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인간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66
허버트 조지 웰즈 지음, 임종기 옮김 / 문예출판사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버트 조지 웰스(Herbert George Wells)는 번뜩이는 상상력 뒤에 당대 사회의 모순점을 날카롭게 지적하는 작가이다. 자전적 소설인 『킵스』(Kipps)에서는 신사(gentleman) 계급의 허울을 폭로하고, 『모로 박사의 섬』(The Island of Doctor Moreau)은 생체 실험 및 동물 학대를 비판하며, 『우주 전쟁』(The War of the Worlds)은 제국주의와 일상적인 삶에 매몰된 사람들에 대해 경고한다. 그의 과학적 상상력이 현실적으로 가능한지의 유무는 어떻게 보면 크게 중요하지 않다. 웰스에게 특별한 소재란, 그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을 담아내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과학 소설(Science Fiction)의 본질은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이다. 과학적인 장치들이 말이 되면 그 나름대로 섬뜩한 일이다. 소설 속의 일이 언제든지 현실이 될 수 있다는 공포는 상상 이상이다.


 『투명인간』(The Invisible Man)도 "인간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의 연장선에 놓여 있다. 다시 말해, 이 작품은 "세상으로부터 분리된 존재도 인간에 포함될 수 있는가?"에 대해 묻고 있다. 그리핀은 자신만의 고유한 방법으로 투명인간이 되는 데에 성공하지만, 투명화를 해제하는 법을 몰라 그대로 살아간다. 곧 그는 한계에 봉착한다. 옷을 구하지 못해 추위에 떨고, 물과 음식을 얻기 위해 곳곳을 전전한다. 사람들과 마차들은 그를 보지 못하고 지나치지만, 투명인간은 그들에게 화낼 수조차 없다. 어차피 그들은 영원히 남자를 발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처음에 투명인간을 맞닥뜨린 사람들이 그를 유령 또는 목소리로 받아들인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결국 혼자서 살아남을 수 없음을 깨달은 그리핀은 폭력을 써서 마블을 자신의 시종으로 삼지만, 마블은 끊임없이 남자로부터 도망치려 한다. 또한, 자신의 조력자가 될 것 같았던 켐프는 끝내 그를 죽음으로 몰아넣는다. 후반부는 켐프의 시점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독자들은 투명인간의 죽음에 안심하지만, 한편으로는 씁쓸함이 남는다. 무엇이 그 평범한 과학자를 폭군으로 만들었을까?


 돌이켜 보면, 투명인간의 이야기는 신화에 이미 언급된 바 있다. 하데스의 모자를 쓰면 모습이 보이지 않게 되고, 플라톤이 쓴 『국가』에는 기게스의 반지를 낀 자가 투명해진다. 후자의 경우, 평범한 양치기였던 기게스가 끝내 왕국을 찬탈하는 결말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이 작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극중 그리핀은 공포정치를 이용해 사람들을 통제하겠다고 선언하는데, 우리가 섬뜩함을 느껴야 하는 지점은 여기에 있다. 웰스가 창조한 투명인간은 다른 사람을 볼 수 있지만, 투명하지 않은 사람은 그를 볼 수 없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자신들이 감시당하고 있다는 생각과 언제든지 그에게 죽을 수 있다는 불안에 시달린다. 그리핀은 정치의 특성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고, 실제로 살인도 불사하게 된다. 극한의 생존 위기와 사람들의 공포감이 그를 폭군으로 만들었지만, 그는 그 심리를 이용하여 마을을 지배하려 했던 것이다. 처음에는 음식과 잘 곳을 구하는 불쌍한 인물이 계속되는 억압을 거쳐 서로를 사냥하는 지경에 이른다. 웰스는 이러한 현대의 비극, 현대 신화를 훌륭하게 매듭 짓는 몇 안 되는 작가이기도 하다. 


 다양한 매체들로부터 익히 들어온 투명인간이라는 소재, 그리고 『투명인간』이 보이지 않는 인간을 묘사한 최초의 작품이 아니라는 점에서, 21세기의 독자들이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이야기의 힘에 있다. 이 짧은 소설에는 강렬한 힘이 있다. 불완전한 시야와 시시각각 변하는 상황에서 오는 긴장감은 과학 소설임에도 스릴러를 보는 듯한 기분이 들게 한다. 소재의 과학적 설득력은 다소 빈약하지만, 웰스는 자신이 설정한 투명인간의 장점과 단점을 잘 알고 있었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이야기에 사용한다. 독자는 출간된 지 120년 가까이 된 이 소설로부터 장르문학의 쾌감을 오롯이 누릴 수 있다. 한편, 이야기와 소재의 결합만으로 논의할 수 있는 거리가 무궁무진하다는 점에서 『투명인간』은 과학 소설의 아버지라 불리는 웰스의 작품들 중에서도 뛰어난 완성도를 자랑한다. 


 어떤 컨텐츠는 참신한 소재로 시작해서 다소 허무하게 끝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관객이 느끼는 감정은 실망감보다는 씁쓸함에 가깝다. 참신한 소재는 반드시 익숙한 이야기로 끝나게 되어 있다. 단지 시작하는 지점이 달라서 "이번에는 특별함을 유지하지 않을까?"라고 기대할 뿐이다. 그러나 소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결국 사람들을 움직이는 것은 여전히 이야기의 힘이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무수한 컨텐츠들이 단순한 '우화'나 '신화'로 종결된다면, 그것들은 힘을 잃는다. 왜 창작자는, 예술가는 정신적, 물질적 고난 속에서 이야기를 짜내는가? 그것이 미약하게나마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설명되지 않는 동기야말로 위대한 서사의 시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