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줄거리 。。。。。。。        

 

     2차 세계대전 초기, 독소 상호 불가침 조약을 맺은 독일과 소련이 폴란드에 진주하면서 졸지에 나라를 잃게 된 폴란드 사람들. 하지만 그들에게는 또 다른 시련이 남아 있었다. 폴란드 동부를 점령한 스탈린 독재 치하의 소련군은 통치에 협조하지 않는 사람들을 반동분자로 몰아 시베리아 수용소로 보내버렸고, 그렇게 한 번 들어가면 생사를 알 수 없게 되는 일이 다반사였다.

 

     어느 날 밤, 일곱 명의 수용자들이 감시병들의 눈을 피해 탈출을 감행했고, 자유를 찾아 수천 km를 걷고 또 걷는다. 마침내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 도착한 인도.

 

 

2. 감상평 。。。。。。。                   

 

     영화 속 인물들이 극한의 상황 속에서도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살아야 하는 이유’ 때문이었다. 그리고 그 이유의 내용은 원한과 보복, 분노보다는 용서와 회복이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비록 고문에 의한 것이지만 자신을 반동으로 고발할 수밖에 없었던 아내의 사정을 모두 이해하고, 자신이 돌아가지 못하면 평생 동안 죄책감 속에서 살아가게 될 것이라며 반드시 돌아가서 그로부터 벗어나게 해 주어야 한다고 말하는 남편의 이야기와 마지막 장면에서의 재회는 그래서 더 감동적이다.

 

     영화적인 차원에서는, 일단 무대가 저 북쪽 시베리아에서부터 고비 사막을 거쳐 험난한 히말라야를 지나 티벳과 인도까지 이어지는 다양한 지역들을 배경으로 하고 있어서 일단 지루한 감은 없다. 처음부터 끝까지 눈밭에서만 헤맸던 ‘더 그레이’와 좀 달랐던 점이다. 물론 이 영화도 시간이 지나면서 인물들이 하나씩 죽고 이탈하게 된다는 전통적인 공식을 따르고 있긴 하고, 주연들을 제외한 보조 출연자들의 연기력은 앞서의 이유도 있고 해서 약간의 어색함을 감안해야 할 것 같다.

 

 

     깊은 어둠 속에서는 작은 불빛도 주변을 환하게 만들어주는 것처럼, 극도로 위협적인 상황에서 서로를 향한 배려와 의리가 돋보였던 영화다.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는 이 영화는, 인간이라는 존재가 숫자 몇 개의 조합으로, 혹은 화학물질들의 결합으로 설명할 수 없는 무엇을 가지고 있음을 확실히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