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들어주고, 인내하고, 기다리는 유대인 부모처럼 - 유대 5천 년, ‘탈무드 자녀교육법!’
장화용 지음 / 스마트비즈니스 / 2018년 7월
평점 :
품절
날이 더워지고, 불쾌지수가 높아진다. 어떻게 보면 별 것도 아닌 일인데 짜증을 내고, 화를 내고 있는 내 모습이 당황스러울 때가 있다.
아이들을 키우면서 농담처럼 나 죽고 나면 사리가 엄청 나올 거라고 말하곤 했다. 말은 그렇게 하면서 정작 난 내 아이들을 기다려 주고 있었던가?
아이들을 키우면서 내 욕심에 아이들을 키우지 말자고 다짐을 했었다. 아이들 말을 들어주고, 기다려주면, 아이들은 잘 커 갈 거라고 믿고 싶었다. 그런데 난 아이들을 내 인내심의 끝까지는 기다렸을지 모르지만, 아이들이 충족할 정도로 기다려주진 못했던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결국 큰소리가 한번은 나고야 마는 일상을 보내고 있다.
방학이어서 매일 집에 있는 아이들이 빈둥거리는 것을 보면서, 그래 지금 아니면 또 언제 이렇게 빈둥거려 보겠어 싶으면서도 자기들이 해야 할 일도 안하고, 무작정 놀기만 하는 모습에 결국 잔소리를 하게 된다.
<들어주고, 인내하고, 기다리는 유대인 부모처럼>은 아이들과 매일 전쟁을 치루던 내 눈에 띄였다. 그래 아이들이 뭘 알겠어. 내가 문제지. 내가 조금만 참고, 기다리면 되겠지 스스로를 달래 본다.
내 아이의 자존감을 강하게 키우려면 '들어주고, 인내하고, 기다리는'유대인 부모처럼 해야 한다.
모르는 것을 질문했을 때 즉답보다 질문으로 답하면서, 아이의 입에서 답이 나올 때까지 귀 기울여 '들어주는 부모'여야 한다.
고난과 역경이 닥치더라도 스스로 해결할 때까지 '인내하는 부모'여야 한다.
아이가 떼를 쓴다고 해서, 무턱대고 화내거나 아이의 부탁을 즉각 허락하기보다 '기다리는 부모'여야 한다.
-p. 4 <머리말> 중에서 -
아이들이 자존감이 강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갖고 있으면서도 난 아이의 자존감이 낮아지는 말과 행동을 하고 있었다.
들어주어야 할 상황, 인내해야 할 상황, 기다려야 할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고 있지도 못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내 욕심을 버려야지 하면서도 난 내 욕심껏 아이들을 키우고자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그렇기 때문에 내 욕심에 충족되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자꾸 잔소리를 하게 되는 게 아닐까?
유대인들은 "네 자녀를 가르치라."는 여호와의 명령에 따라 토라와 탈무드를 실천한다.
-p.. 57-
우리는 자기 자식을 가르치는 게 아니라고 말을 한다. 자기 자식을 직접 가르치다 보면, 화를 주체하지 못하고, 결국 아이들도 부모도 상처를 받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대인들은 자기 자녀를 직접 가르친다고 한다. '대화와 토론, 질문하고 대답하는 방식으로 교육을 실천'하는 유대인 교육법인 하브루타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다. 막상 아이드로가 하브루타 교육을 하려고 시도 했다가 아이들도 어색해 하고, 나도 아이들이 장난으로만 받아들이는 것 같아 시도만 해 보고 그쳤던 기억이 있다.
<들어주고, 인내하고, 기다리는 유대인 부모처럼>은 '유대 5천 년, 탈무드 가정 철학!, 유대 5천 년, 탈무드 자녀교육!, 유대 5천 년, 탈무드 공부법!'을 다루고 있다. 책을 보면서 내가 아이들에게 욕심냈던 하브루타, 토론, 등의 내용들이 보였다. 그럼에도 책은 이론서처럼 딱딱하지만은 않았다. 유머도 만날 수 있고, 읽기 수월한게 쓰여 있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난 유대인 부모처럼 들어주고, 인내하고, 기다리는 게 쉽지 않다. 좋은 방법임을 알고 있음에도 왜 실행하기 쉽지 않을까? 물론, 큰 맘 먹고 시도해 보면 나도 유대인 부모처럼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든다. 그럼에도, '문화'라는 것을 무시할 수 없다. 그들에게 전해 내려온 5천 년의 역사는 이미 그들에겐 문화로 자연스럽게 습득되어 이어져 내려 온 것이기에 어설픈 흉내로 그들을 따라갈 수 없는 게 아닐까 싶다.
책을 보며 다시금 반성해 본다.
내일은 들어주고, 인내하고, 가다려 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