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書의 역사
크리스토퍼 드 하멜 지음, 이종인 옮김 / 미메시스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1. 줄거리 。。。。。。。  

 

    이 책은 말 그대로 성서(혹은 성경)의 역사를 서술한 책이다. 저자는 책 전반에 걸쳐서 신학이나 신앙적인 진술은 배제한 채 철저하게 그 독특하고 오랜 전통을 가진 책이 전해져온 역사에 관해 집중하고 있다.

 

    책은 4세기 후반 히에로니무스(영어식으로는 제롬)라는 이름의 수도사가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한 사건부터 시작한다. 라틴어는 그 당시 유럽의 공용어였다. 그 이전에도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또 라틴어 번역들이 있었지만 히에로니무스는 그 수준들에 만족하지 못했고, 직접 히브리어성경에서 라틴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시작했다. 그렇게 세상에 나온 것이 불가타(영어식으로는 벌게이트)성경이다. 이 당시 성경은 모두 직접 필사를 했고, 그 종이도 상당히 비싼 양피지였기에 일반인들은 가질 수 없었다. 때문에 이 책은 상당히 고가품으로 귀족이나 왕과 같은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을 위해 화려하게 만들어진다.

 

    중세 초기인 11세기에도 이런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는데, 이 시기 제작된 성경들은 거대하고 화려한 채색과 장식이 되어 있는 게 특징이었다. 그리고 12세기까지 이르면서 여러 성경에 관한 주석들이 나오기 시작한다. 성경 본문에 주석이 더해진 형태의 책도 이 시기 많이 등장했다.

 

    13세기에 들어서면서 거대한 성경들은 크기가 작아지기 시작한다. 이전의 책이 비치형이었다면 이제부터는 휴대용으로의 용도전환이 일어났던 것이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이동하며 설교를 했던 수도단들의 성립에 힘입은 일이었다. 또 하나 이 시대의 중요한 발전은 이전에는 대부분 여러 권으로 나눠 출판되던 성경이 한 권짜리로 합본되어 나오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중세 말 성경은 다시 화려해지기 시작한다. 13, 14세기로 접어들면서 각종 삽화들이 들어가면서 크기도 두께도 늘어났다.

 

    책은 이 외에도 위클리프와 그의 추종자들을 중심으로 잉글랜드에서 시작되어 종교개혁으로 크게 일어난 자국어 번역의 흐름과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이 미친 영향들, 또 해외 선교를 위해 외국어로 번역 출판된 성경들, 그리고 고고학적 연구로 새롭게 발견된 고대 문서들에 관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

 

 

 

2. 감상평 。。。。。。。  

 

    큼지막한 크기에, 책 전체에 걸쳐서 많은 도판이 실려 있어 보는 재미도 있었던 책이다. (, 좀 무게가 있어서 지하철에서는 자리가 나지 않으면 서서 들고 읽기엔 무리였다.) 시대에 따라서 성경의 크기와 장식에 일정한 취향이 있었다는 점은 새로웠고, 책 전체에 걸쳐 실려 있는 화려한 중세식 양피지 성경 사진들을 보는 건 그 자체로 즐거운 일이었다.

 

    그 오랜 시간 동안 전해져 온 성경의 내용이 사본들 사이에 큰 차이가 없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사소한 오탈자 등은 발견되지만, 내용 상 결정적인 차이를 가져올만한 부분은 없었다. , 일부 과격한 비평론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특히 신약성경의 경우)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그 저작연대는 훨씬 더 이른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두 군데 정도의 오타가 보이긴 했지만, 전체적으로 큼직한 크기에(이건 책에 실린 삽화들의 세부적인 부분까지 살필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런 책에 걸맞은 사철 방식으로 제작되어서 한눈에 봐도 공들여 만들었다는 느낌을 준다. 마치 13세기 후반, 14세기 유행했던 그림성경을 보는 느낌이랄까.

 

    다만 책 후반에 실린 동양 쪽의 성경의 역사 부분은 약간 미흡하다는 느낌도 준다. 아무래도 저자 자신이 주로 서양의 중세 고문서를 전공했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유럽인들의 아시아 진출이 일어나기 천년도 전인 7세기 이미 경교라고 불리던 네스토리우스교 선교사들에 의해 한문으로 번역된 성경이 중국에 전래되었지만 이런 부분에 대한 언급은 아예 빠져있다. 외국어로의 성경번역사를 논하려면 꼭 한 번은 짚어야 하는 부분인데 아쉽다.

 

 

    꼭 종교적인 관점이 아니라 그냥 인문학적인 관점으로도 성서의 역사에 관해 공부하려고 할 때 보면 괜찮을 책.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여름 2014-09-06 1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책 소개입니다 ㅎㅎ

노란가방 2014-09-06 12:41   좋아요 0 | URL
감사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