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파이브 - KI 신서 412
켄 블랜차드.셀든 보울즈 지음, 조천제 외 옮김 / 21세기북스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제부턴가 꽤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 리더는 어때야 한다는 책들이 대거 쏟아지기 시작했다. 그 기류를 태고 나도 아주 가끔은 리더십에 관한 책들을  읽게되곤 한다. 그러나 리더도 혼자 독불장군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리더를 해 먹을 수 있을만한 조직과 모임이 만들어져야 한다. 그만큼 팀 또는 팔로우십도 중요하건만 상대적으로 이 분야에 관한 책은 참 적지 않나라는 생각을 해 봤었다.

그러던 중 내가 만난 <하이파이브>란 책은 팀에 관한, 즉 어떻게 하면 드림팀을 만들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가 소설처럼 쉽고 간결하게 씌여있어 부담없이 읽을 수 있는 책인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있으면, 어떻게 하면 좋은 팀을 만들 수 있을까에 대한 방법을 알려고 하기 전에, 리더란 어떠한 사람이 되어야 하는가를 알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이 책은 미국내 최하위 초등학교 하키팀인 리버밴드팀을 어떻게 최강의 팀으로 만들어 가는가에 대한 과정을 그리고 있다.

우리나라야 하키가 그리 인기 종목의 스포츠는 아니지만, 미국이 하키가 인기 종목인 것만큼, 우리나라는 축구나, 배구, 야구, 농구 등이 인기 종목의 스포츠다. 거기서 배워야 하는 것은 당연 팀워크다.

꼭 운동이 아니더라도 팀워크를 이루어서 해야하는 일은 이 세상에 참 많다. 그러나 우린 전통적으로, 어느 한 사람에 의해서 주도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 책은 이 한 사람에 의해서 주도되는 것이 얼마나 비효율적이며 위험한지를 지적하고 있다. 그렇다고 처음부터 드림팀이어서 훌륭한 팀워크를 발휘한다는 것 또한 거의 불가능한 것이다. 드림팀은 원래부터 있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 지는 것이다. 그렇게 되기까지 얼마나 많은 갈등과 어려움들이 존재하는 것일까?

팀내에서 문제적 인간은 꼭 있다. 내가 보기에 이 문제적 인간이 없다면, 내가 문제적 인간이 될 소지가 있다. 왜 어느 팀을 봐도 문제적 인간이 꼭 존재해야 하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꼭 딴지걸고 싸움과 분쟁의 단초가 되는 인간 말이다. 그것이 누군가 되지 않으면 나 자신이 될 확률이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그런 문제적 인간이 팀원의 한 사람이 아닌 바로 리더 그 자신이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리더 그 자신이어서 사람을 그저 윽박지르기나 하고, 끝까지 자기의 의견 외에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의견이 안 중에도 없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그런 사람과 그런 조직이 있느냐고 할지 모르겠지만, 사실은 불행하게도 있다. 그런 경우 그는 또 다른 문제적 인간을 허용치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의 결말은 그도 죽고 그 팀도 죽는다.

보스의 기질이 있는 사람은 모난 돌이 정을 맞는다고 어떻게든 힘으로 그를 제압하고 그렇지 않으면 팀에서 제거하기도 한다. 그러나 리더는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책은 그것을 소설의 형식을 빌렸음에도 일목 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다.

훌륭한 팀을 만들기 위한 비결,

1. 목적 의식과 가치와 목표를 공유하는 것.

2. 고난도 기술을 개발할 것.

3. 우리 모두를 합친 것보다 현명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하는 신념.

4. 자주 포상하고 인정할 것.

등을 제시한다.  사실 나도 지금까지 몇몇의 모임과 조직을 거쳐봤지만, 사람들 저마다의 가능성과 월등함에도 불구하고 팀웍이 이루어지지 않에 삐걱거리고, 어느 일정 수준에서 멈춰버리거나 해체되는 경우를 많이 봐왔다.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리더에 의해서 또는 어느 특정인에 의해서만 주도되는 모임은 그리 오래가지 못한다. 우린 지난 월드컵 경기를 보면서 이전에 유명한 축구 선수 몇몇에 의한 경기가 아니라 팀 선수들 거의 대부분이 고른 우수한 기량을 발휘해 가면서 4강 신화를 이룬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만큼 이젠 스타플레이어에 의한 조직이 아닌 팀웤이 중요하단 말일 것이다.   

근데 안타까운 건 어느 모임을 가든 그냥 팀원으로 있다 리더의 자리에 서면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몰라 우와좌왕하는 모습들을 종종 본다. 그들은 자신의 처신 때문에 고민하면서, 어떻게 하면 내가 이끌어 가는 팀을 가장 좋은 팀으로 이끌어 갈 것인가? 어떻게 하면 좋은 리더가 될 것인가에 대해 연구하지 않는다.

우리나라 정치를 봐도 그렇고 어떠한 조직을 봐도 그렇고 인재난이다. 홍수 중에 마실 물이 없다고,  사람은 많은데 정작 일 할 사람이 없다.

여야가 서로 신경전만 벌이고 있다. 그 시간에 머릿 싸움하지 말고, 우리가 어떻게 하면 재대로된 팀을 만들고 운영해 나갈 것인가를 연구하면 얼마나 좋을까? 당수니 대변인 앞세워서 반대여론만 만들지 말고, 바른 말하는 사람들 보기 싫어 벌레 보듯 얼굴 구길 생각하지 말고, 리더라면 어떻게 하면 나에게 속한 사람이 그 분야에서 최고의 사람이 될 수 있도록 해 줄 것인가를 고민하고 연구하는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리더는 어쩌면 드러나는 인물이 되지 말아야 하는지도 모른다. 리더가 스포트라이트 밝혀서 뭐하겠는가? 그 팀이 최고의 팀이 되면 자연히 그도 드러날텐데.

누군가는 이렇게 말했다. 리더층이 두꺼워야 그 나라의 저력이 두텁다. 한 사람의 리더에게 모든 것을 건다는 건 어리석다고.

그런 의미에서 리더란 그 사람이 그 분야에서 그 일을 가장 잘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거라고 나는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나의 이런 생각에 동의한다면 그 사람에게 이 책을 한번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다. 아주 심층적이진 않더라도 공감이 가는 구석은 많을테니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태우스 2004-08-14 2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텔라님은 이 리뷰를 통해서 알라딘의 리더가 될 자격이 충분히 있음을 보이고 있습니다. 스텔라님, 현재 37위인 에고이스트님이 무시무시한 양의 페이퍼를 쓰고 있답니다. 21위도 안정권이 아니니 화이팅 하시기를.

stella.K 2004-08-14 2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마워요. 관심가져 주셔서. 역쉬 전 마태님의 응원으로 살아요!!
저도 알고 있어요. 21위고. 열심히 써야한다는 거. 근데 누가 내 페이퍼를 관심있게 봐줘야 신나서 쓰죠. 그래도 마태님 응원 받았으니 열심히 써 볼께요. 홧팅! 아자!

파란여우 2004-09-11 18: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왜 이렇게 좋은 리뷰에 추천이 없는건지...

stella.K 2004-09-11 18: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흐흐흐~여우님, 감사해요. 여우님 밖에 없어요. 감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