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도의 공동생활 디트리히 본회퍼 대표작 1
디트리히 본회퍼 지음, 정현숙 옮김 / 복있는사람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1. 요약 。。。。。。。

     그리스도인들은 필연적으로 공동체로서 살 수밖에 없다. 하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이유로 온전한 공동체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회퍼는 이런 상황이 이례적인 것이 아니라고 지적한다. 무엇보다 예수는 원수들 한 복판에서 사시지 않았던가. 그러므로 무엇보다 가장 먼저 기억해야 할 것은, 성도들이 하나 됨을 이루며 사는 것은 그 자체로 큰 복 중 하나라는 점이다.(1)


      성도들이 공동체를 이루기 위해서 기도는 필수적이다. 우리는 우리 자체로 서로를 온전히 품고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특히 시편의 다양한 공동체의 기도를 본을 삼으라고 권한다. 물론 여기에 말씀(성경에 대한 깊은 묵상)과 공동의 찬송도 빠질 수 없는 요소고.(2)

      흥미로운 것은, 함께이기 위해서 홀로될 줄 알아야 한다는 저자의 지적이다.(3) 하나님 앞에(이 책에서는 주로 그분의 말씀 앞에 서는 것과 동일시된다) 홀로 설 수 있는 사람이, 비로소 다른 사람들과 공동체를 이룰 수 있다는 것.


      이외에도 공동체 속에 뿌리내리는 한 방법으로서의 섬김’(4)과 공동체 안에서의 죄 고백과 이를 받아주는 일의 중요성(5) 등이 담겨 있다.

 

 

2. 감상평 。。。。。。。

     이 책에 앞서 읽었던 옥중서신이 그 유명함에 비해서 생각만큼 내용이 인상적이지 않았었다. 감옥 안이라는 극단적인 상황에 있었던 저자와 책을 읽는 지금 나의 상황 사이에 격차가 너무 컸기 때문이었던 것 같기도 하고, 저자의 마지막이 어떻게 되었는지 아는 상황에서 끝까지 희망을 놓지 않고 어떻게든 명랑해지려고 했던 그의 글을 보는 것이 마음이 편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뭐 어찌되었든, 쉽게 공감을 일으키지 못했다는 것만은 분명.


      그에 비해 저자가 수감생활을 하기 이전, 좀 더 안정적인 상황 속에서 사랑하는 교회의 교우들과 함께 하는 이야기를 쓰고 있는 이 책은 훨씬 더 쉽게 와 닿는다. 저자가 가정하고 있는 상황과 환경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것이었고, 무엇보다 그가 탐구하고 있는 인간의 성품에 대한 통찰이 너무 생생해서 말이다. 처음에는 그리 큰 기대감 없이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지만, 얼마 안 가서 빠져들고 말았다. 쉴 새 없이 인상적인 문구들을 체크하면서.

 

 

      공동생활,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는 것은, 그냥 같이 모이고 만나고 하는 것이 아니다. 자연적 결속이 이루어지는 가족이나 친구가 아닌 상황에서는 좀처럼 공동체를 경험한다는 것이 더욱 쉽지 않고.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포기해버릴 일은 물론 아니다. 교회가 공동체성을 잃어버리면, 그냥 한낱 집단으로 전락해버리게 되고, 그러면 교회가 가지고 있는 원초적 힘은 그대로 잃어버리고 말 테니까.

      한 문장, 한 문장이 참 묵직하다. 날카롭기만 한 것이 아니라 깊은 애정이 배어있는 글에서는 깊이가 느껴진다. 교회의 공동체성이 참 많이 약화되어버린 이 시대에 꼭 필요한 메시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