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 군화>를 리뷰해주세요.
강철군화 잭 런던 걸작선 3
잭 런던 지음, 곽영미 옮김 / 궁리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모처럼 좋은 소설을  읽었다. 

이미 100여 년 전에 잭 런던에 의해서 씌여졌고 우리나라에선 아직 민주화 운동이 한창이던 때 운동권에선 많이 읽혀졌던 작품이라고 한다. 그런데 난 왜 이제야 이 책을 알았을까? 하긴 난 그 시절 운동에 대해선 그다지 아는 바도 많지 않았고 거의 무관심 했으니 이런 책이 인구에 회자가 된 줄은 알지 못했다. 그때만해도 불온서적이 아니었겠는가? 그러고 보면 세상 참 좋아졌다.  

저자는 서기 27세기 통일된 사회민주주의의 문헌학자 앤서니 메러디스가 에이비스 에버하드의 원고를 공개하는 형식으로 시작하고 있는데, 그것은 20세기 초 에이비스 에버하드의 남편이자 사회주의자였던 어니스트 에버하드의 일대기를 에이비스의 입을 빌어 회상하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당시 미국의 과두지배체제(소수의 사람이나 집단이 사회의 정치. 경제적 권력을 독점하고 행사하는 정치 체제)하에 자본가들은 넘쳐나는 잉여를 주체하지 못하면서도 끊임없이 자본을 추척하고 있었고 이를 비판하며 중산층의 몰락과 늘어난 노동자들의 실업과 빈곤의 문제로 허덕이는 가운데 이런 불공평한 세상을 바로 잡겠다는 사회주의자 어니스트와 이에 동조하는 세력의 투쟁을 그린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책의 앞부분에서는 어니스트가 여러 지식인들과 논쟁하는 과정에서 어니스트가 꿈꾸는 세상에 대해 이론적인 것을 증명하는 방식을 취했다면 뒷부분으로 갈수록 그와 그의 추종세력의 투쟁 과정이 사실적이며 박진감 있게 그려져 있다.

물론 작품은 어느 한쪽의 승리를 그리지 않고 사회주의자 계속적인 투쟁을 다짐하며 끝을 맺고 있다. 여기서 나는 '물론'이란 단어를 썼는데 그것은 100년전에도 그랬듯이 지금도 계급 투쟁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어찌보면 앞으로도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는 지구가 없어지지 않는한 숙명의 라이벌로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을까 하는 전망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회주의자의 입장에선 싸움은 아직 끝난 것이 아니며 저자는 이렇게 열린 결말로 끝을 낼 수 밖엔 없을 것이다.  

그래도 잭 런던이 초두에 '서기 27세기 통일된 사회민주주'를 언급한 것을 보면 그는 아마도 사회주의가 승리하게 되길 바라며 이 책을 썼던 것 같다. 

애석하게도 잭 런던은 그가 살아있는 동안 사회주의가 승리하는 것을 보지 못했으며 지금은 21세기 초 이 책을 읽은 벽안의 독자인 나 역시 사회주의가 승리하는것을 살아생전에 볼 것 같지는 않다.  내가 이렇게 말하는 것은 잭 런던이 말했던 과두지배체제와 강철군화의 망령은 20세기 초가 그랬던 것처럼 21세기 초에도 여전히 아니 더 또렷하게 살아있기 때문이다.  

보라. 오늘 날 세계를 지배하는 세력은 80%의 노동자 집단이 아니다. 단 20%의 자본가 집단이 세상을 지배한다. 아니 누구는 상위 3%만이 세상을 지배한다고도 한다. 그리고 못 사는 사람은 여전히 못 살고 잘 사는 사람은 여전히 더 더욱 잘 산다. 우리가 비난해 마지않는 건 이런 비대칭의 사회가 아니다. 문제는 그런 자본가들이 가지지 못한 사람에 대하여 눈을 뜨지 않는 것과 그들의 오만과 횡포다. 

억울하면 출세하랬다고 자본가들은 그들에 대하여 놀리기만하고 자꾸만 자본주의의 환상만을 심어준다. 그리고 조금만 자기네들의 세계가 위태로워지면 잭 런던이 말했던 '강철군화'로 사람들을 위협하고 위태롭게 만든다.    

바로 어제 우린 한 나라라의 대통령을 지냈던 어르신의 갑작스런 서거 소식에 충격과 슬픔을 감추지 못했다.  

그 어르신의 죽음을 언론에 공식 발표했던 그분의 최측근중 한 사람은 울먹이며 우리나라의 언론을 비난했고 특히 조중동이 그분을 죽음으로 몰고 갔다고 통탄해 마지 않았다.  

조중동 그들이 누구인가?  자본주의의 세례를 받고 권력의 단물을 달게 빨아 들였던 21세기 강철군화들이 아닌가?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내내 어니스트의 아니 잭 런던의 통찰에 거의 전율하다시피 했고, 어찌보면 이런 계급 사회의 문제는 100년 전이나 지금이나 조금도 해결되지 못한 문제란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도 잭 런던은 먼 미래 27세기엔 사회민주주의가 승리해서 오랜 과거의 일을 보여주는 것처럼 이 이야기를 이끌어 가고 있다. 그렇다면 열린 결말이라고 해도 긍정적인 결말처럼 보인다.     

글쎄, 서기 27세기라. 정말 그때쯤이면 잭 런던이 바라던대로 사회민주주의가 실현되어 있을까? 

불행인지 다행인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태어나서 지금까지 민주주의가 아닌 사회에서 살아 본적이 없고 자본주의가 아닌 세상에서 산적이 없다. 그래서 솔직히 죽을 때까지도 사회민주주의가 제대로 실현되는 세상을 보고 죽을 것 같지는 않다. 하다못해 사회(민주)주의의 가능성을 가장 잘 보여 줄 수 있을 것만 같은 기독교회 조차도 자본주의의 단물을 빨아 먹은지가 오래됐는데 내가 어디서 잭 런던이 말하는 사회민주주의의 이상향을 보겠는가?  

그래. 내 당대에선 사회민주주의 승리를 볼 수는 없겠지만 그렇게 먼 미래에서라도 사회민주주의가 승리하는 날이 있었으면 좋겠다. 그런 의미에서 훗날에 강철군화에 짓밟혀 비명에 돌아가신 전직 대통령도 그 죽음이 헛되이지 않기를 간절히 바래본다.   

덧) 이 작품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정말 탁월한 작가는 통찰력이 있으며 미래를 예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건 아닐까를 생각해 보았다. 또한 잭 런던은 상당히 지적이면서 뛰어난 문체의 소유자였다. 오죽하면 각주조차도 재미있다.  

그래서일까? 나 개인적으로는 미국 문학을 그다지 선호하는 편은 않지만 잭 런던의 작품은 앞으로 몇 작품 더 읽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말랑 말랑한 소설만 읽어 온 나에게 이런 소설은 모처럼 의식을 깨우는 맛이 있어서 좋았다. 내가 알고 보는 세상이 전부는 아니다. 우리는 자신이 모르는 세상을 알 필요가 있다.

- 서평 도서와 맥락을 같이 하는 '한핏줄 도서' (옵션) 

에밀 졸라의 <제르미날>  

장 지글러의 <왜 세상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내가 지금 어떤 사회속에 살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는 벽안의 독자들에게.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여러분도 노동자계급도, 우리 모두 인류 역사의 장을 어둡게 만든 그 어떤 전제정치보다 잔혹하고 끔찍한 강철군화 아래 짓밟히겠지요. 그런 전제정치에 잘 맞는 이름이죠. 강철군화!" (168p)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앨런 2009-05-25 15: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은 제가 22년 전에 읽은 책이라서 반갑네요. 대학 새내기때 읽었던 책인데, 읽고 나서 어찌나 충격이 컸던지 지금도 그 느낌이 있답니다. 정말 읽어볼 만한 책입니다.

stella.K 2009-05-26 10:44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저도 빨려들어가듯 읽었습니다.
잭 런던 참 매력적인 작가더군요.^^

2009-05-25 16:3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