다 더 짙은 피의 향기여!

엎드려 그 젊은 죽음을 통곡하며

나는 듣노라, 그대가 주고 간 마지막 말을.

 

<풍랑, 문성당, 1951>

 

 

 

모윤숙(毛允淑, 1909~1990) 호 : 영운(嶺雲)

1910년 함경남도 원산 출생
1931년 이화여자전문학교 영문과 졸업
1933년 『시원(詩苑)』 동인
1934년 처녀 시집 [빛나는 지역](1934) 출간
1948년 산문 시집 [렌의 애가(哀歌)](1948) 출간
1949년 『문예』 창간
1954년 국제 펜클럽 한국 본부 창립에 관여. 한국 펜클럽 한국본부 위원장 역임
1955년 한국자유문학가협회 시분과 위원장 및 문총 최고 위원
1967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수상
1970년 한국문인협회 부위원장
1973년 한국현대시인협회 회장
1975년 서사시 <논개> 발표
1980년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등 60편을 미국에서 영역 출간
1990년 6. 7 병고 끝에 별세
시집 : 『빛나는 지역』(1933), 『옥비녀』(1937), 『풍랑(風浪)』(1951), 『정경(情景)』(1959)
산문집 : 『렌의 애가(哀歌)』(1937)

 

                                                                                                            

 

 

                                                             50년 8월 부산 국군 전진中

                                                                                                               

                                                                                      출처:숲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