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김훈의 문학을 일컬어 “마초”적이라고 말한다. 나는 아직 그가 낸 책들을 다 읽어내진 못했지만, 그의 글들은 거의 대부분 남성을 대상화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것도 있긴 하다. 그의 단편 “언니의 폐경”같은 경우는 이례적으로 남성이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 소설은 순전히 두 자매가 이야기를 주도하고 이끌어 간다. 그래서일까? “언니의 폐경”을 읽었을 때 나의 느낌은 마치 차가운 쇳조각에 살을 덴 느낌이었다고나 할까?

하지만 김훈이 마초들의 이야기를 썼다고 해서 무엇이 문제겠는가? 어차피 이 세상의 이야기 중 거의 대부분이 남자가 나오고, 남자에 의해서 씌여지고 있는데 말이다. 하지만 이러다가 그의 문학을 일컫어 마초문학이라고 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그는 내는 책마다 화제가 아닌 적이 없었고, 특히 이 책 <남한산성>은 상종가를 치며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는 중이다. 왜 그럴까? 요즘 인기 있다는 펙션 또는 역사소설의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일까? 아니면 우리가 몰랐던 병자호란이나 인조에 관한 얘기를 다루고 있기 때문일까? 하지만 그는 이 소설을 시작할 때, 이 책은 소설이며, 오로지 소설로만 읽혀야 한다고 했다. 그렇다면 작가 김훈이 이 소설에서 얘기하려 했던 건 무엇일까?

알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누군가를 좋아한다고 해서 모든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이 아니듯, 김훈도 그런 것 같다. 그에 대한 독자의 반응은 호불호가 확실해 보인다. 그를 좋아한다면 왜 좋아하는 것일까? 나는 그의 작품을 좋아하는데, 더 정확히 말하면 그의 ‘문체’를 좋아하는 것일 게다. 나는 그의 소설 <칼의 노래>로부터 그의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그의 문체는 한마디로 저기압 문체다. 읽고나면 가위에라도 눌린 듯 무겁지만, 뭔가의 깊은 울림이 있다. 이 작품에도 예외는 아니었다. 특히 마치 그때 당시를 여행하듯 명징하고, 인물이나 배경묘사가 적확하다. 모름지기 작가라면 이런 각을 세울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많은 사람이 그를 좋아한다면 아마도 이런 이유 때문은 아닐까 짐작해 본다.

그런데 싫어하는 이유는 뭘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의 작품엔 여성을 비하시키는 내지는 반페미니즘이라고 하는 경향도 있는 것 같다. 하지만 그가 작품이 여성이 비중있게 다루어지지 않는다고 해서 꼭 그렇게 말해도 좋은 것인지 잘 모르겠다. 그 보단 그를 변호하는 건 아니지만, (내가 지금까지 그의 작품을 읽은 바로는)그는 여성을 다룰 마음이 아예 없어 보이는 듯 하다. 그에겐 오로지 마초 다시 말해 남성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듯하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그의 문학을 마초적이라고 했을 때, 작가는 과연 그 말에 동의할까? 아마도 그 말은 평론가들이 자기내들끼리 뭉뚱그려 말했던 것이 세상에 전파된 것은 아닐까, 싶다. 여성의 비하 역시 그가 의도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마초적이라는 것도 그렇다. 그가 주로 남성을 그리긴 했지만 전형적인 마초를 표현하지는 않아 보인다. 우리나라 국민이 그리도 흠모해 마지않는 이순신 장군을 형상화 한 작품 <칼의 노래>에서 보면, 그는 이순신을 영웅호걸로 그리지 않았으며, 고뇌하는 남자로 그렸다. <남한산성> 역시도 우리가 익숙히 보아 온, 파벌이나 당쟁을 그리지 않고 고뇌하는 남자들을 그렸다. 인조도, 김상헌도, 최명길 역시도...

 

 

그렇다면 그의 작품에서 그리는 남성들은 왜 그리도 하나 같이 고뇌하고 있는 것일까? 실은 우리가 알고 있는 남성은 그다지 전형적인 마초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그것은 하나의 상상이며, 그렇게 되기를 바라고 있는 것은 아닐까? 사실 남성들은 늘 선택을 강요받으며, 자신의 영역을 지키기 위해(그것이 가정이든 나라든) 끊임없이 고군분투하고, 밥벌이의 지겨움에 몸서리치는 건 아닐까? 작가 김훈은 이것을 가감 없이 보여주게 되길 바랬을지도 모른다. 치욕을 기억하라고 하면서까지 하면서 말이다.

제법 비장해 보이긴 하지만, 역시 그것은 우리가 원하던 것은 아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전형적인 마초는, 우리에겐 정복당해 온 역사만 있지, 어느 때고 정복한 역사는 없거나 감추어져 있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반작용은 아닐까? 그래서 더더욱 마초적이 되길 바라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작가는 늘 이것을 의도적으로 반(反)해 왔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아무려면 어떠냐? 이 책 어디에선가 작가가 그렇게 표현한 것처럼, 그는 어느 쪽도 아니며 그저 글을 쓸 뿐이라고 하면 할 말은 없다. 




댓글(10) 먼댓글(1)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김훈이 "남한산성"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은?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11-05 02:26 
    남한산성 - 김훈 지음/학고재 2007년 10월 31일 읽은 책이다. 올해 내가 읽을 책목록으로 11월에 읽으려고 했던 책이었다. 재미가 있어서 빨리 읽게 되어 11월이 아닌 10월에 다 보게 되었다. 총평 김훈이라는 작가의 기존 저서에서 흐르는 공통적인 면을 생각한다면 다분히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작가는 매우 냉정한 어조로 상황을 그려나가고 있다. 소설이기에 작가의 상상력이 개입이 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읽었음에도 주전파..
 
 
mira95 2007-06-24 16: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텔라님 오랜만이죠? 리뷰 좋네요. 저도 김훈 좋아하는데..<칼의 노래>도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남한산성>도 봐야죠.. 추천 누르고 갈게요^^

stella.K 2007-06-24 20:49   좋아요 0 | URL
아, 미라님! 반가워요! 그동안 잘 지내셨죠. 이렇게 반가울 수가...!^^

마노아 2007-06-24 17: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남한산성보다 김훈의 문학을 논하셨군요. 마지막의 마초에 관한 이야기는 신선합니다. 그런 속내가 있을 수 있단 생각이 드네요. 잘 읽었습니다^^

stella.K 2007-06-24 20:50   좋아요 0 | URL
김훈에 중독됐다고나 할까? 읽어주셔서 고마워요.^^

다락방 2007-06-24 2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우~ 굉장한 글이예요. 추천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그런 글입니다. 위에서 언급하셨던 [언니의 폐경]은 『강산무진』에서 제가 가장 좋아했던 단편입니다.

stella.K 2007-06-25 09:31   좋아요 0 | URL
다락방님, 고맙습니다. <언니의 폐경>은 확실히 작가의 작품중 단연 독보적인 것 같아요.^^

프레이야 2007-06-24 22: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전 칸이 오줌을 휘갈기는 장면이요! 마초적이랄까.

stella.K 2007-06-25 09:32   좋아요 0 | URL
그렇긴 하죠. 하지만 칸의 비중은 그다지 커 보이지는 않았죠.^^

드팀전 2007-06-25 06: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초 이야기는 일단 김훈의 소설도 소설이지만 그보다 그가 가끔씩 하는 인터뷰나 기타 잡글들에서 보인 가부장적인 자신감과 반여성적인 멘트들에서 파장된게 아닐까요?

stella.K 2007-06-25 09:33   좋아요 0 | URL
아, 그런 게 있었군요. 왜 나는 잘 몰랐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