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연한 인생
은희경 지음 / 창비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줄거리 。。。。。。。       

 

     자기 잘난 맛에 살며, 말할 때마다 다른 작가들을 인용하는 중견 작가 요셉. 그 자신은 온갖 쾌락을 탐닉하려 애쓰지만 정작 다른 사람들 앞에서는 스스로를 고상한 척 예술가로 비춰지기 원하며 은유니 비유니 하는 것들을 입에 달고 사는 시니컬한 인물이다. 부인과는 별거상태로 신도시의 오피스텔에서 혼자 살아가며, 부유한 유부녀인 도경을 비롯한 여러 여자들과 관계를 맺으며 내키는 대로 살아가는 그의 머릿속은 세상에 대한 불평과 불만으로 가득하다.

 

     그런 요셉이 오랫동안 잊지 못하는 여인이 류였다. 외국에서 태어나 부모의 나라로 돌아온 그녀는 한때 요셉과 격정적인 사랑을 했지만 어느 날 갑자기 아무런 말도 없이 사라져버렸던 터. 작가는 이 두 사람을 축으로 해 다양한 인간 군상들의 이야기를 엮어낸다.

 

 

 

2. 감상평 。。。。。。。       

 

     소설은 사랑의 이야기다. 그것도 깨져버린 사랑의 이야기. 시종일관 냉소적인 요셉의 모습은 결국 류와의 관계에 대한 트라우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고(물론 요셉의 작가병에 필요한 비극적 사랑 이야기일지도 모르고), 류의 돌발적인 잠적과 붕 떠 있는 몽환적인 행동패턴은 그녀의 부모들의 깨진 사랑의 깊은 영향권 안에 있는 느낌이다. 요셉의 주변을 맴도는 도경과 이채는 그런 사랑의 파편만을 붙잡고 있는 것만으로도 허영심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인물들이고, 소설 속에서 유일하게 사랑에 대한 좀 다른 관점을 지니고 있는 듯 보이는 이안이라는 인물도, 잘 따져보면 철저하게 그 원칙에 충실한 것도 아니다.

 

     깨어진 사랑은 소설 속의 인물들은 그것을 극복해내기보다는 극복에 대한 교훈을 비웃고 포기해버린다. 끊임없이 이어지는 요셉의 개똥철학이 어느 순간부터 지겨워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 자신도 무슨 충실한 인생의 철학이 있는 것도 아니면서, 그저 자신을 태우는 일밖에 하지 못하면서 자신이 인용하는 어구들이 마치 자기 자신의 수준을 높여주는 양 거드름만 피우고 있으니 말이다. 소설의 결말이 매우 궁금해졌었는데, 막상 마지막 장에 이르렀을 때에도 역시나 뭔가 맺어진 듯한 느낌이 없었다.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르겠다. 소설 속 인물 중 누구도 그러고 싶어 하지 않았으니까. 소설 속 요셉과 류는 전혀 다른 사고와 행동을 하는 것 같지만, 이런 면에서 보면 쌍둥이처럼 똑같다.

 

 

     내 경우엔 소설을 보는 이유가 다양한 인간들의 다양한 마음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라는 점이 가장 크다. 그런데 이번 책은 그냥 작가 자신의 마음만을 읽어볼 수 있었던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사실 한 명의 작가가 쓰는 소설이니 그게 당연할지도 모르지만.) 사랑과 고독에 관한 많은 통찰들이 난무하지만, 홍수 속의 기갈처럼 와 닿는 부분은 많지 않았다. 아무래도 나같이 촌스러운 독자가 보기엔 너무 고상한 교훈이 있었던 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