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초의 신화 길가메쉬 서사시 (리커버 개정판) - 국내 최초 수메르어·악카드어 원전 통합 번역
김산해 지음 / 휴머니스트 / 2020년 6월
평점 :
'최초'라는 단어는 인간의 호기심을 극도로 자극한다. 우리는 무엇이든 간에 처음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한다. 새로운 학기나 직장의 첫 번째 날, 첫 사랑, 아니면 최초의 음악과 문학 등등에. 아마 그것은 처음의 그 기대와 설렘 또는 순수함이 지속되길 바라는 열망에서 비롯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반복되는 삶 속에서 우리는 깨닫는다. 처음의 감정은 결코 유지될 수 없고,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던 처음이란 것도 사실 삶의 수많은 조각들 중 하나에 불과하다는 것을 말이다. 때로 그것은 미지에 대한 호기심과 더불어 효과가 과장되기도 한다.
나는 길가메쉬 서사시의 내용이 궁금했다. 기록상으로는 인류 최초의 신화이자 문학이라고 볼 수 있으니까 말이다. 그래서 고대어를 해독하고 문헌과 자료를 낱낱이 뒤진 인류학자들의 노고에 감탄하며, 과연 처음 이야기가 무엇을 다루는지 참으로 기대가 되기도 했다. 그리고 그다지 많지 않은 텍스트를 모두 보고 난 뒤의 느낌은 "뭐야, 별 거 없네?"였다. 물론 기원전 4000년 전이라는 까마득한 시대에 이 정도의 상상력을 발휘한 고대인의 역량은 감탄할 만하지만, 시대를 아우르는 통찰력은 결코 발견할 수 없었다. "그래서 지금 이 이야기가 나에게 얼마나 유효한가?"를 따져보면, 그렇게 긍정적인 답변을 하기 어렵다. 물론 이 질문이 고전 문학에게 향하는 주요한 공격임을 안다. 고전이 현대가 요구하는 문제에 답해줄 수 없다면, 사람들은 그것을 외면하기 마련이다. 내가 편견에 차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최초의 신화라는 이름만으로는 길가메쉬 서사의 가치가 다른 신화, 예컨대 중국 신화나 그리스 신화보다 높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양한 고전을 읽으며 느낀 것은, 그것은 각 시대에 있어서 가장 빼어난 작품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 시대에 동시에 여러 고전을 배치하면 상대적인 우월함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마치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스포츠팀이 국제 무대에서 힘을 못 쓰는 것과 비슷하다. 길가메쉬 서사시가 소위 말해 제일 '잘 나갔던' 시절은 오래 전에 끝났다. 가장 보편적인 주제인 죽음에 대한 투쟁과 굴복 역시 수많은 신화와 전설에서 다루어진 지 오래이다. 설령 최초의 문학이 이후의 모든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고 해도, 그 작품이 이후의 작품보다 결코 뛰어나다고 할 수는 없다. 여전히 19세기와 20세기에 탄생한 문학이 오늘날에 있어서 훨씬 중요하다는 내 의견은 변함이 없다.
그렇다고 길가메쉬 서사시를 지나치게 무시할 생각은 없다. 오히려 여러 수식어를 제거하고 하나의 이야기로 본다면, 충분히 탁월한 이야기이다. 길가메쉬가 자신의 조상인 우트나피쉬팀을 조우한 뒤 자신의 심정을 토로하는 장면은 서사시 전체에서도 손꼽히는 명장면이다. "사랑했던 저의 친구는 흙으로 돌아갔습니다. 언젠가 저도 그처럼 되지 않겠습니까? 저도 누워, 다시는 결코 일어나지 못하지 않겠느냔 말입니다!"에서 느껴지는 죽음에 대한 공포, 나아가 자신의 존재가 영원히 소멸될 것이라는 두려움이 페이지 너머로 느껴진다. 길가메쉬는 이 세상에 이루어놓은 것이 너무 많았기에, 오히려 그가 너무 뛰어났기에 두려움이 더욱 컸다. 그의 마음 속에 있는 삶에 대한 집착이 그를 파멸로 이끌었다.
역자와 연구자들의 상세한 설명과 참고 자료가 작품의 이해에 큰 도움이 되었다. 그들의 수고가 아니었다면, 이제는 평범하게 느껴지는 길가메쉬 서사시가 더욱 멋없게 느껴졌으리라. 고대인의 삶과 가치관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그토록 오랜 세월이 지나고 문명이 발전했어도 묘한 공통점이 발견된다. 예나 지금이나 사람 사는 건 별 거 없다는 것, 대단한 모험이나 뛰어난 업적은 개개인의 삶에 그렇게 특출나지는 않다는 것이 그렇다. 일상의 튼튼함이 보장되어야 우리는 성장한다. 누구나 길가메쉬처럼 살 수는 없다. 인간은 세계의 주인이 아니며, 신의 뜻에 따라 창조된 피조물임을 기억해야 한다. 겸손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얼마나 많은 희생을 치러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