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드르제 자니위스키 지음, 김명수 옮김 / 현재 / 2002년 12월
평점 :
절판


모서리와 각이 없고, 단단하면서도 완만하고 부드럽게

서로 이어진 통로 내부의 표면들.

통로들은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연결되고 교차되었다가 다시 분리되었다.

모든 통로들이 목적지로 통해 있다.

네가 예기치 않게 머리를 부딪히는, 눈에 안 보이는 벽은 없다.

네가 선택한 길은 올바른 길 중에 하나다.

너는 앞으로 달리기만 하면 된다.

 

    교수가 쓴 소설. 이 소설을 출판할 당시 바르샤바 문과대학 학장이자 폴란드 작가 협회 부회장을 맡았다는 저자의 이력이 책에 무게감을 주기 위한 노력을 책의 첫 페이지부터 하고 있었다. 

    하지만 지나치게 학생들을 가르쳐야 한다는 의식이 가득 찼기 때문일까? 저자의 서문에 실려 있는 지나치게 설교적인 말투는 왠지 모르게 반감이 들도록 만드는 느낌이었다.(사실 서문을 읽고 난 후에야 저자의 이력을 읽게 되었다) 저자가 채식주의자이든, 극단적 환경주의자이든, 혹은 윤회론에 관심을 갖고 있든, 그것을 마치 강의실에서처럼 독자에게 굳이 책의 첫머리부터 강의할 필요까지는 없는데 말이다.(덕분에 책의 본문을 읽기 전부터 평점 1점 감점) 



    책의 내용은 쥐가 주인공인 특이한 소설이었다. 일명 동물소설. 물론, 동물이 주인공인 소설이 없는 것은 아니다.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과 같은 뛰어난 풍자적 소설이 그 좋은 예일 것이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동물이 주인공인 ‘이야기’들은 우화나 동화 정도로 취급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종류의 ‘아름다운’ 이야기가 아니다. 주인공인 ‘쥐’는 톰과 제리에 나오는 귀엽고 사랑스러운 모습이 아니라, 대개의 경우 몸서리가 쳐지는 잔인하고, 끔찍하며, 혐오스러운, 바로 그런 모습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그러한 쥐를 묘사하는데 300여 페이지에 달하는 지면을 사용한다. 그가 태어나고 살아가고 죽어가는 과정이 책에 매우 빠른 박자로 묘사되어 있다. 300여 페이지가 되는 적지 않은 분량임에도, 그리고 단지 한 마리의 쥐의 의식을 따라가는 내용의 소설이었음에도, 저자의 호흡이 워낙 가쁘게 진행되는 까닭에 그다지 지루하게 느껴지지는 않았다. 책의 전체를 뒤덮고 있는 심리묘사, 상황묘사 등의 솜씨는, 번역된 문장들이었음에도 저자의 전공이 무엇인지를 잘 보여주는 듯 했다. 



    주인공 쥐는 왜 끊임없이 방황을 하는가, 그가 가고자 했던 곳은 과연 어디인가. 아마도 책을 읽으면서 쉬지 않고 질문을 했던 내용이 아닐까 싶다. 저자의 대답은 아마도 그가 다시 태어난 곳으로 돌아오는 듯한 환상 가운데 죽어가는 주인공의 모습을 통해, 어떤 윤회론적 결론을 제시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수많은 인물들과 사건들을 겪으며 바쁘게 살아가지만, 결국은 처음으로 되돌아가게 된다는 내용이 책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다. 그런데 그건 저자의 생각일 뿐 내겐 잘 맞지 않는 옷을 입은 사람처럼 그 두 가지의 주제 - 윤회론과 쥐의 일생 -가 썩 잘 어울려 보이지 않았다. 쥐의 생태에 관한 매우 일반적인 관념들만 등장하고 있다는 것도, 이런 일종의 밀착되지 못하는 느낌이 들도록 만드는 한 가지 이유인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쥐를 주제로 쓰려면 적어도 쥐에 대해 일반적인 사람들이 아는 것보다는 더 많은 것을 조사하고 연구해야하지는 않을까. 

    저자 서문과 역자 후기를 보면, 저자가 이 책을 통해 여러 가지 것들을 풍자, 혹은 비판하고자 했던 것처럼 보이는데, 책을 읽는 내내 그런 점을 느낄 수 있었던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너무 의도가 많아서 오히려 그 의도들을 명확히 드러내지 못한 것인지, 아니면 처음부터 단지 쥐를 통해 그런 심오한 가치들을 드러내기엔 소재가 빈약했던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나름대로는 전쟁, 빈곤 등의 배경이 등장하기는 했지만, 내가 보기엔 그런 것들은 그다지 많은 감흥을 주지는 못하고 있었다. 

    오히려 지나치게 의도성을 지닌 글이었기에, 책 자체에 논리적인 문제가 생겨버린 것은 아닌가 싶다. 가장 단적으로, 주인공 쥐는 이 세상의 모든 것을 거의 직관적으로 알아챈다. 그리고 그것이 도를 넘어서 인간들이 사물에 대해 사용하는 명칭들까지도 분명하게 알고 있다. 독자의 편의를 위해 그렇게 쓴 것일까?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개미』와 같은 책에서는 그런 부분에도 세심하게 신경을 쓴 흔적이 보이지만, 이 책의 저자는 그 정도의 상상력까지는 발휘하지 못한 것처럼 보인다. 


   소재의 참신성이나 묘사의 기술은 어느 정도 인정할 수 있지만, 뭔가 부족한 듯한 느낌이 드는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