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선물 받거나 도서관에 구비되어 있어서 읽게 된 책들이다. 선물 받은 『예수님 뭉클』은 예수님의 탄생과 구속 사역을 이야기처럼 재구성하여 쉽게 전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각종 인사들의 감상과 추천이 눈에 들어온다. 성경의 구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저자의 방식이 마음에 들었다. 가볍게, 하지만 좀 더 경건하게 읽은 책이다.


 『롯의 가정, 맹자의 가정』은 꽤 파격(?)적인 제목으로 인해 읽기 시작했다. 요지는 올바른 신앙으로 가정을 바로 세우라는 것이다. 가정에서의 올바른 교육이 신앙의 문제와 나아가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방책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그녀의 의견에는 동의하지만, 방법론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다. 다만, 2007년에 쓰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를 전망하는 저자의 시선은 냉철하다. 약 18년 전에 쓰였지만,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이 오히려 가속화되어 있는 현실은 더욱 씁쓸하다.


 표제에 대해 설명하자면, 롯은 소돔과 고모라라는 타락한 도시에서 자녀를 양육했다. 그의 딸들은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성장할 수 없었기에 모압과 암몬의 시작점이 되었다. 반면, 성경과 전혀 상관 없어 보이는 맹자의 어머니는 그를 올바르게 교육하기 위해 세 번이나 이사를 했다. 거기서 착안을 하여, 자녀에게 성장하기 좋은 환경을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태아에 있을 때부터 양육이 시작된다. 말씀과 찬양을 가까이 하게 하고, 부모가 신앙의 모범을 보이며 함께 예배 드리는 모습은 이상적인 가정의 모습이다. 이 책의 주장을 모두 취할 필요는 없지만, 신앙으로 가정을 세우는 것이야말로 지금의 세대가, 내가 준비해야 할 자세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젠가 보게 될 J.K. 롤링. 난 해리포터 시리즈를 한 글자도 읽지 않았으니 오히려 그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리라.

 

 

 

 

 

 

 

 

 

 

 

 

 

 모두 우리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인 동시에 현재 한국 사회에 대한 진단이다. 『강철 무지개』는 내가 좋아하는 시 중 하나인 '절정(이육사)'의 한 구절에서 따와서 더욱 기쁘다. 그리고 『나쁜 봄』은 내용도 내용이거니와, 문학적 시도가 대단했다. '것'을 배제하다니, 직접 느껴보지 않으면 안된다.

 

 

  카렐 차페크에 대한 관심은 높은데 정작 그의 작품을 하나도 읽어보지 못했다. 잭 런던처럼, 그는 나에게 찾아와 나의 삶을 바꿀 수 있을까?

 

 

 

 

 

 

 

 

 

 

 

 

 

 

 

 

 문학, 작가라는 나의 숙명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책들... 소중하다. 담아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기 위해 글쓰지도, 글쓰기 위해 살지도 마라. 그 안에는 무언가가 다른 하나의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는데, 그것은 지극히 불합리하다. 결국 삶을 글과 동일시하고, 글과 삶을 동일시하는 것이 최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왜 내가 '나는 한국의 모든 전업작가를 지지한다'라는 글을 지지하는가? 언젠가 내가 겪을 수도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나 역시 장강명의 기사를 보며 이런 생각을 했다. 한 가지 길로 계속 갈 것인가, 여러 가지 길을 동시에 걸을 것인가? 모든 선택의 책임은 나에게 있다.

 

 '호모 도미난스', 언젠가 이 작품과 곁들어 장강명 작가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다. 단지, 지금은 유예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 고독에서 벗어나시옵소서. 이제서야 그대의 작품을 만나게 되어서 미안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