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하는 습관 - 위대한 창조의 순간을 만든 구체적 하루의 기록
메이슨 커리 지음, 이미정 옮김 / 걷는나무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런 책 좋아한다. 이를테면 어떤 작가의 무슨 책 보단 그 책을 쓴 작가에 관해 시시콜콜하게 쓴 책. 대표적으로 무라카미 하루키가 되지 않을까. 이제 그에 관한 책은 그가 쓴 책들보다 많아졌다. 그도 그럴 것이 유명한 작가가 아닌가. 유명한 작가는 무슨 생각을 하고, 어떻게 글을 쓰고, 뭐에 관심이 많고, 하루를 어떻게 보내고 있는지 알고 싶은 것이다. 남의 삶이 왜 그렇게 궁금하냐고 할 텐가? 자신이 관심 있어하는 사람을 알고 싶어 하는 건 당연한 거다. 일반 대중이 연예인들에 대해 관심 있어하는 거랑 무엇이 다르겠는가. 단 난 그저 그 대상이 작가에게 있다는 것뿐. 하루키는 새벽 4시 전후로 일어나 한잔의 커피와 함께 책상 앞에 앉아 10시까지 글을 쓰고, 이후 10킬로미터를 달리고, 2시엔 번역 작업을 하거나 어느 음반 가게를 기웃거리고, 저녁에 장을 봐서 요리를 해 먹은 뒤 책을 읽다 밤 10시경 잠자리에 든다. 사실 이 이야기는 이제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나는 또 이런 식으로 작가들의 일상을 써 놓은 책은 없을까 기웃거린다. 그래서일까? 저자들 중엔 아예 작가의 일상을 채집해서 책으로 엮은 사람이 있다. 바로 이 책의 저자다. 이 책은 무려 131명의 여성 예술가의 루틴을 소개하고 있다. 그 정도라면 너무 많아 세례가 아니라 폭격 수준이다.  


루틴, 말 그대로 일상을 의미하는 단어로 저자는 예술가들이 어떤 작업 습관을 가지고 있는지를 소개하고 있다. 넓게는 무용가나 화가, 연출가, 배우 등 예술가라 불릴만한 직업군의 사람들을 다루고 있지만 가장 많이 다룬 직업은 시나 소설가 같은 문인이다.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내가 하루키에 대해 느꼈던 흥미는 어디론가 사라진다. 어떻게 이렇게 많은 예술가들의 루틴을 모았을까, 읽는 사람은 좋긴 한데 쓰는 저자는 멀미가 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솔직히 읽는 나도 멀미가 좀 났다.ㅠ) 


소개된 예술가들 대부분은 하루키만큼이나 그 이상으로 루틴을 철저하게 실천했고, 어떤 사람은 아예 워커 홀릭인 경우도 있었다. 특히 코코 샤넬은 쉬는 것을 두려워하기까지 했는데, 일만 하고 살면 오래 못 살았을 것 같지만 나름 오래 살았다. 하루키 때문일까, 나 역시 작가는 자신만의 루틴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이 책을 읽어보니 꼭 그렇지 않은 작가도 있어 오히려 반가웠다. 예를 들면, 시인이었던 엘리자베스 비숍이 그렇다.


그녀는 만성 천식 환자로 코르티손을 복용하기 시작했는데 그 약물의 부작용이 오히려 유익을 가져다줬다고 말한다. 그것의 부작용은 불면증이었는데 오히려 그것이 창작의 희열을 느끼게 해 줬다고. 하지만 그 희열의 수명은 오래가지 못했고 정서가 망가질까 봐 복용을 중단하고 아주 천천히 쓰는 방식을 택했다고 한다. 이렇게 작가는 뭔가의 강박에 쫓겨 하루에도 몇 장의 원고를 써내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생각에 동조라도 하듯 시인인 니키 조반니와 소설가 제이디 스미스 같은 사람은 쓰고 싶을 때 쓰는 사람들이다. 사실 글을 쓰다 보면 처음엔 긴장해서 열심히 쓰다가도 중간쯤 되면 느슨해지고 나중엔 포기하고 싶거나 정말 포기하게 된다. 그럴 때 니키는 장벽 같은 건 없다고 얘기하는데 그게 또 좀 말이 된다. 장벽을 받아들이면 장벽은 없는 것이다. 장벽이라고 생각되면 장벽인 것이고. 즉 압박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것이다. 제이디 스미스는 한 술 더 뜬다. 글이란 절박한 심정으로 글을 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글을 읽을 때도 절박함이 느껴지지 않는다. 그래서 진짜 글을 써야겠다 싶을 때가 아니면 글을 쓰지 않는다고 한다. 그 말도 맞는 얘기 같다. 죄짜듯 또는 싫은데 억지로 쓰는 거 별로다.  


그러고 보니 누가 생각이 난다. 빚을 갚기 위해 글을 썼다는 도스토옙스키와 발자크. 글을 써서 빚을 갚아야 한다는 절박함으로 글을 썼다. 작가라는 직업은 정말 묘한 직업 같다. 이렇게 절박함이 있어야 할 수 있는 직업이라니. 그렇다고 절박함을 위해 일부러 빚을 지는 어리석은 일은 하지 말라. 절박함을 갖는 방법이 꼭 그것만이 있는 건 아니다. 글 감옥에 들어갈 수도 있고, 출판사와 계약 맺거나 아니면 일부러 이 사람, 저 사람에게 떠벌릴 수도 있다. 그렇게 글을 쓸 수밖에 없는 상황 속에 나를 던져 넣으면 된다. 솔직히 빚을 지든 원고 계약을 맺든 작가가 돈만큼 절박한 게 또 있을까.  


이와 반대의 개념을 얘기하는 사람도 있다. 최초의 여성 사회학자요 저널리스트이기도 한 해리엇 마티노(1802~1876)는, 글을 쓰기 위하여 자리에 앉았다면 처음 무조건 쓰라고 조언한다. 그것은 글 쓸 기분이 들 때까지 기다리지 말라는 것이다. 그렇게 억지로라도 쓰면 당혹감과 우울함을 피할 수 있다고 말한다. 사실 공부든 글 쓰기든 책상 앞에 앉았다고 바로 하게 되지는 않는 것 같다. 일단 인터넷에 들어가 여기저기 서핑을 하다 하게 되는데 이게 좀 위험하긴 하다. 유독하기 싫은 날이 있다. 그땐 그걸로 시간을 채우게 될 수도 있다. 그럴 땐 마티노의 말이 맞는 것 같긴 하다. 25분 동안 글을 쓰고 인터넷을 해 보는 건 어떨까. 그럼 그 25분 안에 풍덩 빠져버릴 수도 있다. 아니면 25분 동안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25분 동안만 인터넷을 하다 바로 글을 쓰는 것으로 하던가. 그러니까 인터넷 25분은 글을 쓰기 위한 일종의 리추얼 같은 것이다. (나름 괜찮은 것 같긴 한데 인터넷 25분은 가능한 시간 같지는 않다. 25분은 그냥 상징적 시간으로 해 두자.ㅋ)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쓴 마거릿 미첼의 경우 그런 대작을 썼다면 매일 최소 30장 이상은 쓰지 않았을까? 하지만 그녀는 고작 두 장 정도를 쓰고, 다음 날 아침 다듬고 나면 겨우 여섯 줄이 남는다고 한다. 그럼 다시 시작하고. 그렇다면 그녀는 도대체 몇 년에 걸쳐서 그 작품을 완성시킨 걸까. 책을 보니 1928년에 쓰기 시작해서 1935년 가을에 편집자에게 원고를 넘겼다고 하니 나 같으면 진작에 못 쓴다고 했을 것 같다. 더구나 각장을 20번 이상 고쳐 썼다. 문득 습작이라고 썼던 내 지난날의 글들을 그렇게 쉽게 폐기하는 것이 아니었는데 싶기도 하다. 글 쓰기는 그렇게 지난한 것이다. 문득 내가 처음 작가의 꿈을 가졌을 때 이럴 줄 알고 있었나를 생각하면, 난 꿈에도 몰랐다. 미첼은 이 작품으로 퓰리처 상을 받았지만 그 이후에 한 작품도 쓰지 못했다. 그렇지 않아도 그녀는 무엇을 준다고 해도 그 일을 다시 시작하지 못할 거라고 말했다고 한다. 문득 오래전 나의 사부가 하셨던 말씀이 생각났다. 그렇게 힘들 게 쓰고도 또 쓰고 싶은 생각이 나면 작가가 자기 천성에 맞는 거라고. 그렇다면 마거릿 미첼 같은 작가는 뭐라고 얘기해야 할까. 인생 한 방이라더니 작가도 한 방인 건가.


내가 이런 책에 흥미를 느끼는 것은 작가의 사생활이 궁금한 관음증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런 책을 읽으면 뭔가 쓰고 싶은 욕구가 꿈틀대기도 한다. 작가는 무엇으로 쓰는가를 논할 때 보통 엉덩이의 힘으로 쓴다고 하는데 이제 그 말은 너무 단순하고 식상해서 웃음도 않나 온다. 예술가들이 어떻게 자신의 루틴 속에서 예술을 창조해 나갔는지 그들의 목소리를 들을 필요가 있다.


책은 매 장이 끝날 때마다 그 사람이 누구고 뭐했던 사람인지를 짤막하게 써 놓고 있다. 거기엔 그들의 출생 연도와 생몰연도까지도 밝혀놓고 있다. 보고 있노라면 묘한 느낌이 들기도 하다. 그렇게 살다 간 예술가들은 언제까지나 어제와 같은 일상을 살 것 같은데 어느 하루부터는 더 이상 그렇게 살지 못하는 날을 맞이하게 됐다. 그렇게 생각하면 다소 허망하다는 느낌도 들지만, 그들은 하루하루를 충실히 살았기 때문에 아쉬움 같은 건 없을 것 같다. 가끔 사람들은 다람쥐 쳇바퀴 돌듯 하다고 일상의 고단함 또는 무료함을 토로하기도 하는데 인간의 삶은 원래 그런 것이다. 다람쥐가 쳇바퀴를 돌지 않으면 둘 중 하나다. 어디가 아프거나 죽은 것이다. 인간도 마찬가지다. 아파보면 일상이 주는 고마움을 알게 된다. 부디 삶을 거창하게 생각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삶의 비결은 별 것 없다. 꿈이 있다면 그 목표를 이루는데 합당한 루틴을 만들고 하루하루 그것에 맞혀 사는 것이다. 물론 이 책에 소개된 예술가들은 예술적 재능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것을 위해 매일 루틴을 지키고 살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어찌 보면 그게 재능보다 더 힘든 거라는 건 잠 작으로도 알 수 있다.       


이 책은 여성 예술가들의 루틴을 다뤘다. 이 책이 여성 예술가를 집중적으로 다룬 건, 이 책 이전에 저자는 <리추얼>이란 책을 썼는데 그건 남성 예술가를 주로 다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 책도 읽어 보면 좋을 것 같다. 


가끔 인터넷을 돌아다니다가 열심히 글 쓰기에 몰두하고 있는 우리가 알만한 작가들의 사진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다. 난 그게 참 섹시해 보인다. 저 표정 한컷을 담기 위해 얼마나 많은 날을 자기 루틴을 지키며 살았을지 생각해 보기 바란다. 누구는 그랬다. 작가에겐 원죄가 있는데, 보지 말아야 할 것을 본 죄로 책상 앞에 평생 뭔가를 써야 하는 존재가 되어버렸다고. 그들은 평생 거미줄을 잣는 아라크네의 후예들이라고. 일부러 글 감옥에도 들어가는데 그 정도라면 칭찬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거 아닌가. 거듭 말하지만, 작가는 아름답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lanca 2020-02-23 2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덕분에 장바구니에 담아갑니다. 재미있을 것 같아요. <리추얼>도 재미있게 읽어서 기대돼요.

stella.K 2020-02-23 20:32   좋아요 0 | URL
저는 대체적으로 이런 책을 좋아해서 나름 재밌게 읽었는데
내용이 좀 많다는 느낌은 듭니다.
리추얼은 안 읽어서 모르겠는데 오히려 리추얼이 더 재밌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저자들이 첫 책에 공을 많이 들이잖아요.^^

북프리쿠키 2020-02-23 22: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리뷰나 페이퍼를 쓸때도 아~이번 글은 참 마음에 든다. 할 때가 쥐똥만큼 생길 때도 있는데, 작가는 어떨까 궁금해지기도 하네요. 그나저나 꿈틀거리는 욕구 좀 푸셔야 하지 않을까요~^^

stella.K 2020-02-24 12:11   좋아요 1 | URL
ㅎㅎㅎㅎㅎ 저는 솔직히 쿠키님 저한테 이렇게 자극 주실 때가
젤 좋고 감사합니다. 작가의 글을 기다리는 독자가 있다는 건
정말 행복한 일이죠. 고맙습니다. 쿠키님을 위해서라도
올해는 어떻게든 두번째 책을 내보도록 노력하겠슴다.ㅋㅋ

2020-02-25 16: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25 17: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25 21: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stella.K 2020-02-26 15:05   좋아요 0 | URL
와우, 도서관 매니아시군요.
저도 일주일에 한 번, 한 달이 한 번은 중고샵을 나가려고
생각중인데 그 루틴은 안 지켜지고 있어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