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1 | 72 | 7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은’이라는 금속은 고급스러우면서도 대중적이다.



잘 세공된 은 장식품들을 굳이 떠올리지 않더라도,
은 자체가 우선 보석의 한 종류인 것이다.
고대 로마에서도, 화폐경제가 시작된 중국에서도
은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기초적인 화폐로 사용되곤 했다.
조개껍데기가 아닌 은을 화폐로 사용했다는 것은,
그만큼 그것이 귀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침묵은 금이다’라는 고대 그리스의 격언이 있다.
하지만 사실 이 격언에는 한 문장이 생략이 되어 있다.
그 전문(全文)은 이렇다.
‘침묵은 금이다. 그러나 웅변은 은이다.’
이 말을 했던 이는 그리스의 한 웅변가였다.
왜 웅변가가 말을 금이 아닌 은에 비유했을까?
그것은 이 말이 사용될 당시 그리스에서는

금보다 은을 더 귀중하게 여겼었기 때문이다.
‘은’은 그만큼 옛부터 귀중하고 고급스러운 금속이다.

 

 

 

반면, 은의 대중성은
오늘날에 와서는 그것의 절대적인 가치가
여타의 보석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진데서 기인한다.
이제 은보다는 금이 훨씬 더 고가에 거래가 된다. 

가난한 남녀가 결혼을 약속하는 그림에서

다이아몬드가 박힌 금반지는 왠지 어색하다.
얇은 은가락지가 어울리는 조각인 것이다.

 


이처럼 오늘날에 은이라는 보석은
대중성이라는 이미지 또한 품고 있다.

 

 


 

고급스러움과 대중성이라는
두 상반되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은’.
어쩌면 ‘은’의 이런 이중적인 이미지는
이제부터 말하고자 하는 ‘은색’이 가지고 있는
다중적인 이미지를 미리 암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아마도 내가 은색을 좋아하는 이유는
바로 그런 점 때문일 것이다.

 

 

내가 좋아하는 색은?
언제부터인가 그 사람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따라
그 사람의 성격이나 기질, 특성이 결정된다는
근거없는 믿음이 확산되면서 이런 질문을 자주 접할 수 있다.

(이런 현상에 대해서도 쓸 말이 좀 있지만, 일단 넘어가자)

 

 

 

그런 질문을 받으면 난 주저없이 은색이라고 대답하는데,
대부분 반응은 대개 비슷하다.
어쩌다가 그런 색을 좋아하게 되었느냐는 투다.
질문자들이 준비해놓은 선택지에는
여간해서 은색 같은 것은 들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질문자의 그런 당혹감(?)을 지켜보는 것도 꽤 재미있긴 하지만
그런 반응을 구경하기 위해 은색을 좋아하는 건 아니다.

 

 

은이라는 금속이 그렇듯이,
은색도 제법 여러 가지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우선 ‘은색’하면 가장 흔히 떠오르는 생각인 ‘차가움’이다.
아마도 은색이 대부분의 금속들이 띄고 있는 색이기 때문에,
은색이 그런 금속 특유의 차가움을 떠올리게 만들기 때문일 것이다.
차가운 형광등이나 달빛이 칼날에 반사가 되어 빛나는 장면을 그려보면
좀 더 쉽게 와 닿을 것이다.
그런 금속성의 은색은 왠지 냉정함과 냉혹함
(둘 모두 ‘냉(冷)’자가 들어간다),
혹은 날카로운 느낌을 받게 만든다.

 

 

 
하지만 그런 은색에서 광택을 없애버리면 어떻게 될까.
은색을 차갑게 만드는 형광등이나 달빛으로부터
그런 빛이 들지 않는 어두운 곳으로 옮긴다던가,
아니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산화)하여
빛을 잃은 은색.
극단적으로 말해 그런 은색은 사실상 회색처럼 느껴진다.
마치 콘크리트처럼 무겁고, 느릿하고, 어두운 색 말이다.
좀 전에 느껴졌던 날카로움은 한없이 무뎌지고,
차가움은 우울함으로 바뀐다.
그래서 그럴까.
빛을 빼앗긴 은색은 슬퍼보인다.

 

 
차가움과 우울함.
아직 은색에게는 반전이 하나 남아있다.
은색은 ‘따뜻함’도 발산하기 때문이다.
무엇이 은색을 그렇게 만들까?
역시 ‘빛’이다.


은색의 따뜻함을 느끼고 싶은 사람은
형광등이 아닌 백열등을 이용해야 한다.
이왕이면 하얀색보다는 붉은 빛이 도는 전구가 좋다.
아예 크리스마스트리를 장식하는데 사용하는
색색의 반짝이는 줄로 이어진 꼬마전구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이번에 나오는 은색은 사실 그 트리에서 찾을 것이기 때문이다.
크리스마스트리를 장식하는 큰 은색 별, 종, 공들.

이런 것들은 은색이 발산하는 따뜻함을 담고 있는 물건들이다.

 

 

은색이 담고 있는 여러 이미지들.
차가움, 우울함 혹은 슬픔, 따뜻함.
내가 은색을 좋아하는 이유는
이러한 것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매우 특별한 색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색 안에서
나 자신의 모습을 자주 발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어떤 색이 은색처럼 풍부한 이미지를 함축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얼마 전 케이블 TV의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흥미로운 다큐멘터리 한 편을 보게 되었다.

제목은 '동물들의 장수 방법'과 비슷한 내용이었던 것 같다.

수 십 분을 봤는데도 제목 조차 기억을 못하다니..

텔레비전과 같은 매스 미디어가

인간의 감성은 자극할런지 모르지만,

지성적인 면을 함양하는데는

그다지 도움이 안 된다는 증거일까.

 

 

아무튼,

다큐멘터리의 내용은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오래사는 동물들에 관한 것이었다.

그 동물들은 어째서 오래 사는가,

그것을 인간에게 적용할 수는 없을까 하는 것이었다.

요컨대, 오래 사는 동물들에게서

인간이 오래사는 법을 배울 수 있지 않을까라는 것이

그 프로그램의 주제다.

 
 

 
만물의 영장이니, 진화의 최후 단계니 하면서

마음 내키는대로 자연을 파괴하고

하루에도 수 종의 생명체를 멸종시키는 인간이

이제는 오래 살아보겠다고 동물에게서 배우겠단다.

그 전에 이제까지 동물들에게 행한 죄들을

공개적으로 겸허하게 고백하는 의식이라도

먼저 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

 

  

프로그램의 내용은 한 가지 내용으로 모아졌다.

바로 '느리게 사는 것'이다.

느리게 사는 동물들의 수명이 길다는 것이다.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다윈이 갈라파고스 섬에서 발견한 거북이 한 마리가

아직까지도 살아서 돌아다니고 있다는 부분이었다.

무려 170살이 넘게.

 

  

만약 사람이 그 거북이처럼 천천히 산다면

거북이처럼 오래 살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얼마나 산뜻한(?) 주장인가.

과연 인간의 지성이란 시간이 갈 수록 발전하는가 하는 질문을

진지하게 해 보게 만드는 프로그램이었다.

프로그램의 제작자는 과연 그런 것이 실제로 가능하다고 생각했을까.

아마 그 자신도 거북이처럼 느리게 기어다니지는 않을 것 같은데 말이다.

자기 수하에 있는 부하직원들이 그렇게 느릿느릿 일을 한다면,

아마 가장 먼저 화를 내지 않을까.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르면

그건 부하직원들의 수명을 깎아내는 강요인데도 불구하고..

 

  

물론,

오래 살고 싶다는 인간의 가장 오래된 소망 중 하나를

비웃으려고 이 글을 쓰는 것은 아니다.

다만 목표에 지나치게 집착을 하다보니,

그 내용이나, 과정에는

충분한 반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을 보니

괜히 비꼬고 싶은 마음이 생겨서 그런다.

그냥 하나님이 자신에게 주신 수명에 만족하고 살면 안 될까.

얼마나 더 오래 사느냐보다, 얼마나 더 가치있게 사느냐에

더 많이 집중하면 안 될까.

 

  

어떻게 해야 오래 살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의사들이 시키는 대로 좋은 음식을 먹고, 적절한 운동을 하면

'건강하게'는 살 수 있을 것 같다.

사실 나 자신이 일년 중 상당 시간을 어딘가 고장난 상태로 보내고 있으니,

과연 오래 살 수 있을지 그다지 자신 없다.

사실 오래 사는 것이 어디 내 뜻대로 되는 일일까.

 

  

다른 사람보다 오래 사는 법에 대해서는 모르지만,

다른 사람보다 많이 사는 법에 대해서는

나도 한 마디를 하고 싶다.

'오래'가 아니라 '많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다른 사람보다 많이 사는 법.

 

 

다른 사람들보다 많이 살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관심'이다.

사실 우리는 바쁘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이라는 '환상'에 빠져서

너무나 많은 것들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지나쳐버린다.

매일 지나다니는 길가에 어떤 꽃이 어떤 모양으로 피었는지,

매일 드나드는 건물의 숨겨진 공간이 어떻게 생겼는지,

매일 만나는 사람에게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이런 것들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못한다.

너무 '바쁘니까.'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하고 지나친 것을 볼 수 있고,

다른 사람이 듣지 못하고 지나친 것을 들을 수 있고,

다른 사람이 느끼지 못하고 지나친 것을 느낄 수 있다면,

그래서 하루 24시간 중

다른 사람은 5개 밖에 보거나 듣었는데,

나는 10개, 15개를 보고 들을 수 있다면,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이 살았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좋아하는 작가 한 사람이 없다는 건 참 불행한 일이다.

또, 즐겨 찾아가는 나만의 장소를 만드는 일은

생각보다 중요한 일 중 하나이다.

언젠가는 삶에 대한 이런 작은 관심들이

쓰러져버릴 것 같은 어려움에서 우리를 지탱해주는

익숙한 지지대 같은 게 될 수도 있으니 말이다.

게다가 이런 것들은 다른 사람보다 많이 사는데 도움을 주는 것들이다.

 

 

언제나 너무 바쁘게만 살던 내가

이런 '관심'의 중요성을 깨달은 건

대학교 4학년 때가 되어서였다.

그제서야 학교 가는 길 돌담에 핀 개나리의 모양이 어떻게 생겼는지,

빗방울이 공기를 가르며 내는 소리가 어떤 건지,

잔디밭에 앉아서 햇살을 즐기는 것이 얼마나 기분 좋은 일인지를 깨달았다.

대상을 '즐기는 법'을 그제서야 알았다.

뭐가 그리 바쁘게 살았는지.

 

  

관심이 있어야 즐길 수 있다.

내가 하는 일, 내 앞에 있는 사람, 나와 접촉하는 모든 것들에

진지한 관심을 갖기 시작할 때,

비로소 그것들을 진정으로 즐길 수 있다.

그렇게 하나 둘 즐기는 것을 몸에 익히다보면,

어느새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이 살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5월인데....

비가 제법 많이 쏟아진다.

바쁘게 하던 일을 한 10분 쯤 쉬면서,

비를 즐기기에 딱 좋은 날.

비 오는 날이란 거..

생각만큼 우울하거나 그렇지만은 않다.

꼭 비가 내리는 풍경을 멍하니 보고 있어야 하는 건 아니다.

빗소리가 사라지지 않을 정도의 음량으로

좋은 음악을 듣거나,

빗소리를 들으며 재미있는 책을 읽는 것도

비를 즐기는 좋은 방법 중 하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침은 우유에 콘푸로스트,
 
점심은 옆에 있는 수송대대에서 어어 먹거나 대충.. 굶기도 하고,

저녁엔 라면..

 


나 이렇게 살아요.. ㅡㅜ

 라면에 김치도 없이... 김치가 먹고 싶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기억과 감정을 분리시킬 수 있을까?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벼운 짐을 달라고 기도하지 말고

 더 튼튼한 허리를 달라고 기도하라.

- 어느 형제

 
Don't pray for lighter burdens,

but for stronger backs.

- An unknown Christia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1 | 72 | 7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