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이 3.1운동 100주년이라는 걸 아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물론 지금은 아직 2018년이니 내년이 되면 메스컴에서 일깨우긴 할 것이다. 더불어 2020년은 유관순 열사가 순국한지 100주년이 되는 해다.

 

그래서 모처에서 초등학교 3, 4학년을 대상으로 어린이 뮤지컬을 만든다고 해서 대본 참여를 해 줬다. 길이는 40분 내외.그러니 이야기가 산을 타다가 갑자기 낭떠러지로 떨어지는 느낌이다. 즉 기승전결이 없다는 것이다. 기승으로 갔다 바로 결론으로 떨어지는 구조랄까?

 

암튼 텍스트가 있긴 하지만 텍스트대로만도 할 수도 없다. 새삼 초등학교 때 배우고 잊어버렸던 유관순 열사에 대해 공부할 수 있게 되서 나름 좋았는데 그래도 대본에 유관순 열사의 마지막 유언만은 남기고 싶었다. 유언은 이렇다.

 

                 "내 손톱이 빠져나가고 내 코와 귀가 질리고

                  내 손과 다리가 부러져도 그 고통은 이길 수 있사오나

                  나라를 잃어버린 그 고통만은 견딜 수가 없습니다.

                  나라에 바칠 목숨이 오직 하나 밖에 없는 것만이

                  이 소녀의 유일한 슬픔입니다."

 

그런데 이걸 결국 넣지 못했다. 아이들 정서에 안 좋을거란다. 작가의 똥고집일까? 난 웬지 쉽게 용납할 수 없었다. 그렇지 않아도 폭력에 노출되어 있는데 이걸 가지고 얘들이 두려워 하겠느냐고 우기고 싶었다. 직접 보여주는 것도 아니고 그저 읊으며 지나가는 건데. 결국 모든 사람의 의견을 존중해서 빼기로 했다.   

 

그래도 뭔가 찜찜해서 최근 홍콩에 살다 영구 귀국한 아는 지인에게 사정 얘기를 하고 자문을 구해 보았다. 그는 홍콩에 살 때 아이들을 대상으로 인형극을 해 봤다니까. 그 역시 빼는 게 좋을 거라고 조언했다. 

 

그런데 또 의외의 일이 발생했다. 그렇게 해서 뺐는데 마지막 엔딩을 유관순이 채찍을 맞고 죽는 것으로 마무리 하자는 것이다. 아니 그 대사로 처리하는 유관순 열사의 마지막 유언도 뺀 마당에 채찍 맞다 죽는 것을 보여 주자고...? 게다가 그렇게 해서 마무리 할 것 같으면 기껏 만들어 놓은 노래 한 곡이 죽는다. 어쩌자는 건지.

 

그것도 내가 묻지 않았다면 그대로 진행시켜 볼 참이었던 모양이다. 순간 예전의 기억들이 떠오르른다, 이 바닥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변한 것이 하나도 없는 것일까 회의가 들지 않을 수 없었다. 서로의 영역을 터치하지 않고, 오로지 존중과 신뢰, 교감 뭐 이런 것만으로 작업을 할 수 없는 걸까? 누가 누구 위에 군림하고, 모든 것을 좌지우지해야 그 존재감을 인정 받는다고 생각하는 전근대적 꼰대감은 좀 없어져야 하는 것 아닐까? 더구나 제8의 예술인 뮤지컬을 하면서 과연 그게 용납이 된다고 생각하는 걸까?

 

꼰대가 아무데서나 꼰대의 존재감을 드러낸다면 정작 중요한 리더십을 발휘해야할 때 그 책무를 다하지 못할 것이다. 다소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이 있더라고 넓은 아량으로 넘어가야 하는데, 이렇게 처음 일하는 타임에서 그런 식으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낸다면 나중에 무엇을 보여줄지 그 또한 의문이다. 

 

벙어리 3년, 귀머거리 3년, 장님 3년은 그냥 있는 말은 아닐 것이다. 이젠 웬만한 건 유연함으로 넘어갈 줄도 아는 나이가 되지 않았나? 일일이 대응하고, 날카롭게 손톱을 세워봤자 나만 힘들어질 것이다. 나야 지켜야 할 것이 목숨 밖에 없으니 손해 볼 것도 그리 많은 것도 아니지만.    

 

아무튼 덕분에 유관순 열사에 대해 많은 것들을 생각했던 요즘이었다. 18살 채 피워보지 못한 인생을 살았던 사람. 무슨 용기가 있어 겁도 없이 그 어린 나이에 독립 운동을 할 생각을 했을까? 그녀가 삼일운동을 하고, 순국을 했지만 조국의 광복은 그렇게 빨리 오지 않았다. 

 

또 어찌보면 그렇게 죽는 편이 더 나았을까? 좀 더 오래 살았다면 그녀도 위안부가 되지는 않았을까? 하지만 그렇게만 생각할 수도 없는 것이, 그렇다면 위안부가 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 유관순만큼 용기가 없었기 때문이란 어이없는 논리의 비약까지 해야한다. 세상에 죽어도 되는 인생이 어디 있단 말인가? 버림 받아도 되는 인생이 어디 있는가? 계집 아이가 무슨 독립운동이냐고 혼이 나지는 않았을까? 별생각이 다 들었다. 무엇보다 유관순은 어린이 위인 전기에서나 다룰뿐 변변한 평전도 없지 않은가?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8-10-18 19: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채찍이 등장하는 결말은 충격이 크지 않을까요.
소품과 맞는 사람의 표정이라는 시각적 효과라는 게 있으니까요.
전에는 잘 몰랐는데, 요즘은 그 떄 나이가 십대라는 것을 생각하게됩니다.
유관순 열사가 아닌 그 시기 학생이었던 유관순이라는 사람의 생애도 있으니까요.

stella..K님, 오늘도 바람이 차갑습니다.
따뜻한 하루 보내세요.^^

stella.K 2018-10-19 14:08   좋아요 1 | URL
유관순 열사는 좀 안타까운 측면이 많죠.
변변한 평전도 없으니.
하긴 생각해 보면 18년 짧은 인생을 살았고
여자는 조명 받기 어려운 시절이니
그녀에 대한 자료가 얼마나 있겠습니까?
더구나 독립운동의 문을 열었을 뿐이니.
안중근이나 윤봉길 같은 사람은 뭔가의 족적이
있겠지만 한국의 잔다르크라고도 하는데 아쉬워요.ㅠ

희선 2018-10-19 02: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말보다 보여주는 게 더 기억에 많이 남을 텐데... 예전과 지금 십대는 많이 다르죠 옛날에 더 어른 같았던 것 같아요 시대가 시대였으니 그럴 수밖에 없었겠습니다 지금 나라가 있다는 게 얼마나 고마운 일인지, 나라을 빼앗긴 채였다면 우리말과 글도 없어졌겠지요 사라지는 말도 많다고 합니다 그 말을 쓰는 사람이 적어서... 이건 좀 다른 이야기군요


희선

stella.K 2018-10-19 14:02   좋아요 1 | URL
그러게요. 나라없는 설움을 우린 겪어보지 못했지만
전 세계적으로 난민들이 속출하는데
그들이 살기위해 넘의 나라에 입국한다지만
나라없는 사람들이라고 자국인들이 얼마나 업신 여기겠습니까?
그런 걸 보면 못 사는 나라라도 나라가 없는 것 보단 있는 게 훨씬
나은 건데,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임금을 비롯해 머리들이 너무
무책임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수도를 버리고 몽진하는 임금이 있지않나, 국정을 농단하는
대통령이 있지 않나? 그 사이에서 국민들만 희생재물이 돼 온 것 같아
씁쓸하기만 합니다.ㅠ

transient-guest 2018-10-19 04: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원래 이런 일은 모순이 가득한 것 같습니다.ㅎㅎ 대사는 끔찍해서 빼는데 채찍을 맞고 죽은 장면은 keep하다니요...무슨 Passion of the Christ도 아니고..
유관순 열사는 꽤 끔찍한 고문 끝에 돌아가신 걸로 알기 때문에 사실 만세운동 그리고 잡혀가서 심문 받으면서 열변을 토하는 걸로 수정하는 편이 아이들에겐 더 나았을 것 같아요...

stella.K 2018-10-19 13:56   좋아요 0 | URL
아, 그럴 걸 그랬나 봐요.
삼일운동 하다가 잡혀가서 고문 받고 죽는 걸로
해 달라고 해서 해줬더니만 엉뚱하게 고문 장면을 넣자니
말이나 됩니까?
그것도 나한테 직접 말 못하고 연출가하고만 그런 얘기를
했더군요. 그분이 최종 결정권자라고 하는데
작가를 아직도 따까리 정도로 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작가도 엄연한 제작진이고 작가가 그렇게 할 수 없다면
그렇게 해서는 안 되는 건데 일단 연출한텐 그렇게 하면
안된다고 했는데 과연 마지막까지 지켜질지 의문입니다.
그분 자신이 최종 결정권자라는 걸 과시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페크pek0501 2018-10-19 2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님의 글에서 의견 차이라는 것에 주목했어요. 어쩌면 사람들의 생각이 그렇게 다른 건지 나처럼 생각하겠지, 했다가 그게 아니라는 걸 알게 돼 놀란 적이 많아요. 또 오해와 왜곡은 우리 일상에서 자주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저는 그래서 함께 의견을 조율해야 하는 드라마 작가나 시나리오 작가보다 자기 글을 백퍼 완성할 수 있는 소설이나 칼럼이 속편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ㅋ

stella.K 2018-10-20 13:58   좋아요 1 | URL
맞아요. 사실 기껏 썼는데 이렇다 저렇다하면 기분 나쁘죠.
하지만 장단점은 있는 것 같습니다.
대본을 쓰는 경우 지문이나 대사에 딱딱 떨어지는
맛이 있어요. 막 상상력이 머릿속에서 팡팡 터지는
기분이 좋고.
그런데 소설은 속이 편하긴 하지만 혼자하는 작업이라
좀 늘어지고 재미가 없지요.
소설 쓰겠다고 대본을 쓰기 시작했는데
언제나 이 둘을 제 안에서 합체시킬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극작가로서 존중 받고 돈도 많이 벌고하면 좋을 텐데...
아무튼 저로선 오랜만에 하는 작업이라 쓰는 동안만큼은
재밌었습니다.
모처에서 이력서까지 달라고 해서 써 줬는데
앞으로 저를 계속 써 줄지 모르겠습니다.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