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귀찮지만 행복해 볼까 - 번역가 권남희 에세이집
권남희 지음 / 상상출판 / 2020년 3월
평점 :
#1
이 에세이는 처음부터 낚싯밥이 확실하다. 전 세계 독자뿐만 아니라 수많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는 하루키에 대한 이야기부터 다루고 있지 않은가. 그것도 그에 대한 소소한 이야기. 알다시피 요즘엔 거대담론보다는 디테일하고 미니멀리즘 한 얘기가 더 잘 먹힌다. (이미 많이 떠든 얘기지만) 난 하루키의 소설은 안 읽으면서 남들이 그에 대해 무슨 얘기하는지에 대해선 솔깃하다. 작품보다는 그의 인간적인 면들이 더 알고 싶은지라.
책을 보니 작년 기준으로 하루키가 노벨문학상 후보로 지명된 게 14년째란다. 그러니 해마다 그와의 인터뷰를 시도하려고 기자들이 대기 전쟁을 치르는가 보다. 그것이 안 되면 꿩 대신 닭이라고 번역가라도 인터뷰하겠다고 하는 바람에 저자도 해마다 홍역 아닌 홍역을 치른다고 한다. 그러면 하루키에 대해 쥐뿔도 모른다는 말을 자동응답기에 녹음해 두고 싶다고 하는데 웃음이 낫다. 그 상황이 정말 이해 간다. 번역자가 이런데 하루키 본인은 어떨까. 평소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표정에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표정 관리에 은근 신경 써야 하지 않을까.
아무튼 저자가 이런 지경이라면 전 세계 하루키 번역가들도 비슷한 상황일 거라는 건 미뤄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저자는 하루키가 그 상을 받으면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는데 그건 나도 동감이다. 물론 나 역시 하루키한테 무슨 억하심정이 있는 건 아니고, 그저 일본에 노벨문학상을 안겨 주는 게 싫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처음으로 생각이 찔끔 바뀌기도 했다. 도대체 노벨문학상이 뭐라고 해마다 하루키는 고사하고, 기자는 무슨 고생이고, 하루키 번역가들은 무슨 죄란 말인가. 전 하루키의 책을 번역한 죄 밖에 없어요. 정말 하루키에 대해서 쥐뿔도 몰라요. 그러니 우리 그냥 번역만 하게 해 주세요. 그들의 절규가 들리는 것만 같다. 그들이 어디 하루키 책만 번역하고 살겠는가.
#2
요즘 부쩍 나도 진작 번역을 해 볼 걸 그랬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글을 잘 쓰려면 베껴쓰기는 필수다. 나도 아주 간혹 가물에 콩 나기로 베껴쓰기를 해 보는데 끝까지 한 건 가물에 콩도 안 날 정도다. 암튼 그렇게 하다 보면 차라리 원작을 번역을 하면 좋지 않을까 싶다. 문장 공부도 할 겸 돈도 벌고 좋지 않은가. 요즘엔 작가가 번역을 하는 건 이제 자연스러운 일이 됐다. 하루키가 번역도 했다는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고, 우리나라도 작가 김영하나 김연수 등 몇몇 작가들이 번역을 하기도 한다. 작가가 번역도 하면 좀 폼나지 않나? 더구나 저자의 말대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색을 드러낼 수도 있고.
저자는 '타 업종 사람들의 습격'이란 글에서 이렇게 소설가들이 번역도 하는 것에 대해 쫄았다고 했는데 만일 나까지 번역한다고 했으면 어쩔 뻔했겠는가. 그럴 줄 알고 난 번역 안 하지 않는가. 아, 그런데 나는 어쩌자고 한국어 외엔 제대로 구사하는 외국어가 하나도 없는 건지. 모르긴 해도 이번 생엔 외국어를 아는 일은 없지 싶다.
거기에 덧붙이자면, 요즘엔 미니 시리즈 드라마 한 편을 보려면 어떤 작가가 썼느냐가 그 드라마에 누가 나오느냐 못지않게 중요해졌는데, 번역가는 (편집자와 함께) 거의 유령 작가처럼 취급되고 있는 것 같아 그 점이 좀 아쉽다. 번역가도 직업상 할 말이 있을 것 같은데 왜 그렇게 대중에게 안 알려져 있는 것인지. 그렇다면 번역가도 자기 글을 쓰고 자기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언제까지 원작자의 이름에 가려 타 업종의 습격을 받을까 노심초사하며 번역만 할 것인가. 까이 꺼, 인생 얼마나 산다고. 습격엔 반드시 반격이 필요한 법. 저자의 소설로 반격할 날을 기대해 본다.
#3
저자는 어린 시절 의외로 긍정적인 아이라고 했다. 9살 때 집이 망했을 때도 '나도 위인전의 위인들처럼 가난해졌다. 나도 위인처럼 될 수 있어! 했고, 중학교 때 환경이 바뀌었을 때도 소설 쓸 거리가 늘어났다! 하고 좋아했더란다.('그런 아이였다 1' 글에서, 098p)
오래전, 누구라고 하면 알만한 유명 탤런트가 배우 지망생 때 속상한 일을 당하면 꼭 반드시 유명한 배우가 돼서 그때를 생각하며 이 부분에서 이렇게 연기해 주고 말거야 해서 좀 놀란 적이 있었다. 나는 배우는 아니지만 속상하고 억울한 일을 당하면 이 상황을 꼭 소설로 쓰고 말 거야라며 소설 감 하나 더 늘어난 것을 기뻐(?)하곤 했으니까. 하긴, 오래전 나의 글 선생님도 말씀하시곤 하셨다. 내 안에 분노가 있는가. 그것이 글을 쓰게 할 거라고. 그 후 난 오랜 세월 동안 분노란 단어는 꽤 여러 번 다른 단어로 바뀌거나 구체화됐다.
사실 꿈이란 막연히 갖는 아름답고 고상한 그 무엇이 아닌지도 모른다. 오히려 비루하고, 부조리하며, 결핍 속에 자라나는 나를 긍정하며 살게 만드는 어떤 힘인지도 모르겠다. 저자는, 그런 아이는 자라서 위인은 되지 못했지만, 벌레처럼 무시당하는 일은 없는 어른이 됐다고 전하고 있다. 하지만 소설 쓸 거리는 계속 느는데 아직 쓰지 못하는 게으른 어른이 됐다고 고백한다. 그 부분을 읽는데 딱 내 얘기하는 줄 알았다. 그러게 말이다. 나도 소설 쓸 거리는 계속 느는데 쓰진 못하고 게으른 어른이 됐다. (저자와 나의 나잇대도 비슷하다.) 그래도 저자는 번역을 계속하지만 난 그나마 쓰던 대본도 지금은 쓰지 않고 있다. 대본 안 쓰게 되면 소설 쓴다고 했는데, 빼도 박도 못하고 둘 중 하나가 됐다. 지금이라도 소설을 쓰거나 그냥 게으른 어른으로 남거나.ㅠ
#4
지난 2016년도에 (운이 좋아) 책을 내고 두 번 정도 방송이라는 걸 탔다. 한 번은 라디오 인터뷰였고, 한 번은 강연을 했다. 그렇지 않아도 출판사에서 그랬다. 책이 나오면 여기저기서 강연이나 인터뷰 요청이 들어올 거라고. 원치 않으면 안 할 수도 있지만 가급적 응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출판사 측에서야 말은 그렇게 하지만 사실은 하라는 소리다. 내 책 내 준 것도 고마운데 제가 무슨 강연이냐고 거절을 못하겠더라.
막연히 작가의 꿈을 꾸었을 땐 글만 잘 쓰면 되는 줄 알았다. 근데 여기저기 얼굴을 팔고(?) 다녀야 하다니, 이게 과연 내 팔자에 있었나 싶기도 했다. 작가야 말로 자기 책의 확실한 책장사가 돼야 한다는 걸 그때 처음 깨달았다. 문제는 말주변이 없다는 거다. 또한 버벅댈 것이다. 버벅대지 않으면 내가 아니다. 버벅댈 수도 있다. 아예 생각부터 그렇게 하는 게 속편 하겠다 싶었다. 그러면 역으로 버벅대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아서. 하지만 역시 인터뷰도 그렇고, 강연도 그렇고 버벅댔다. 역시 난 버벅 여왕이었다. 얼마나 버벅댔던지 나중에 강연을 초청했던 분이 나를 다 위로를 한다. 저자는 앞에선 낯가림이 심해 강연을 못한다고 어쩌고 해도 결국 마지막은 자기 자랑으로 마무리한다. 부러웠다. 나는 적어도 나중에 그 강연 좋았어요. 뭐 그런 피드백을 듣지는 못하더라도, 그때 딱 한 번만이라도 청중을 웃게 만들었어야 했던 건데 그걸 못했다.
얼마 전, 강연 잘하기 노하우를 가르치는 어떤 사람의 동영상을 우연히 봤는데, 누구라면 알만한 셀럽은 매주 개그 콘서트를 챙겨보고, 유머집을 달달 외우며 체화시켜 강연을 한다고 한다. 역시 그냥 되는 일은 없구나. 그걸 그때 알았더라면 나도 노력해 보는 건데. 다행인지 불행인지 그때 이후로 지금까지 강연 섭외는 들어오지 않고 있다.
#5
사진이란 게 그렇긴 하다. 찍어 놓고 보면 내가 나 같지가 않다. 남들은 이게 너라고. 예쁘게 나왔는데 왜 그러냐고 눈치 빠른 사람은 그렇게도 말해 주지만, 욕심이 너무 과한 거 아니냐고 은근 타박을 놓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난 역시 이런 나 자신의 낯섦 때문에 사진 찍는 걸 극도로 싫어한다. 저자도 그런 말을 하지만, 내가 보는 나와 남이 보는 내가 달라서다. 그래도 지나 놓고 보면 이때도 나쁘진 않았네 싶을 때가 있다. 그때야 비로소 나 자신을 인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건 적어도 그 사진이 지금 보다 젊기 때문일 것이다. 젊음은 그렇게 아름다운 것이다. 그러므로 사진 찍힐 테면 찍혀라. 뭐 그런 자세도 필요한 할 것 같긴 하다. 지금의 내 모습도 훗날 다시 보면 싫지 않을 때가 반드시 있으리니.
#6
무슨 에세이가 이렇게 웃겨도 되나 싶게 스탠딩 코미디를 보는 줄 알았다. 유머 코드도 나와 잘 맞고. 요즘 에세이가 고급스러워진 것도 사실이다. 새삼 에세이가 꼭 그렇게 고급스러울 필요가 있을까. 공감하고 언제나 즐겁게 읽을 수 있다면 그것도 좋은 거 아닌가 싶다. 저자의 글재주가 부럽기도 했다. 번역만 하지 말고 가끔 이렇게 에세이도 쓰고, 바라던 소설도 썼으면 좋겠다. 뭐가 됐던 다음 책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