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구 끝의 온실
김초엽 지음 / 자이언트북스 / 2021년 8월
평점 :
김초엽 작가에 대해서는 학술대회에서 처음 접했으나, 『지구 끝의 온실』은 SF를 사랑하는 한 명의 독자로서, 순진한 호기심으로 읽기로 다짐한 책이었다. 인류세 논의, 한국 SF의 전망 등의 거창한 이야기는 제쳐두고, 멸망에 맞서는 인간들의 사투를 그린다는 점에서 참 반가웠다. 많은 포스트 아포칼립스나 디스토피아 문학에서 놓치는 것이 멸망의 과정인데, 『지구 끝의 온실』은 더스트 폭풍 이후로 찾아온 무수한 혼란과 그에 투쟁하는 인간들의 사투를 생생하게 기록해 놓았다. 그리고 문명 재건 이후의 시점에서 바라본 과거의 치열한 사투가 결코 현재와 무관하지 않기에 참으로 작가가 치밀하게 소설을 구상했구나 싶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지수와 레이첼의 불분명한 성이다. 이름상으로는 지수가 남자고 레이첼이 여자 같지만, 레이첼에 대해 '그'라고 표현하는 것도 그렇고 지수의 성이 어딘가 불분명하게 묘사되어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물론 내가 초반을 주의깊게 읽지 않았는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으나, 작가는 상당히 의도적으로 인물들의 성별을 감추어 놓는다. 아마도 남성, 여성이라는 구분을 하기에는 레이첼이 반은 인간이고 반은 기계이기 때문에 불가능하지 않았을까? 인간의 기준으로 모든 존재를 해석하는 대신, 인간 역시 하나의 종으로 분류하려는 그녀의 의도가 아니었을까?
작가의 말이 꽤 인상 깊었다. 오직 식물만이 내 소설을 구원해줄 생물이라는 것. 그녀 역시 자신이 만든 세계가 존재할 법함을 믿고 있었다. 인간의 기술력이나 서로에 대한 신뢰라는 얄팍한 가치로는 소설 속 세상을 구할 수 없었다. 오직 식물의 번식력, 자생력, 그리고 단결이 끝없이 증식하는 재앙을 막을 수 있었다. 모스바나는 처음에 인간에게 해로워 보였으나, 아니 어쩌면 인간에게 적대적일 수도 있지만, 그들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지구상에 퍼져나가며 더스트를 흡수했고, 자신의 본분을 다한 뒤에는 저절로 사라졌다. 그 모스바나를 간직한 레이첼은 지수를 제외한 어떤 인간에게도 이해받지 못했지만, 지구 끝의 온실을 끝내 간직했고 그것을 불태움으로써 도리어 모스바나를 전 세계로 퍼뜨리는 데에 기여했다.
뇌가 기계로 되어 있는 레이첼은 어떤 것도 의도하지 않았다. 사랑이라거나, 인류의 구원자가 되겠다는 바람은 프로그래밍 되어 있지 않았다. 단지 레이첼은 한 명의 개체로, 종의 일부로 살아가고 싶었다. 나오미와 아마라도 마찬가지였다. 온갖 위협들에 맞서 프림 빌리지에 도달했으나, 그곳에서의 희망과 인간성은 외부 세력에 의해 끊임없이 위협을 받았다. 지구의 주인이라고 착각했던 인간들은 그 지위를 빼앗겼음에도 불구하고 타인에 대한 지배욕을 멈추지 않는다. 돔 시티에 사는 사람들은 지구에 있는 모든 생물들 중 자신들만이 같은 종을 학대하고, 또 학살하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 인간이 과연 무슨 자격으로 종들의 지배자를 자처한단 말인가? 더스트 시대가 남겨준 교훈은 이것이었다.
아영이 살아가는 22세기는 안녕한가? 멸종의 위기를 넘긴 자들은 과거를 잊지 않기 위해 계속 노력한다. 기술에 의존하여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 했던 어리석은 시절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한다. 그러나 여전히 남아 있는 숙제가 있다. 잃어버린 종의 역사를 어떻게 복원할 수 있을까? 다시 인류가 번성했을 때, 어떻게 겸손함의 가치를 전할 수 있을까? 우리는 종의 일부로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 한다. 인류세 논의의 모순(인류가 모두 멸종한 다음의 시대를 논의하는 것이 인류에게 과연 무슨 의미가 있는가?)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인간이 다른 종들, 그러니까 동물, 곤충, 식물과 동등한 지위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실로 많은 것을 포기해야 하지만, 그것만이 유일한 희망이고 구원이라면, 마다할 이유가 있을까?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 방향이 늘 바람직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이 희망을 포기할 이유는 되지 못한다. 왜 작가들은 절망으로 가득 찬 세상을 기어이 만들어내는가? 역설적이게도, 지금의 세상을 사랑하기 때문이다. 도무지 사랑할 수 없는 세계 속에서 살면서도 마침내 그것을 이어가기로 다짐했기 때문이다. 문학이 왜 존재해야 하느냐고, 인류의 존망이 걸린 문제에서 소설가가 무엇을 할 수 있느냐고 묻는 이들에게, 작가들은 바보처럼 "읽어보라"고 대답한다. 그들은 말보다는 글이 편하니까. 자신의 마음을 헤아려 주기를 애타게 바라고 있으니까. 그래서 나도 바보처럼, 주변 사람들에게 한결같이 권한다. 어떻게든, 문학을 읽어 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