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강철군화』로 이 작가를 처음 만나는 것은 위험하다. '잭 런던은 사회주의자야'라는 한 마디로 이 미국의 숨겨진 문호를 판단하기란 힘든 일이다. 『야성의 부름』을 비롯한 그의 다른 작품을 만나야, 역자도 '모순 투성이'라고 인정하는 그의 삶과 작품 세계를 완전히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나 역시 잭 런던의 삶이 완벽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또한, 그의 작품이 다른 고전들보다 특별히 뛰어나다고 평가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그가 『강철군화』에서 보여준 통찰력은 한 세기 그 이상이다. 그가 예견한 현실이 21세기 대한민국에 다른 모습으로, 그러나 같은 방식으로 재현되고 있는 것에, 그저 경의감을 품을 수밖에 없다.......
감히, 이 소설에 대한 리뷰는 올릴 자신이 없으니, '밑줄긋기'를 통해 이 소설이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직접 느껴보길 바란다. 어떤 소설은 직접 읽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내가 생각하는 이 책의 주제는, '이 힘든 시대에 우리가 살고 있는 이유'이다.
이 원고가 특별히 가치 있는 것은 그 끔찍한 시대의 `느낌`을 1912년에서 1932년 사이 그 격한 시대를 산 사람들의 심리를 이보다 생생하게 그려낸 글을 우리는 어디서도 찾기 힘들다. 그들의 실수와 무지, 의심과 공포와 오해, 도덕적 망상, 격렬한 열정, 상상하기 힘든 야비함과 이기심을 말이다. (10쪽)
여러분은 현실의 단단한 땅을 떠나 비행선에 말(言)을 태우고 공중에 떠 있습니다. 제발 땅으로 내려와 여러분이 말하는 철학이 어떤 의미인지 정확하게 말해주십시오. (25쪽)
그들은 무자비한 산업기계에 매여 살아요. 그것의 비애와 비극은 그들이 마음의 끈에 매여 산다는 겁니다. 아이들은 그들이 본능적으로 보호하려고 드는 어린 생명이죠. 이런 본능은 그들이 가진 그 어떤 윤리보다 강해요. 내 아버지만 해도! 내 아버지는 나의 입과 내 형들과 누나들의 입에 빵을 넣어주기 위해 거짓말, 도둑질, 온갖 치욕스런 짓을 했어요. 아버지는 산업기계의 노예였고, 그게 아버지의 삶을 짓밟았고, 끝내는 일만 하다 죽게 만들었어요. (70쪽)
한 사람이 그렇게 터무니없는 대우를 받고 있는데도 사회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제 갈 길만 가고 있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그처럼 터무니없는 대우를 받고 있는 건 아닐까? (75쪽)
세계 역사상 지금처럼 격렬하게 변화한 때가 없습니다. 산업계의 빠른 변화가 종교, 정치, 사회 구조에도 빠른 변화를 일으키고 있어요. 보이지 않는 무시무시한 변혁이 사회의 신경조직과 구조에서 일어나고 있스니다. (…) 제 말은 거대하고 위협적인 어떤 그림자가 지금 이 땅 전역에 드리우기 시작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원하신다면 그것을 과두제의 그림자라고 부르지요. (119쪽)
당신은 편집자들을 잊고 있군요. 그들은 자신들이 유지하는 방침의 대가로 봉급을 받아요. 그들의 방침은 기존 체제에 중대한 위협이 되는 것은 결코 싣지 않는다는 거죠. 주교님의 발언은 기존 체제의 도덕성을 강력하게 공격한 거였어요. 그건 이단이죠. 그런 이단적인 발언을 더 못하게 하려고 그분을 연단에서 끌어냈어요. 신문들은 그분의 이단을 침묵의 망각 속으로 일소할 거예요. 미국의 언론이요? 미국의 언론은 자본가계급에 기대어 살을 찌우는 기생충들이에요. 언론의 기능은 여론을 조작해 기존 체제에 봉사하는 것이고, 그 봉사를 썩 잘해내고 있죠. (131쪽)
지금은 더 많은 걸 깨달았네. 그 모든 감자와 빵, 버터, 고기가 내 것이었지만, 내가 그것들을 얻기 위해 일한 적은 없다는 걸 말이지. 그러자 모든 게 명확해지더군. 다른 누군가가 일해서 만든 것을 내가 빼앗았다는 사실을. 가난한 사람들 사이로 내려오니 그렇게 빼앗긴 사람들, 빼앗겼기 때문에 굶주리고 비참하게 사는 사람들이 눈에 보이더군. (215쪽)
그 문제에 있어서는, 혁명의 힘 역시 이 무시무시한 20년 내내 다름 아닌 정의감에서 나왔다. 그것 말고는 우리의 희생과 순교를 설명할 수 없다. 바로 그 이유로 루돌프 멘델홀이 사회주의를 위해 영혼을 불태우다 생의 마지막 밤을 자신의 멋진 백조 노래와 함께 마감했다. 바로 그 이유로 헐버트가 마지막까지 동지들을 배신하기를 거부하다가 고문에 못 이겨 죽어갔다. 바로 그 이유로 안나 로일스턴이 모성의 축복을 거부했다. 바로 그 이유로 존 칼슨이 글렌엘런 은신처에서 무보수로 충직하게 일했다. 남녀노소, 지위고하, 천재 바보 막론하고 어떤 인간을 혁명 동지들 속으로 밀어넣은 원동력은 정의를 향한 위대하고 지조 있는 갈망에서 나온다. (313~314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