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스텍 SF 어워드 수상작품집 No.1 - 2021_2022
김한라 외 지음 / 아작 / 2022년 8월
평점 :
"과학이 압도적으로 발전한 이 시대에 문학이 무엇을 할 수 있나요?"
한 학생이 물었다. 평소에 과학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 학생이어서 그런 질문을 던지는 것이 의외였다. 나는 흥미롭다는 표정을 지었다.
"내가 묻고 싶구나. 문학은 무엇을 해 왔을까? 그것이 어떤 대단한 업적을 이룬 적이 있을까?"
"결정적으로 기여한 적은 없죠. 언제나 보조하는 역할이었어요."
역사에 관심이 많은 다른 학생이 끼어들었다.
"딱히 반박하지는 못하겠구나. 그동안 문학은 과학이랑은 전혀 상관없는 분야로 여겨졌거든. 문학은 증명하려고 하는 순간, 그 의미를 잃는 학문이야. 반대로 과학은 증명하고 인정을 받아야만 가치를 얻어. 그렇기 때문에 과학에 비해 문학이 쓸모없어 보일 수도 있어. 충분히 그럴 수 있어."
내가 대답했다. 어느새 모든 학생들이 나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 나는 숨을 고르고 말을 이었다.
"시중에 과학소설들이 참 많이 출판되었어. 내가 최근에 읽은 책은 포스텍 SF어워드에서 수상한 단편소설집인데, 너희에게 소재를 소개할게. 머리 이식, 차원실험연구소, 자동 노동, 우주 청소기, 가상 세계, 언어고고학자, 외딴 섬 뉴런, 이세계로 통하는 구멍, AI 면접, 축소 기계, 광합성을 하는 인간. 어때? 재미있어 보이지 않아?"
"몇 개는 처음 듣고, 몇 개는 어디선가 들어본 것 같아요."
처음에 질문했던 학생이 대답했다.
"바로 그거야. 우리는 어느새 과학소설의 소재에 익숙해져 있어. 세상이 그만큼 인간의 상상대로 움직였기 때문이야. 조만간 차원실험, 자동 노동, 우주청소기, 그리고 온라인 면접에 대해 논의하는 시기가 오겠지.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참 작가들이 유쾌하다는 거였어. 기술의 발전이 언제나 바람직한 현상만 가져오지는 않잖아. 소설들은 그 양면성에 대해 무겁게 다가가기보다 때로는 아름답게, 때로는 우스꽝스럽게 접근해. 그래서 오히려 더 생각할 거리를 주지."
"선생님은 아름다운 게 좋아요, 웃긴 게 좋아요?"
"나는 전달에 너무 힘을 주면 부담스럽더라고. 심사평에도 나왔지만, 이야기는 설득하려거나 논평하려 하는 게 아니라 그대로 보여질 때 가장 효과적인 법이야. 그래서 「잇츠마인」이랑 「리버스」가 기억에 남아. 두 작품에서 흥미로운 부분은 기숭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태도야. 처음에는 그 효용성과 부작용에 대해 걱정해서 시도하지 않다가, 주변 사람들이 모두 사용하니까 덩달아 쓰게 되거든. 나중에 가서는 자동 노동 서비스와 제2의 인생을 사는 가상 세계를 이용하지 않는 사람이 시대에 뒤처진 사람으로 취급 받아. 변화하는 시대에 휩쓸려야 하는 게 우리의 숙명일까? 이런 생각이 되게 많이 들었어."
"의외네요."
역사를 좋아하는 남학생은 무미건조하게 반응했다.
"내가 어렸을 때는 휴대전화가 없어도 친구들과 잘 어울렸어. 이제는 스마트폰이 없으면 친구들과 노는 건 물론, 일상생활에도 지장이 많지. 어린 학생들도 기술에 의지해야 숙제를 해 올 수 있고, 다른 학생들과 효율적으로 소통할 수 있어. 이게 나쁘다는 게 아니야. 시대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지. 그 변화가 부담스러운 사람들도 있겠지만, 혼자 외딴 섬처럼 떨어져 있으면, 그대로 고립되고 말아."
"시간이 멈춘 사람들처럼요?"
"그렇지."
나는 처음 질문했던 학생에게 대답하고 나서 잠시 멈칫했다.
"「어떤 사람의 연속성」을 읽은 거야?"
"아뇨. 차원실험연구소라는 단어를 듣고 나니 다양한 생각이 났어요. 분명 시간에 관련된 이야기를 하겠다, 추측이 되더라고요."
"과학 별로 안 좋아하지 않아?"
"시간과 차원에 관한 영상을 우연히 봤어요. 갑자기 궁금해지더라고요."
"「어떤 사람의 연속성」은 차원실험을 하다가 시간이 정지한 재난에 대한 이야기야. 주인공은 4차원을 넘나들 수 있는 존재고. 알고 보니 시간이 멈춘 게 아니라, 더 높은 차원으로 넘어갔기 때문에 3차원인 이 세상의 입장에서는 시간이 멈춘 것처럼 보인 거래. 차원에 대한 접근이 정말 흥미로운 소설이었어."
"그런 소설들이 현실이 되면 어떻게 될까요?"
대화에 집중하고 있는 사람은 나와 이 학생뿐이었다.
"놀랍겠지. 단편소설에 등장하는 '사람들'은 꽤 단순하게 묘사돼. 놀랍도록 멍청하게. 하지만 현실은 복잡해.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대응할 거야. 이 소설들은 단지 가능성만 보여줄 뿐이야. 유쾌한 상상을 우리가 이루는 순간, 변화는 시작돼. 설령 증명하지 못하더라도."
"그냥 상상만 해도 세상을 바꿀 수 있단 말이에요?"
"확대 해석은 금지야. 문학은 받아들이는 사람이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천차만별이야. 위대한 이야기는 없어. 위대한 독자만 있지. 너는 어떻게 할래?"
"도전해 볼게요. 읽은 책이 많지 않아서 자신은 없어요."
"그래, 이제 공부해라."
수업 시간이 거의 끝나갔다. 딱히 후회는 없었다. 앞으로도 이런 질문을 받으면, 성심을 다해 대답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