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월든 - 시민 불복종 수록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지음, 홍지수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고전 문학을 읽을 때의 큰 장벽 중 하나는 배경지식이다. 저자가 살았던 시대 혹은 저자가 추구했던 가치관을 모르고서는 그가 작품에서 하는 말들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월든』의 저자인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펭귄클래식은 외국 비평가의 해설을 번역하는데, 여기에는 소로가 초절주의자(육체와 경험을 초월하는 영적 상태에 돌입하는 것이자 기존 종교의 경직된 교리가 아니라 각 개인의 직관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는 믿음)라는 설명이 나온다. 이러한 흐름을 놓쳤을 때 소로의 주장은 오늘날에 관점에서 다르게 해석될 확률이 높다. 그의 언행이 귀농을 예찬하거나 소위 미니멀리즘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하니까. 해설을 보고 나서야 그의 사상을 파악하는 것은 분명 소로와 소통하는 데에 있어서 난관이 된다.
한편으로는 그러한 배경지식이 없어도 『월든』의 독서 경험은 충분히 값지다. "세상에는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구나" 내지는 "이렇게 살아가는 사람도 있구나"를 배우는 시간이었다. 물론 노예제도를 거칠게 비판하는 모습은 통찰력이 빛나기도 한다. 또한, 당대 사회를 비판하는 몇몇 장면에서 21세기의 현대 사회를 관통하는 문장들도 보인다. 하지만 그러한 주장이 의미가 있으려면, 결국 사회 안에서 어떻게든 참여해야 했다. 이웃들의 도움을 빌리면서, 숲속에서 홀로 살아가며 사회를 비판하는 것은 현실 도피라는 평가를 듣기에 충분하니까. 나 역시 다소 뜬구름잡는다는 인상을 지울 수는 없었다. 소로는 자신의 사상을 지키기 위해 살아가고 있다고 주장하겠지만, 도리어 그러한 모습이 주장의 신빙성을 떨어뜨린다.
결국 도시 속의 사람들과 부대끼며 살아가는 나는 호숫가에서 한가로이 월든 호수를 감상할 여유가 없다. 초절주의니 뭐니 그런 사상을 따르고 싶은 마음은 더더욱 없다. 대신, 소로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은 파악할 필요가 있다. 거기서 내가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만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문학가로서 공감하는 대목이 있다. 「독서」 장에서 그는 "문학은 단순히 캔버스나 대리석으로 표현되지 않고 삶의 호흡 자체를 깎고 다듬어 만들어진다. (…) 고전이 독자를 일깨우고 격려할 때 독자는 거부감 없이 자신의 상식으로 고전을 받아들인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고전을 본 적도 없는 이들이 고전을 잊자고 말한다"는 구절을 남긴다. 고전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는 오늘날, 경종을 울리는 말이다. 포스트모더니즘과 고도의 기술력이 발전하면서 고전 작품(문학뿐만 아니라 과학, 철학 분야에서의 명저도 마찬가지다)이 그저 낡은 것으로 치부되는 것이 안타깝다. 그렇다고 그것보다 우수한 책들이 나오고 있냐고 묻는다면, 결코 그렇지 않다. 저자의 평생의 노력과 치열한 고민이 담긴 고전의 빈자리에, 가볍게 소비되는 일회용 서적들이 널리고 널렸다. 그 장르가 무엇이던 간에, 책은 그저 상품으로만 소비되는 지금이다. 이러한 현실에 탄복하며 소로의 문장에 동감했던 기억이 난다.
고독에 있어서는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소로의 평가는 어떨까? 당대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소로에게 외롭지 않냐는 질문을 던졌을 것이다. 그에 대해 소로는 "한 사람을 다른 사람들과 격리시켜 외로움을 느끼게 하려면 어느 정도나 떨어뜨려야 하오? 두 사람이 물리적으로 가깝다 해서 서로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는 것은 아니라오."라고 단호하게 대답한다. 우리는 SNS나 메신저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주변인 혹은 초면인 사람들과 접촉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대도시라면, 길거리에 나가자마자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그러나 그 모든 것들이 인간의 외로움을 달래주었을까? 오히려 외부적 활동에 몰입할수록, 돌아오는 공허함만 더 크다. 심지어는 연인을 만난다 해도 그 고독함이 완벽하게 해소되지 못한다. 고독의 이유에 대해서는 소로와 조금 입장이 다르긴 하지만, 물리적 거리나 사람의 수가 고독의 기준이 되지 못한다는 점에서는 어느 정도 동의한다.
소로는 아마 자연물과의 소통을 통해 외로움을 이겨냈을 것이다. 그의 글들을 뜯어 보면, 소로가 월든 호수와 사랑에 빠졌다는 사실이 자명하게 드러난다. 인간 사회에 대해서는 그렇게 격렬하게 비판하던 그가 봄철의 다람쥐나 얼음이 녹는 호수의 정경에 대해서는 한없이 관대하다. 그는 자연에서 거니는 것의 이점을 조목조목 나열하며, 보기보다 돈도 별로 들지 않고 충분히 살아갈 만하다고 설득한다. 독자가 거기에 납득이 되든 그렇지 않든 그가 자연에 진심이라는 것은 확실히 알 수 있다. 그의 저작들을 음미하면, 우리가 휴양림이나 대자연 안에 속했을 때 느끼는 평온함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이것만으로 『월든』 은 충분한 힘을 가진 고전이다.
작품의 말미에는 그의 대표작인 「시민 불복종」이 수록되어 있다. 이 짧은 글도 매우 인상적이었고, 배울 점도 있었으나 이번 리뷰에서는 큰 줄기인 『월든』에 대해서만 말하고자 한다. 미국 정부와 사회에 대한 그의 비판은 21세기 한국에도 유효함을 말하고 싶다. 그리하여 다시 한 번, 고전을 읽어야 하는 필요성을 발견한다. 자신이 사는 사회를 통찰하고 비판하는 것은 위험을 감수한다. 그러한 비평에 대해 누군가는 "그러는 당신은 깨끗하냐? 그렇게 말하는 당신은 완벽하냐?"고 물으며 어떻게든 치부를 찾을 것이다. 그러면 보통 비평가는 자신을 지키기 위해 온갖 수단을 동원한다. 이것에 대해 소로는 초연한 길을 택한다. 그는 비판받는 것을 기꺼이 인정한다. 그것 역시 나의 일부라고 받아들인다. 다만 사람들을 비판하는 모습도 나의 일부이니, 이것도 존중해 달라고 말한다. 그리고는 다시 자신의 길을 걸어간다. 나는 그의 사상을 인정하지는 않지만, 그의 삶의 방식은 존중한다. 세상이 이렇게만 흘러가도 참 살 만할 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